•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observation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초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의 관계 분석 - 야외 식물 관찰 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the Observation Abil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Focus on Observation Learning of Outdoor Plants)

  • 김현주;김민주;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593-615
    • /
    • 2022
  • 본 연구는 야외 식물 관찰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관찰능력과 과학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5학년 21명을 대상으로 야외 식물 관찰 학습을 시행했다. 관찰 과제를 통해 학생의 관찰 능력과 과학적 창의성을 평가하여 정량적 자료를 얻은 뒤, 식물 관찰에 대한 학생과의 면담을 통해 정성적 자료를 얻었다. 이외에도 연구자의 참여 관찰 기록, 학생의 활동 결과물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 상·하 수준에 따라 HH(고관찰-고창의)형, HL(고관찰-저창의)형, LH(저관찰-고창의)형, LL(저관찰-저창의)형의 4개 집단으로 유형화한 결과 전체 학생 21명 중 HH형과 LL형에 속한 학생이 15명으로 관찰 능력이 높을수록 과학적 창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과학 창의성 요소 중 독창성과도 관찰 능력과 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야외 식물 관찰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관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평상시 식물 관찰 빈도와 식물 관찰 학습에 대한 흥미, 식물 관찰 학습에서의 협력이었다. 넷째, 야외 식물 관찰 학습에서 과학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찰 능력과 식물 관련 지식의 양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관찰 능력과 과학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학적 관찰의 이론의존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이해 조사 (Investigation of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Comprehension of Theory-laden Scientific Observation)

  • 김상수;박종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7-169
    • /
    • 2010
  • 과학적 관찰은 과학적 탐구활동에서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중요성에 비해 과학적 관찰에 대한 보다 세분된 논의와 교사 및 학생의 이해를 위한 방안 제안이 구체적이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관찰의 이론의존성에 대한문헌 연구를 통해 세부적으로 관찰의 이론의존성을 11개 유형으로 나누어 진술하였다. 11개 진술문에 대해 학생과 교사의 이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구체적으로 관찰의 이론의존성의 어떤 측면에 대해서 교사의 연수와 학생지도에 특별히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과학의 본성 이해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나 학생용 학습 활동지 개발에 근거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과학교육에서 제시하는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과정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Meanings and Processes about Scientific Observation in the Science Education)

  • 변정호;이준기;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1-540
    • /
    • 2009
  • 과학적 관찰은 과학 탐구 및 과학적 지식생성과정에 있어 기초적이며,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써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과학적 관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비해 학습자에게 제시되어야 하는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과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과학적 관찰에 대한 대다수의 연구들은 관찰행동과 관찰사실의 특징과 유형을 알아보기 위한 것들로써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관찰활동이 어떻게 구조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데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전의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과학적 관찰이란 대상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감각 정보를 수용하여 관찰자의 주관적 요소로 구성된 지적틀을 통해 정보를 인식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관찰행동을 통해 인식된 정보는 관찰자의 주관적 요소에 해당하는 지적틀을 통해 관찰사실로 생성되어 추론과 독립적으로 지적틀에 영향을 미치거나, 추론에 의해 변환되어 지적틀에 영향을 주게 된다. 결국, 관찰자의 지적틀은 과학적 관찰에 의해 계속적으로 변화됨으로써, 이후에 수행되는 관찰행동과 관찰 사실 생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과학적 관찰활동은 학습자의 주관적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며, 추론과 연계된 관찰활동이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대상에 대한 관찰뿐만 아니라, 지속적 관찰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지적틀이 변화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과학수업에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관찰지식 생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bservation Knowledge Generation Using the Scientific Observation Strategy in 6th Grade Students)

  • 이혜정;이근경;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26
    • /
    • 2010
  •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관찰지식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관찰과 관련된 수업주제를 선정하고, 관찰의 방법과 대상에 따라 체계적인 관찰이 이루어지도록 학습지와 스토리보드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8명, 통제집단 37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4차시에 걸쳐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실험집단과 동일한 주제와 차시에 걸쳐 전통적 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 수업처치 전후에 촛불 관찰 과제로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해 다양한 관찰 지식을 생성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생성된 관찰 사실들에 대한 관찰 지식의 수와 다양도 측면에서 학생들의 관찰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 수업 처치 후 실험집단의 관찰지식의 수와 다양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였다. 또한 절대 관찰력 지수에서도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관찰력 지수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과학적 관찰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 전략은 학생들의 과학적 관찰 지식 생성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PBL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 신명렬;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0-3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To verify research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r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one classes of an elementary science-gifted class i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the research group is composed of twenty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During four weeks, the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instruction was executed in the reasearch group.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We look into detailly this,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basis science skill. The sub-factor 'expectation' of the science process skill effects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attitudes. In conclusion,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was more effective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s. However, since the study has a limit on an object of the study and the applied program, the addition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extended comparative group and program.

중학생의 생명현상 관찰활동에서 과학적 흥미 발생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Generate Scientific Interest in Middle School Students' Observation Activity on Life Phenomenon)

  • 유경진;천재순;정진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94-608
    • /
    • 2010
  • 이 연구는 중학생의 생명현상 관찰활동에서 과학적 흥미가 발생하는 요인을 추출하고, 추출한 요인이 과학적 흥미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검증한 것이다. 흥미발생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4차시 분량의 관찰활동 프로그램을 투입하였고, 관찰활동에 참여한 학생 중 과학적 흥미가 높았던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를 응답 유형별로 분류하여 21가지의 흥미발생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흥미발생요인은 크게 관찰대상의 특성, 관찰활동의 특성, 관찰결과의 특성, 관찰자의 특성, 외적 요인의 특성 등 5가지로 범주화하였다. 이렇게 추출한 흥미발생요인이 관찰활동에서 과학적 흥미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해 보았다. 우선, 추출한 흥미발생요인이 관찰활동에서 흥미의 발생에 영향을 준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흥미발생요인 조사지를 작성하였다.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4차시 분량의 관찰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흥미발생요인 조사지를 투입하였다. 흥미발생요인 조사지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여 각각의 요인이 흥미의 발생에 영향을 준 정도의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추출한 21개의 요인은 과학적 흥미의 발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흥미롭지 않은 관찰활동에 대한 원인 분석이 가능하며 흥미로운 관찰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의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초등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과학에 대한 의미 분석 (An Analysis of Scientific Concept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3호
    • /
    • pp.327-345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 'something scientific', 'being scientific', 'scientific events' and 'scientific question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a central analysis of the frequency and density of words and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key words, a concentric analysis, a click analysis and a common network analysis through text semantic network analysis by using NetMiner 4.0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in perceiving 'something scientific',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verification', 'objective' and 'experiment' as most important words. In other words, they perceived that main grounds for something scientific should be provided through clear facts, possible to be verified and accompanied by an exact and logical theoretical system. In regard to 'being scientific', they perceived 'explanation', 'objective' and 'verification' as most important words, while having a traditional point of view that science is a set that can be explained objectively. Secondly, in regard that the term, 'observation', is contained in 'scientific events', they showed a high rate of understanding it as a scientific event. In regard to scientifical reasons, the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observation', and for unscientific reasons, the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behavior'. In perceiving 'scientific questions', the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determining bacteria-related questions as scientific. As a reason why they thought as scientific, they mentioned 'observation' most frequently like 'scientific events', while mentioning 'value judgement' as a reason why they thought as unscientific most frequently. From the results of integrated network analysis, this study found out that words pre-service teachers commonly used in stating scientific events or scientific questions were overlapped with words they mentioned for scientific events or scientific ques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ere were many pre-service teachers having interpreted scientific words without clearly distinguishing scientific events or scientific questions.

초등과학 수업에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활용한 관찰학습이 학생의 관찰능력,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Multiple Intelligences-Specific Observation Strategy on Observation Skills,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이시은;최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1-10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1단원 '식물의 세계'에서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관찰학습을 적용하기 위해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 전략을 개발하여 과학수업에 관찰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초등학생들의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단원 차시별 관찰 대상 및 주제를 선정하고 다중지능 활용 교수 학습 방법 중 적합한 방법을 추출하여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관찰전략을 활용하는 관찰학습 프로그램 단계를 구상하였으며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에 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관찰학습 프로그램 단계마다 개발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 중 적절한 전략을 선택하여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수업에 투입하였다. 수업 실시 후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에 관한 사후 검사를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적용한 관찰 능력을 검사에서 학생들의 관찰 능력 수준을 상위단계로 발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관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인 진술문 구별하기, 정량관찰, 정성관찰 영역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관찰 전략의 적용은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 이해에 효과적이었으며 초등 과학 생물 영역 성취도 검사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점수가 높은 점수를 받도록 하였다. 셋째, 과학적 태도 검사에서는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인 개방성, 자진성, 창의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은 과학적 태도 변화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끼쳤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적용한 결과 관찰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모든 영역에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 전략은 초등학교의 과학 수업 현장에서 교수 학습 방법의 하나로 제시 될 수 있으며 의미있는 과학수업이 될 것이다.

  • PDF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및 실험 관찰 물리영역에 수록된 과학 전문 용어 조사 (Research of Scientific Terms for Physics Area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Laboratory Observation Books)

  • 윤은정;박윤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3호
    • /
    • pp.331-33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list of scientific terms to decrease students' difficulties of science learning. By using inductive method, database has established from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laboratory observation books. All terms from physics area of science textbooks and laboratory observation books at the levels of grade 3 to 6 were analyzed based o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1999) and Book of Physics Terminology (2005). As a result, we made a list of 204 scientific terms by grade level. Those were 51 words for grade 3, 55 words for grade 4, 56 words for grade 5, and 42 words for grade 6. And there were some incongruities among textbooks,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the Book of Physics Terminology.

  • PDF

고공탐사 로케트 개발에 관한 시스템 Integration (The system integration of sounding rocket)

  • 김두환;류장수;승성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8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한국전력공사연수원, 서울; 21-22 Oct. 1988
    • /
    • pp.627-632
    • /
    • 1988
  •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total system design and the system integration for sounding rocket with the purpose of the pure scientific research, that is, atmospheric research, resources observation, space observation and etc, the system will be operated easily, readily and effectively in the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f launching vehicles for the scientific satellite and communication satellite in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