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instrument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2초

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Scientific Attitudes in School, Home and Social Situations and Selection of Scientific Attitude Elements)

  • 송영욱;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5-38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 연구의 과학적 태도 요소를 고찰하여 중요한 과학적 태도 요소를 선정하고, 학교 실험실 상황 및 사회, 가정 상황에서 과학적 태도를 묻는 문항을 개발하여, 중학생들의 학교, 가정, 사회 상황에 과학적 태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국내 외 연구의 과학적 태도 요소를 조사하여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과학적 태도 요소로 개방성, 객관성, 계속성, 비판성, 신중성, 자진성, 정직성, 준비성, 협동성, 호기심을 선정하였다.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예비문항 제작 단계', '판단 단계', '타당도 검토 단계'로 진행하였고 선정한 과학적 태도 요소와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는 8학년이 7학년, 9학년에 비해 유의하게 낮고, 상황별 과학적 태도는 사회, 가정, 학교 상황으로 높고, 성별로 상황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cientific Problem-Finding Ability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

  • 류시경;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9-14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먼저,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5개의 하위 평가 요소(적절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가치 판단)를 선정하였으며 평가 기준을 구안하였다. 개발된 검사 도구는 내용 및 평가 기준에 대해 과학교육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을 거친 후 과학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투입되었으며,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구인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또한 채점자간 신뢰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문항 난이도 와 변별도 역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에 대한 합의된 정의를 도출해내어야 하며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더 나은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권재술;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1-264
    • /
    • 1994
  • There are a considerable number of instruments in testing science process skills in Korea as well as America and Europe. However, it has been difficult to find the instruments encompass the wide range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Most instruments developed and used in Korea were focused on a school level or a few components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whole body of scientific process and identified 10 component skills. Three items for each component process skills were developed and revised by two pilot tests. The final instruments showed moderate difficulty, discrimination index,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instrument was also tested the usability by finding differences of students' ability on science process skills by grade levels, sexes, and city siz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strument was proved to be useful to discriminates the differences.

  • PDF

어머니의 특성이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Characteristic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 이수진;정진수;천재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2호
    • /
    • pp.144-15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influence of mother's characteristic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N=667) and their mothers (N=681) were selected from three other regions, big city, small city, and country.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upports for scientific activities were measured by two kinds of instruments. The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includes three scales: cognition about value of science, affection toward science & science learning, and cognitive participation in scientific activities. And the instrument to measure parents' support for scientific activities includes two scales: indirect support and direct support. This research showed that mothers' various characteristics resulted in a difference in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heir mot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upport for scientific activities. Also mot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upport for scientific activities affected students' attitudes. Especially, mothers' personal interest in science and her mental and physical supports for children's scientific activities had a close relation with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 PDF

과학 탐구 평가표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Evaluating Inquiry Activity in Science Curricula)

  • 허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7-63
    • /
    • 1984
  • An inquiry approach in teaching science has been advocated by many science educators for the past few decades, and most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curricula have incorporated it in varying degrees. It has been proven in recent studies, however, that there exists considerable discrepancy between the expectation of outcomes of the inquiry approach and the actuality. This in part implies that there is a somewhat urgent need for the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approach in teaching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rehensive instrument for evaluating inquiry teaching approaches embedded in science curricular materials. To develop a more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a set of empirical data was used in the developmental procedure, and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inquiry teaching method and inquiry evaluation were consulted. The inquiry evaluation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called the Scientific Inquiry Evaluation Inventory (SIEI), is composed of three parts: (1) analyzing and coding each science process task of inquiry activity; (2) evaluating each inquiry activity as a whole; and (3) evaluating each science laboratory curriculum as a whole. The first part of the instrument consists of twenty science process categories and thirty subcategories grouped into four sections: (1) gathering and organizing data; (2) interpreting and analyzing data; (3) synthesizing results and evaluation; and (4) hypothesizing and designing an experiment. The science process categorie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level of difficulty, psychological level of thinking, degree of creativity demand, and the model of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which is also developed in the study. The second part of the instrument contains four evaluation scales of inquiry activity: (1) competition/cooperation scale; (2) discussion scale; (3) openness scale; and (4) inquiry scope scale. And the last part consists of three methods for evaluating a science laboratory curriculum as a whole: (1) inquiry pyramid; (2) inquiry index; and (3) difficulty index. The instrument is designed to be used by teachers, science curriculum developers and science education evaluators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he nature and appropriateness of scientific inquiry introduced in secondary science curricular materials, especailly in laboratory work and field work.

  • PDF

과학의 본성에 대한 중등학생들의 견해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Assessing Secondary Students'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 곽대오;김영수;성민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80-692
    • /
    • 2000
  • 오랜 동안에 걸쳐서 과학의 인식론과 사회학에 관련된 주제를 대상으로 학생들의 이해를 측정하는 표준화된 여러가지 조사 도구들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조사 도구들의 진술이나 선다형 선택지는 연구자들의 입장에서 제시된 경향이 있으며, 설문에 대한 응답에서도 연구자들이 요구하는 방식으로 학생들이 인지하고 해석하는 결점을 지적 받아 왔다. 학생들의 입장을 반영하여 경험적으로 만들어진 문항을 사용함으로써 조사 도구의 모호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조사 도구는 특정 이론에 의해서가 아니라 학생들에 대한 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 검사와 실제 경험에 기초하여 5단계 과정에 의하여 개발되었으므로 과거에 개발되었던 조사 도구들과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과학 교육 연구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있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측면을 과학의 목적, 과학적 탐구의 본질, 과학 지식의 본질과 위상, 그리고 과학 공동체의 본질과 기능으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설문의 내용을 세 영역 즉, "과학적 질문을 구성하는 특성", "탐구 실험의 특성", 그리고 "과학 지식을 주장하는 믿음에 대한 근거"로 구성하였다 "과학적 질문올 구성하는 특성"에서는 학생들이 제시된 네 종류의 질문에 대하여 과학적 질문인지 여부를 션택하고 그에 대한 정당한 이유를 밝히도록 하였고, "탐구 실험의 특성"에서는 피험자가 제시된 네 종류의 활동이 실험인지 여부를 선택하고 그렇게 선택하는 정당한 이유를 밝히도록 하였으며, 그리고 마지막으로 "과학 지식을 주장하는 믿음에 대한 근거"에서는 제시된 두 가지 친숙한 이론의 믿음 여부에 대한 정당한 이유를 밝히도록 구성되었다.

  • PDF

국민학생의 과학적 태도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정완호;허명;윤병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65-271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develop the scale for measuring scientific attitudes. This instrument was contain 37 items of five-point Likert format. This survey is designed to measure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3-6 grade. The main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1) The internal consistency(reliability) was estimated using Cronbach ${\alpha}$ coefficient. The ${\alpha}$ coefficient was 0.91. (2) Male students exhibite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females according to 2-Way ANOVA. (3) The interaction effect of sex and grade is not significant in level ${\alpha}=.05$. (4) The constructed scale was administered to 343 childrens in grade 3 to 6 of 8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Kyeung-gi province.

  • PDF

2DF ON THE AAT - PROJECT UPDATE AND FIRST SCIENTIFIC RESULTS

  • CANNON RUSSELL;TAYLOR KEITH
    • 천문학회지
    • /
    • 제29권spc1호
    • /
    • pp.367-370
    • /
    • 1996
  • Construction of the 'Two-degree Field' (2dF) instrument on the Anglo-Australian Telescope (AAT) is now virtually complete and commissioning is well underway. The key components are described. Several recent milestones are reported, including the first scientific results. Future prospects and plans are discussed.

  • PDF

중등 학교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 소원주;김범기;우종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7-13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예비 투입을 하는 것이다. 이 조사 도구는 넓은 영역의 과학철학적 주제를 담은 24개의 선다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도구의 진술문과 선택지는 다양한 과학철학적 관점을 분석하여 만들어졌다. 이 도구 속의 주된 과학철학적 체계는 귀납주의, 반증주의, 그리고 상대주의이다. 이를 구분할 하위주제는 구획의 기준, 과학적 변화 양상, 과학적 지식의 인식론적 지위, 그리고 과학적 방법이다. 또한 본 연구자들은 과학의 본성에 관련한 넓은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을 측정하고 해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PDF

탐구학습모형이 유아의 과학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quiry Model on the Scientific Thinking of Preschoolers)

  • 이영석;임명희;박호철
    • 아동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7-253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nquiry model on children's scientific thinking ability and processing skills. The experimental classroom of a kindergarten in Seoul was assigned the inquiry model while the control classroom was assigned general scientific education (N=48). Seventeen treatment session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ests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included the Sink and Float Test and a new instrument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Findings showed that preschoolers receiving the inquiry model of instruction gained higher scores in scientific thinking ability and processing skills than the preschoolers in the classroom using the general scientific education model. In sum, this study proved the superior effect of the inquiry model in developing children's scientific skills and 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