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cientific Problem-Finding Ability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measuring scientific problem-finding ability for the scientifically-gifted student. On the basis of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scientific problem-finding ability, this instrument consists of five sections(appropriateness, flexibilit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valuation) which are designed for measuring the ability of the scientifically-gifted. This instrument was checked the validity of content and evaluation criteria by the five experienced specialists in science education, and then was administered to 38 students of science high school. Because the validity of content and evaluation criteria, construct validity, inter-rater reliability, item difficulty, and item discrimination are suitable for the criteria of good test, this developed instrument in this study is considered valid and reliable.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먼저,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5개의 하위 평가 요소(적절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가치 판단)를 선정하였으며 평가 기준을 구안하였다. 개발된 검사 도구는 내용 및 평가 기준에 대해 과학교육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을 거친 후 과학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투입되었으며,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구인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또한 채점자간 신뢰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문항 난이도 와 변별도 역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에 대한 합의된 정의를 도출해내어야 하며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더 나은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숙 (2002).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 교육심리연구, 16(2), 153-172
  2. 김성훈 (1991). 문항제작과 문항분석 방법. 교육평가연구회, 37-65
  3. 김승훈 (2004). 중학생의 과학창의력 측정도구의 개발과 창의력 관련 변인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5. 김종안 (1998).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도구 개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류시경, 박종석 (2006). 낮게 구조화된 과학적 문제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발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65-774
  7. 류시경, 박종석 (2007). 고등학생들의 독창적인 문 제발견 능력과 학업 성취도, 과학 탐구능력, 창의적 성 격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63-271
  8. 박경희 (2004). 과학창의성 검사도구 개발과 과학영재아의 뇌 기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박종원 (2005). 학생의 과학적 탐구문제의 제안과정과 특성 분석. 새물리, 50(4), 203-211
  10.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서울대학교 과학영재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11. 윤경미 (2004).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문제발견의 차이 및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 분석. 부산대학교 박사 논문
  12. 이혜주 (2005). 구조화 정도가 다른 문제 상황에서 문제발견에 대한 제 변인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 초등교육연구, 18(2), 123-148
  13. 임현수 (1999). 창의성 측정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 전윤식, 김정섭, 윤경미 (2003).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문제 찾기. 교육학연구, 41(3), 215-238
  15. 신명경, 박종욱, 정현철, 허남영 (2004). 과학적 연구능력을 통해 본 영재학생에 대한 재고: 실험설계검사를 통하여.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674-683
  16. 조석희, 김홍원, 김세영 (2002).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17. 최미화, 최병순 (1999). 통합주제를 중심으로 한 중학교 수준의 통합과학 내용구성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204-216
  18. 하주현 (2003). 창의적 사고와 문제발견 사고의 연령에 따른 차이. 교육심리연구, 17(1), 315-331
  19. 하주현 (2003). 문제발견, 창의적 사고, 창의적 인성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3), 99-115
  20. 하주현 (2005). 문제발견연구의 탐색, 교육심리연구, 19(4), 917-932
  21. 한기순 (2001).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implication of problem-finding and real-world divergent thinking test. 한국교육, 28(1), 121-141
  22. 한기순, 신지은, 정현철, 최승언 (2002).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창의적인가-영재들의 과학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3(4), 324-333
  23.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2nd ed.):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Boulder, CO: Westview Press
  24. Csikszentmihaly, M. & Getzels, J. W. (1971). Discovery-oriented behavior and originality of creative products: a study with artis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1). 47-52 https://doi.org/10.1037/h0031106
  25. Dudek, S. Z. & Cote, R. (1994). Problem Finding Revisited. In M. A. Runco(ed.).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26. Feldhusen, J. F. (1986). A conception of giftedness. In R. J. Sternberg. Conceptions of giftedness. 112-127.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Getzels, J. W. & Csikszentmihalyi, M. (1976). The Creative Vision: A longitudinal study of problem finding in art. New York: John Wiley
  28. Hoover, S. M. & Feldhusen, J. F. (1990). The scientific hypothesis formulation ability of gifted ninth-grad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4), 838- 848 https://doi.org/10.1037/0022-0663.82.4.838
  29. Hoover, S. M. (1994). Scientific problem-finding in gifted fifth grade students. Roeper Review, 16, 156-159 https://doi.org/10.1080/02783199409553563
  30.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98912
  31. Jay, E. S. (1996). The Nature of Problem Finding in Students' Scientific Inqui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32. Jay, E. S. & Perkins. D. N. (1997). Problem Finding: The search for mechanism. In M. A. Runco(Ed.), The Creativity Research Handbook (Volume I), (pp. 257- 293). New Jersey: Hampton Press
  33. Mansfield, R. S. & Busse, T. V. (1981). The Psychology of Creativity and Discovery: Scientists and Their Work. Nelson-Hall
  34. Okuda, S. M., Runco, M. A., & Berger, D. M. (1991). Creativity and the finding and solving of real- world problems.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9. 45-53 https://doi.org/10.1177/073428299100900104
  35. Reiter-Palmon, R., Mumford, M. D., Boes, J. O., & Runco, M. A. (1997). Problem construction and creativity: The role of ability, cue consistency, and active processing. Creativity Reaearch Journal, 10, 9-23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001_2
  36. Runco, M. A. (1994).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37. Runco, M. A., & Okuda, S. M. (1988). Problem discovery, divergent thinking and the creative proces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7. 211-220 https://doi.org/10.1007/BF01538162
  38. Sternberg, R. J. (1985).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creativity, and wisdom.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49(3). 607-627 https://doi.org/10.1037/0022-3514.49.3.607
  39.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 (2000).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3rd Eds.), Texas: Prufrock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