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related career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7초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선호도 차이와 과학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Preferences for Science and the Role Gender Differences Plays in Determining Preferences for It Among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찬주;동효관;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216-22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f any) and the causes of preferences for sci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n such differences in preference begin and what their causes w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from elementary school A in Gyeongg-gi Province participated twice in research surveys on preference levels in science with education, career course and personal experience taken into account. A total of 997 survey responses, (excluding no responses or half-hearted ones) were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The analysis methods used were frequency analysis, cross stabs and one-way ANOVA Analysis which depended on survey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reference levels in science are 61.7% and the difference of preference levels in science between boys and girls are 31.2% and 30.5% with boys showing higher percentages in science preference levels than girls(p<.01). Moreover,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oint in which changes in preference level in science emerges is from fifth and sixth grades. Therefore, the gender difference in preference levels in science begins with fifth grade students, with science being slightly more favored by boys. finally, the main causes in gender differences seems to be the experiment participants' levels, scientific education textbook preference level, interests in science class, and plans for the future that are related to field of science. Among these causes, interests level in science class and preference levels in science are closely related.

  • PDF

이공계 진로의식 신장을 위한 초등 5~6학년용 설계기반 미래 유망직업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of Design-based STEAM Program for Boosting the Career Consciousness of 5~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 임유나;민부자;홍후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84
    • /
    • 2015
  • 본 연구는 생명 의공학 관련 분야의 미래사회 유망직업 가운데 초등학교 5~6학년의 교과 내용과 연계가 가능한 직업들을 선정, '설계기반 미래 유망직업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과 효과성을 확인한 것이다. 각 프로그램은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교과별로 통합이 가능한 성취기준들을 추출한 후, 과학 기술 공학의 최신 이슈를 포함하고 STEAM 준거(틀)에 따라 집단 숙의를 거쳐 9개월간 개발되었다. 또한 생명 의공학 관련 직업을 창의적 설계가 강조된 모의적인 형태로 진로를 체험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이공계 진로를 탐색하고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과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의 검증 단계에서 STEAM 리더 스쿨에 적용한 결과, 프로그램의 내용과 수준이 적합하고, 이공계 관련 직업에 대해 모의적인 경험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관심을 끌어낼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또한 현장적용 과정을 통해 자료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다. 최종 개발된 STEAM 프로그램을 다른 학교의 일반 학급에 투입한 결과, 초등학생들의 이공계 진로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과학 수업에 비해 STEAM 프로그램 적용 수업에 대한 학생 만족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과교육과정 내용 기준이 더욱 핵심적인 지식 및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대강화될 필요성, 교육과정 재구성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통합을 위한 기준'의 제공, STEAM 프로그램을 재구성 또는 조직하고 수업을 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 개발, STEAM과 같은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효과를 얻기 위해 장기간의 지속적인 지원의 필요성, 교과내에 통합된 진로교육의 강화등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환경영향평가 전문가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관련 요인 (Job Stress Levels in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and Related Factors Including Expert)

  • 지동하;전혜리;최수현;손부순;최미숙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73-382
    • /
    • 2010
  • A number of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occupational stress is closely associated with increased fatigue and decrease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stress in workers in the field of EIA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from July 2009 through september 2009, and questionnaires were uesd to analyze the stress scores and identify the primary factors influencing stress in this occupation. The number of respondents was 272 working in the Capital (Seoul and Kyunggido), Chungcheongdo, Jejudo area.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th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s, job-related factors, health-related behaviors, occupational stress, reaction factor (self-perceived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buffer factor (social support). Occupational stress and self-perceived fatigue were assessed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and the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 (MFS), respectively. The analysis reveal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with occupational stress being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fatigue and decreased job satisfaction.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stepwis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occupational stress were found to be job satisfaction, supervisor, fatigue, working time, no. of personnel, care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ccupational stress is a determinant predictor of self perceived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Thus, a strong recommendation is made for a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reduction of occupational stress, and for the development of relevant experts on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workers.

외식조리학과 재학생들의 선택, 성별, 학년별 변인이 블록식 교육만족도와 미래직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A Study on Choice, Gender,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a Block Education System and its Influence on their Job will)

  • 오석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1-63
    • /
    • 2012
  • 본 연구는 조리학과 재학생들의 학과 선택에 따른 블록식 수업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미래직업의지에 영향적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해 변인으로 선택, 성별과 학년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이와 함께 블록식 수업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미래 직업 의지에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서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과 학년별에 따른 수업만족도 T-검증 결과로 볼 때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성을 보였으며,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수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미래 직업 의지에서도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역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미래 직업의지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별 블록식 수업만족도 검증에서는 학년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학년별 미래직업의지에서는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결과적으로 1학년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고 4학년이 비교적 약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선택변인에 따라 블록식 수업프로그램 만족도를 검증한 결과 두 변인 간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유의성검증에서도 모두 p-value가 0.000으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신이 선택한 결과에 대해서 책임감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이미 많은 선행연구에서도 검증이 된바 있으며 블록식 수업에서도 같은 결과를 얻게 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블록식 수업만족도와 미래직업의지와의 관계에서도 p-value 0.000수준으로 유의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회귀결정계수도 0.840으로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 볼때 성별에 따라서 블록식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미래직업의지는 차이가 나는 것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블록식 교육시스템에서 육체적으로 더 힘들게 느끼는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학년에 따라서 차이는 없지만 미래직업의지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미래직업의지에서 1학년이 가장 높고 4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성별에 따라 블록시스템에 만족도가 다르고 학년에 따라 미래직업의지가 다르기 때문에 조리 교사들은 이러한 결과를 고려해서 학생들의 미래직업 준비와 수업만족도에 대한 개선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 PDF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직업만족도에 대한 연구 -사회인지진로발달이론의 통합직업만족모델을 중심으로- (Masseurs' Job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in South Korea -Test of Integrative Work Satisfaction Model i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 김기현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1-29
    • /
    • 2016
  • 피고용인의 직업만족에 대한 연구는 그들의 직업 적응과 결과를 가늠하는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직업만족 정도와 그 예측 변인들을 사회인지진로발달이론의 통합직업만족모델을 근거하여 탐구한 것이다. 현재 안마사로 종사하는 221 명의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 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신들의 직업을 통해 얻어지는 수익이 자신이 원하는 정도와 부합하고, 안마사로서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며,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습득한 직업 훈련 내용이 현 직업에서 수행하는 실제 내용과 잘 맞아 응답자들의 직업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적 가치와 직장이 추구하는 가치가 부합하는가와 가족, 친구, 그리고 중요한 사람들로부터 얼마나 많은 사회적 지지를 받는가 하는 요인들은 현재 연구에 참여한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직업만족 정도에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두 가지 중재효과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즉,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긍정적인 정서는 안마사들의 직업에 대한 주관적 부합과 직업만족 간의 관계에서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안마사들의 안마 효율성과 직업만족간의 관계에서 중재효과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입안자와 연구자, 장애인 재활 전문가를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지역기관을 활용한 중·고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Progra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Local Institution(KAIST))

  • 최진수;김영민;이영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5호
    • /
    • pp.3-15
    • /
    • 2020
  •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al change is require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adapt in the rapidly changing future.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nurturing convergent talents to create new values using the humanities imagin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reativity, and engineering problem solving ability has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EAM education program with Daedeok R&D Zone and KAIST resources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level. With this program,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ss of STEAM education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elf-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STEAM education with pre-test and poste-test model. For this study, 91 students(46 middle school, 45 high school) participated in STEAM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student participated in the STEAM program improve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tudents' interest in math and science. Also, students perceived STEAM program provided benefits of science-related career information. The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Ways to Restructure Science Convergence Elective Courses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12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앞두고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의 재구조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경우 비(非)이공계열 진로적성을 지닌 소위 문과계열의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비이공계열 진로적성을 지닌 학생들을 위한 과학과 선택과목이었던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을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실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교사 12명과의 면담을 통해 이들 선택과목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 과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으로 분류, 개정될 예정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등학생들은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을 교양 과학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흥미와 노력 부족, 학습내용 자체의 어려움 등으로 이들 과목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 과목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학생들은 주로 생활과과학을 선택하며, 과학사 과목의 경우 내용이 어려워서 교사도 학생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융합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을 간학문적인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내용접근성이 높은 융합선택과목 개발, 인공지능(AI)이나 첨단과학 관련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융합선택과목 개발, 모듈단위로 구성된 융합선택과목 개발, 간학문적 융합선택과목을 지도할 수 있는 과학교사 전문성 개발지원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남자 청소년의 성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A Study on the Variables Forecasting Male Adolescents′ Sexual Intercourse)

  • 김경희;권혜진;정혜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54-963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variables affecting male adolescents' sexual intercourse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descriptive survey on causal relations were 462 subjects enrolled in lib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selected on a convenience sampling basis. The data collected from May-July 2002 was put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build a forecast model. Findings: 1) Individual factors such as school record, experience seeking, non-inhibition and sexual permissiveness, 2) family factors such as parental living arrangement, 3) school factors such as career tract and 4) peer factors such as having a boy/girl friend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forecasting sexual intercourse.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The theoretical model built on the basis of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opefully help promote a wholesome youth culture related to sexual intercourse. It is recommended that a program be developed that can help control the variables identified in this study along with a follow-up study to verify the model.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 학교급 및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 조사 -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 Difference in school level and career -)

  • 강현영;이동환;고은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2호
    • /
    • pp.173-189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views on: (1) Requirements for good mathematics teaching (2) wha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nd supports are needed for these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the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 For it, we developed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was anonymously answered by one-hundred-five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We suggested implications rela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

간호사의 피부소독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과의 관계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Skin Disinfection)

  • 양남영;최정실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8-287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data about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skin disinfection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among nurses related to skin disinfec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174 nurses who worked at one Hospital in A city.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uring August, 201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use of SPSS/WIN 18.0. Results: The knowledge of skin disinfection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unit, 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Nurses' attitude towards skin disinfectio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unit, career, 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Nurses' practice of skin disinfection varied according to unit and position.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he attitude and knowledge were influencing factors of practice (55.6%). Conclusion: An educational program focusing on changing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can be effective for the practice of skin dis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