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museums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7초

가상현실(VR)을 통한 박물관 전시공간의 확장 가능성과 아웃리치 프로그램에서의 효용성 (The Impact of Virtual Reality on the Extensibility of Exhibition Space and the Usefulness of Outreach Program in the Museum)

  • 김현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83-92
    • /
    • 2017
  • 가상현실로 구축된 박물관의 전시공간은 현재와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현실로써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인 박물관 운영을 위한 실천방안이 될 수 있다. 특히 움직일 수 없는 물리적 공간을 이동 가능한 콘텐츠로 바꾸어주는 가상현실의 특성은 '박물관 밖 박물관'을 표방하는 박물관 아웃리치 프로그램에서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불러온다. 첫째, 물리적 환경에 구애받지 않는 편의성으로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박물관 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전시동선을 따라가며 박물관의 콘텐츠들을 맥락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셋째, 동일한 전시를 동시기에 관람할 수 있어 의미공유를 통한 사회적 담론 형성이 가능하다. 넷째, 전시교체가 손쉽고 이용자들에게 풍부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전시공간을 그대로 기록함으로써 아카이브로서의 가치가 높다. 여섯째, 오감을 통한 직접경험 방식이 관람객들을 관찰자에서 능동적 조작자로 전환시킨다. 일곱째, 아웃리치 프로그램의 참여 대상층을 넓히고 그에 맞는 교육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다. 이처럼 박물관에서의 가상현실 도입은 전시공간을 확장하여 박물관 경험의 기회를 증폭시킨다는 점에서 박물관이 문화복지를 실현하고 소통력 높은 공공기관이 되기 위한 지름길이 될 것이다.

라키비움 공간기획을 위한 리모델링 대상 기관의 현황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Remodeling Target Institution for Larchiveum Spatial Planning)

  • 최영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3-167
    • /
    • 2013
  • 최근 문화유산기관에 대한 이용 요구가 복합화 되어 가는 가운데 미국에서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통합한 라키비움의 개념이 제시되었고, 이후 국내 정보학계에서는 관련 연구가 유수 진행되었다. 그러나 라키비움은 아직까지 현실적으로 구현되지 않은 기관이므로 이에 관한 선행 연구들 또한 이론적인 전개에 중심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을 대상으로 라키비움 리모델링에 필요한 기관 현황 분석 활동 계획을 수립하였다. 방법적으로는 기존 라키비움 공간기획 연구의 절차를 정밀화하였고 분석 도구로는 관련 법률과 지침 등을 활용하여, 보다 현실적인 라키비움 공간기획의 실행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내 어린이박물관의 색채 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or System for Korea Children's Museum)

  • 유진;이성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9-53
    • /
    • 2007
  • Children's museum has roles of the characterized place for children as well as the museum for education. Therefore, specific color selection especially for childre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ints to be considered. This study is the short investigation on various interior color systems of children's museums in Korea. In case of Children's Museum in National Museum of Korea, each exhibition area is apparently divided by adopting colors in accord with the subject of each space. Middle color in that museum generally gives stability, and clear color and accent color give better perception and vitality Children's folk Museum has adopted Korean traditional colors, O-Bang Colors, which have indicated Korean tradition for ages. All sections in Incheon Children's Museum are spatially divided, but similar colors of ceiling, wall, and floor give boring atmosphere. Since original colors of furniture in Science section distract attraction of children, proper color selection should be required for better reaction from children. Therefore, this research is aiming for detailed investigation in color system of children's museum and the proper interior color planning of the next children's museums with their main purpose for children in the future.

  • PDF

박물관 전시 공간 조명 환경 기준 연구(I) - 색온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ghting Environment Standard for Museum Exhibition Halls, with a Focus on Color Temperature)

  • 이승은;노현숙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65-76
    • /
    • 2017
  • 기술의 발달과 친환경 에너지 필요성 증가로 인하여 박물관의 조명은 퇴색방지 형광등과 할로겐 등에서 LED 등으로 교체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ED 조명뿐 아니라 향후 박물관에 도입될 다양한 조명 검토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LED는 기존 알려진 것처럼 자외선은 거의 방출되지 않았으나 가시광선으로도 적산조도에 따라 변색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구색이라는 색온도 2800K의 LED와 백색의 색온도 5500K LED의 변색을 비교 실험하였다. 분광분포 스펙트럼에서 확인 결과 LED는 색온도가 높을수록 블루스파이크가 증가하는데 이에 따라 변색도 더 많이 발생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박물관에서 조명 환경 기준에 대하여 기존 조도와 더불어 색온도 등을 분광분포 스펙트럼을 활용하여 같이 검토할 필요가 있다.

홍대용이 제작한 천문시계 통천의의 기계동력시스템 (MECHANICAL POWER SYSTEM OF TONGCHEON-UI, AN ASTRONOMICAL CLOCK MADE BY HONG, DAE-YONG)

  • 민병희;윤용현;김상혁;기호철
    • 천문학논총
    • /
    • 제35권3호
    • /
    • pp.43-57
    • /
    • 2020
  • Hong, Dae-Yong manufactured the Tongcheon-ui (Pan-celestial Armillary Sphere) with cooperating clock researcher Na, Kyeong-Jeok, and its craftsman An, Cheo-In, in Naju of Jeolla Province in 1760 ~ 1762. Tongcheon-ui is a kind of astronomical clock with an armillary sphere which is rotated by the force generated by a lantern clock's weight. In our study, we examine the lantern clock model of Tongcheon-ui through its description of the articles written by Hong himself. As his description, however, did not explain the detail of the mechanical process of the lantern clock, we investigate the remains of lantern clocks in the possession of Korea University Museum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Comparing with the clocks of these museums, we designed the lantern clock model of Tongcheon-ui which measures 115 mm (L) × 115 mm (W) × 307 mm (H). This model has used the structure of the striking train imitated from the Korea University Museum artifact and is also regulated by a foliot escapement which is connected to a going train for timekeeping. The orientation of the rotation of the going train and the striking train of our model makes a difference with the remains of both university museums. That is, on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gear set of Tongcheon-ui's lantern clock, the going and the striking trains take on a counterclockwise and clockwise direction, respectively. The weight of 6.4 kg makes a force driving these two trains to stick to the pulley on the twine pulling across two spike gears corresponding to the going train and the striking train. This weight below the pulley may travel down about 560 mm per day. We conclude that the mechanical system of Tongcheon-ui's lantern clock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Japanese style.

자연사와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인식연구 (Perception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Natural History and Natural History Museums)

  • 최지은;김찬종;이창진;임진영;이선경;변호승;신명경;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69-88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사 및 자연사박물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인식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자연사와 자연사박물관에 대한 개념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인지도, 친숙도, 연상되는 것, 느낌, 포함될 분야 등을 알아보고, 둘째 개념의 접촉통로를 알아보기 위해 접촉매체, 교육경험, 관람경험 등을 조사한 후 마지막으로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에 대한 흥미, 관람에 대한 흥미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람들은 자연이나 환경에 대한 관심이 의외로 높지 않았다. 둘째, 사람들에게 자연사와 자연사박물관은 둘 다 들어본 경험이 드문 것은 아니지만, 친숙한 개념은 아니었다. 셋째, 사람들은 자연사와 자연사박물관이란 말을 들었을 때 공룡을 가장 먼저 연상했고, 자연사란 말은 '낯설지만 관심 있고 신비로운' 느낌을 주며, 자연사박물관은 '낯설지만 교육적이고 관심을 갖게 하는' 대상으로 지각하였다. 넷째, 자연사와 자연사박물관이란 말은 TV를 통해 가장 많이 접했다. 다섯째,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연사를 학교에서 배운적이 없었지만, 배워보고 싶은 요구가 높았고, 마찬가지로 자연사박물관을 경험한 사람이 드물었지만, 관람해 보고 싶은 요구는 높았다.

해외 국립 문학관의 서비스 사례 분석과 시사점 (An Analysis and Implications on the Services Cases of Overseas National Literary Museum)

  • 이지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01-127
    • /
    • 2021
  • 국내외에서는 문학과 관련된 자료를 전문적으로 수집, 보존, 관리 및 활용하기 위해 여러 문학관을 설립, 운영하고 있고, 2024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국가 주도의 종합문학관인 국립한국문학관을 개관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립 문학관을 개관하려는 시점에서, 선행연구와 선진사례를 바탕으로 국립 문학관의 전반적인 서비스의 현황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례 분석을 위해서는 해외의 국립 문학관 중 총 11개 기관을 선정하여 운영 목적 및 주요 서비스, 전시 서비스, 도서관 및 아카이브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 및 이벤트 서비스, 연구 및 출판 서비스, 그리고 기타 편의시설 서비스 등의 요소를 바탕으로 문학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국립 문학관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모색하며 도서관, 박물관 및 기록관 등의 문화 기관이 협업하여 하나의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국립 문학관을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 방향을 논의하였다. 국립한국문학관이 국가를 대표하는 문학 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타 문화 기관의 협력으로 한국 문학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극대화하여 문학 자원을 효율적으로 서비스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과학관 물리 전시물의 전시 형태 및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Physics Exhibits in Science Centers)

  • 이봉우;김설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209-21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which were presented in the physics exhibits of the following three museums; Seoul National Science Museum, National Science Museum and the Exploration Center.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73.7% of the exhibits were composed of 'dynamic exhibits', 87.6% of the exhibits were 'active involvement type exhibits', 48.3% of the exhibits were 'interest induction type exhibits' and 42.8% of the physics exhibits were composed of exhibits related to optics. Secondly, it was found that many elementary students seemed to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executing the activities in the physics exhibits.

  • PDF

첨단과학기술 체험전시를 위한 연출기법 및 전시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 첨단과학분야(NT, MEMS, BT)의 체험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display technique and display organization system for experience display of science technique - Focused on experience display of up-to-date science technique(NT, MEMS, BT) -)

  • 송현미;최준혁;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2-18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subject of up-to-date scientific technology, according with science museum, and to deviate from the old style, simply-seeing display, and the passive display which simply support narrative styles by one-way action. In addition, for motivating audience to take part in the display, this study is to analyze displaying technique, key marks of an exhibit and then to create the way which science museum should follow in order to plan interactive scenario and display technique. By 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museums, which I took for a sample, this study will work out display scenario, based on interactive concept, and experience display technique. Moreover, this study will suggest alternatives and basis in order to develop display technique of up-to-date science in science museum.

  • PDF

홀로그램을 이용한 문화재 전시 가능성 (The Possibility of Displaying Cultural Properties Using Holograms)

  • 손정영;전형욱
    • 보존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2
    • /
    • 1994
  • As a result of the great attention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the achievements of the natural sciences are finding their way into museums. The necessity of preserving the treasures of the artistic and cultural heritage has brought into being a new alliance, an alliance between science and culture. The most sciences of cultural properties pertain mainly to improvement of the methods of identifications,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historical monuments. Recently a new physical method has appeared that, in a sense, possesses universal capabilities. That method is holography, which successfully combines unique features making it possible not only to create three-dimesional optical replicas of real three -dimensional objects practically indistinguishable from the original but also to study them. We shall deal in this papper with its scientific principle and application for displaying, as well as on other potential applic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