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검색결과 2,668건 처리시간 0.028초

고등학생들의 지질학 관련 공간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Program for Enhancement of Spatial Abilities in the Units related to Geology of High School Students)

  • 이왕순;김혁;김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391-40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지질구조에 대한 공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지질 공간 방향 인식 및 공간 시각화 인식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에 소재하는 4개 고등학교 학생 6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학생들 중 4명을 대상으로 지질 공간개념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투입 결과, 학생들의 지질 공간개념 수준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p < 0.05). 또한 4명의 학생들의 면담결과 공간 시각화 과정을 거치는 학생들의 지질 공간 능력이 향상되었다.

국민학생의 과학개념, 과학과 관련된 태도, 지능의 상관 관계 연구 (Correlatio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Conception, Intelligence and Attitude to Science)

  • 권정민
    • 영재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1-15
    • /
    • 1995
  • The latest researchs show that students have their own preconceptions about scientific phenomena or theory before they learn about it in school. The preconceptions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intelligence and attitude to sci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rom 4th and 6th grade. Data were obtained by IQ test and the questionnaires on scientific conception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he result was analyzed by t-test, Correlation and ANOVA in the statistical packages SPSS/PC+.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scientific con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12.89. The mean score of attitude to science was 247.29. The mean score of intelligence was 109.93. 2.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cientific conception and intelligence (r=.5098)was relatively high(p<.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ttitude to science and scientific conception(r=.2364) was low(p<.001). 3. Significant difference on science conception was found among grade levels(p<.001). Significant difference on science conception was not found between sex (p>.05). 4.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y intelligenc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hese 4 groups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the scientific conception. The groups of high of high intelligence showed high scientific conception.

  • PDF

청소년의 효 인식과 실천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dolescents' Conception and Practice of Hyo)

  • 최영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4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adolescents\` conception and practice of Hyo(filial piety). Fifteen teams of 500 adolescents were allowed to discuss about Hyo for two hours and the team leaders presented what they had discussed. The subjects were 3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30 middle school students, and 40 high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from the discussion and present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adolescents\` conceptions of Hyo were different in the stages of school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ought that they should do Hyo because they got lots of mercy from par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oth thought that Hyo came from mutual(parent-children) understanding, but they showed somewhat different view about what disturbed the mutual understanding. Middle school students pointed the deficiency of parents'self-disclosure as a disturbing factor while high school students pointed the deficiency of adolescents'understanding of their parents. Second, the behavioral items that the subjects suggested as Hyo were analysed by the 12 Subvirtues of Adolescent's Hyo which was classified by Chung et al.(1996a). Adolescents could not propose any behavioral items for Thanks, Ancestor Worship, and Ecological Equilibrium, and some items for Advising Parents and Thrift. A lot of items were suggested for Moral Training, Supporting (Parents), Consorting (Parents), Respecting (Parents), Establishing Oneself, and Following Parents.

  • PDF

중등학생들의 과학과 생물에서의 '실험'의 의미에 대한 인식구조 비교 (Comparing the Structure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Experiment' in Science and Biology)

  • 이준기;신세인;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997-1006
    • /
    • 2015
  • 실험에 대한 메타적 인식은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과 생물에서의 '실험'의 의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인식을 구조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190명의 중학생과 200명의 고등학생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과학에서의 '실험'과 생물에서의 '실험'의 의미에 대한 두 문항에 서술형으로 응답하였다. 수집된 응답을 바탕으로 총 4개의 언어 네트워크가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과학에서의 '실험'에 대하여 중학생들은 '우리', '직접', '원리' 등의 단어를 중심으로 활동적 측면에서의 실험을 인식하였다. 반면 고등학생은 '이론', '사실', '내용' 등의 단어를 중심으로 지식을 생성하는 탐구과정으로서의 실험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생물에서의 '실험'에 대하여 중학생은 '해부', '몸'을 중심으로, 고등학생은 '생명', '관찰'이 중심으로 인식하여 생명체를 다루는 관찰활동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과학 교과 및 생물 교과에서 실험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본질과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 연구 (An Analytic Study of Beliefs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 남윤정;송영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4호
    • /
    • pp.649-669
    • /
    • 2008
  •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의 본질에 대한 인식과 신념 및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을 살펴보고, 수학교육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계고 학생들과 전문계고 학생들의 수학의 본질에 대한 인식과 신념,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을 비교 분석하였고 각 학교의 학생들에 대한 신념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반계고와 전문계고의 학교 유형별로 수학의 본질에 대한 인식과 신념,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 고등학교 학생들은 수학의 가치성에 대해 낮게 평가하였으며, 일반계고 학생들이 전문계고 학생들보다 수학의 '심미적 가치', '도야적 가치' 및 '실용적 가치'를 더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중등학교 과학 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 불안도 (Secondary School Students' Science Anxiety in Relation to Their Science Teachers' Teaching Styles in Korea)

  • 김영신;서유선;임수민;이효녕;윤회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7-37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o recognize students' science anxiety about science teachers' different teaching styles. One hundred seventy-four science teachers and 2,122 students participated. The teaching style questionnaire and the science anxiety measurement scale (SAMS) with teaching style were administered to teachers and students, respectively. Teaching sty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school level. The science anxiety related to each teaching style was analyzed and compared in terms of students' gender and school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ir teaching styles: expert, provider, facilitator and enabler. Most teachers fell under the expert style category and the least under enabler style. This indicated that numerous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employ a teacher-directed style rather than a student-centered style in class. Second, students felt the highest science anxiety with experts and the lowest science anxiety with enablers. The students' science anxie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different teaching styles (p<.05). Even though female students felt higher science anxiety than male students towards all four teaching styl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influenced by teaching style than high school studen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teachers to reduce students' science anxiety in classes based on results.

여고생의 성지식, 성태도 및 자궁경부암 지식이 인유두종바이러스 지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ex-related Knowledge, Sex-related Attitude, and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on Knowledge of Human Papillomavirus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유명숙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91-29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ex-relatedl knowledge, sex-related attitude and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on knowledge of human papilloma virus (HPV)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545 second-grad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of three different schools. Results: Knowledge of HPV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x-related knowledge (r=.36, p<.001), sex-related attitude (r=.14 p=.001) and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r=.62, p<.001). Significant predictors affecting knowledge of HPV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ere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beta}$=.57) and sex-related knowledge (${\beta}$=.11), explaining 39.6% of the variance in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178.34, p<.001). Conclusion: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knowledge of HPV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chool based sexual education linked to HPV and cervical cancer must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일반고와 과학고 학생들의 정신용량과 산화 환원 개념의 이해도가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ental Capacity and Understanding of the Oxidation Reduction Concepts on Senior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ompletion of the Balancing Redox Equations)

  • 최병순;김충호;이상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5-353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와 과학고 학생들의 정신용량과 산화 환원 개녀 이해 정도가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문제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러한 화학문제 해결에 대한 효과적인 학습 지도 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일반고 학생92명과 과학고 학생 5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정신용량검사, 산화 환원 개념 검사,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검사를 실시하고 성취도를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일반고 학생들은 정신용량이 클수록 산화 환원반응식 완결에서의 성취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과학고 학생들은 정신용량에 따른 성취도 차이가 없었다. 산화 환원개념 이해 정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고 학생들은 개념 이해 정독 전반적으로 매우 낮았으나 과학고 학생들은 비교적 높았다. 일반고 학생들은 개념을 부분적으로 이해한 학생들의 성취도는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 학생들의 성취도보다 높게 나타났고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 학생들은 정신용량이 클수록 성취도가 증가하였다. 과학고 학생들은 개념 이해 정도가 높을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산화 환원 개념을 완전하게 이해한 학생은 일반고와 과학고에 관계없이 그리고 문항 유형에 관계없이 높게 성취도를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이과 통합형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교 수학 및 과학 교과목 학습경험 분석: S 대학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신동주;김진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3-1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of new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and respond to strengthen basic knowled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81 fresh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S Universit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freshmen, the geometric subjects were significantly lower, which is the result of students' sensitive responses to transitional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SAT system after revision. In science, general elective subjects were higher than career elective subjects, and there was a deviation between science subjects, which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diversity and hierarchy of science subjects.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learning experience after revision compared to before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learning experience of Mathematics II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geometry decreased significantly. Both Chemistry I and II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the revision, and Earth Science I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strategic choices based on obtaining grades in the CSAT and disadvantages in college entrance exams.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sensitive reactions to changes in the high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were confirmed, basic mathematics and science-related courses were opened to alleviate variations in the academic ability due to elective courses, and countermeasures tailored to each university's situation.

해석적인 서술방식으로 구성된 과학 읽기 자료가 고등학생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pretive Style Scientific Reading Materials on the Change of High School Students' Philosophical Viewpoints on Science)

  • 홍상욱;임은경;장명덕;정진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4-240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을 조사하고, 해석적인 서술방식의 과학 읽기 자료가 고등학생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대전광역시의 일반계 고등학교 여학생 4개 학급을 2개 학급씩 각각 실험,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기존의 교과서에 나타난 확정적인 서술방식과는 다른 해석적인 서술방식의 과학 읽기 자료를 12주 36차시 분량을 개발했다. 과학 읽기 자료는 매 시간 10분에 걸쳐 투입되었으며, 자료의 이해를 돕기 위해 2개의 질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과학철학적 관점을 검사하는 도구로는 PPP (Philosophic외 Perspectives Prove)를 이용하였다. 고등학생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은 귀납주의적으로 편중되어 있었으며, 해석적인 서술방식으로 개발된 36차시 분량의 과학 읽기 자료를 학생들에게 처치한 결과, 학생들의 편중된 귀납주의적인 과학철학적 관점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24차시를 처치한 선행연구에서 변화된 관점이 어느 정도 회귀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변화된 관점이 지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