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lassroom cultur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9초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 김지민;정지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5호
    • /
    • pp.21-3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v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Participants were 194 infant care teachers from 52 infan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Psychological burnout was assessed by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Lee, 2011), psychological well-being was measured by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Cho & Cha, 2001) and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Bak, 1985). Date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burnout in terms of marital status, work experiences, classroom operation type and income. Second,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Thir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was purpose in lif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was self-acceptance, the third most influential factor was emotional support, and the least influential factor was environmental mastery.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psychological well-being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emotional support from a social relationship network should be enhanced in order to prevent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중·고등학생의 구강보건지식·태도·행동 및 교육요구도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behavior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needs for oral health education)

  • 최혜숙;황선희;안세연;심수현;최부근;공영미;한수진;황윤숙;장기완;정영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33-546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behavior among 918 secondary students and their needs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oongbuk Province. Methods :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an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rosstabs, t-test and ANOVA were utilized. Results : The girls proceeded the boys in oral health knowledge,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ahead of the middle schoolers i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hose who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surpassed the others who didn't i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p<0.01). The students hoped to be provided with oral health education by dental hygienists during regular classroom hours once per semester, 30 minutes to one hour at a once, and their favorite ways of oral health education were videotape watching and practice. As for needs for oral health educati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needs for that than the high schoolers, and the former's needs scores were above the average(p<0.05). Conclusions :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in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ir school system, gender and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s, but oral health education was provided without taking their differences into account. It was recommended, efficient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focusing on how to take care of and prevent oral diseases, and videotape watching and practice that were preferred by the secondary stud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grams.

학교의 변화를 마주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수업 실천에서 나타난 도전과 변화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Changing School Environment and Challenges for Teaching Practices)

  • 지영래;심현표;백종호;박형용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37-949
    • /
    • 2017
  • 최근 지능정보화사회가 가져올 급격한 변화에 대비하는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여 첨단 정보통신 기기의 도입과 활용이 중심이 되는 스마트 학교 등을 시도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혁신 학교 등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교실 환경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의 기반 시설과 교육과정을 비롯한 제도의 변화에 대하여 과학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 그러한 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한 인식 속에서 과학교사들의 수업 실천에서는 어떠한 도전과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일반학교와는 차별화된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중학교의 과학교사 2인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그들이 소속된 학교가 학교의 규모와 기반시설, 동료 교사들의 교사 문화, 학생의 역량 면에서 과학 수업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갖추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다양한 수업 방식을 시도하는 교사의 열정과 ICT 기반 시설에 적응한 학생들이 갖춘 역량이 시너지를 일으켜 선순환의 고리를 형성하면서, 교사들이 새로운 수업을 시도할 수 있는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지속적인 도전을 지원하는 학교 문화가 생성되었다. 셋째, 과학 수업은 활동 중심으로 변화하였고, 교사들은 이러한 변화가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촉진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스스로 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이 인식은 더 다양한 시도를 촉진하였다. 이러한 학교의 학습 환경과 제도의 변화, 자생적 교사 학습 공동체와 같은 도전과 혁신을 공유하는 문화의 형성을 통해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수업을 변화시키는 실천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었다. 이처럼 학교의 변화는 교사, 학생, 기반 시설의 상호작용 맥락 속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화의 요소들 사이에서 형성된 상승적 상호작용 속에서 변화의 핵심 주체인 교사의 도전과 실천이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공학윤리 교육모듈 컨텐츠를 이용한 전공교과목에서의 공학윤리 교육 (Implementing Instructional Modules for Engineering Ethics into Engineering Curricula)

  • 이영남;김대욱;유지범;황성호;김현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4호
    • /
    • pp.78-9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공학교육 전공 교과과정에서 한국의 사회적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문제 중심의 공학윤리 교육 모듈 개발 및 운영 사례를 고찰하였다. 전공 교수들이 독립적인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공학윤리교육 컨텐츠를 교수 제시 자료, 교안, 학습자 자료, 사전-사후설문지로 모듈화 하여 설계하였다. 본 모듈은 전공교과목에 접목할 수 있도록 75분, 2개 모듈로 구성하였고, 대단위/소단위별 교수-학습활동으로 구별하여 제시하고 2007년 1학기에 운영되었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기 위하여 비디오, 만화, 시 등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교수 제시 자료를 구성하였고, 공학적 상황에서 경험할 수 있는 친숙한 사례를 선별하였다. 전공 교과과정에서 모듈 1을 운영해 본 결과, 개발된 공학윤리 모듈은 학생들에게 학습동기를 유발시켰고, 토론을 통해 팀별 생각을 담은 사건 흐름도를 작성하는 활동을 통하여 공학윤리에 대한 학습성과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강의에 참여한 교수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전공 교과과정에 걸친 공학윤리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대학교육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