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lassroom cultur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2초

문화적 관점에서 학습환경 검사 도구 재해석하기 - 과학 교실문화 이해를 위한 활용가능성 탐색 - (Reinterpret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from Cultural Perspectives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for Understanding Science Classroom Cultures -)

  • 장진아;나지연;송진웅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238-251
    • /
    • 2015
  • This stud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discussion, reinterprets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from cultural perspectives and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for understanding science classroom cultures. To do this, the existing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are first investigated and compared in terms of their features and utilizations appeared in previous studies.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are then reinterpreted in the light of culture. Finally, we suggest the possibilities to use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to understand science classroom cul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by interpreting them culturally, could be interpreted in cultural ways and used as the alternative ways to explore science classroom cultures. Second, the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such as WIHIC and CLEQ, could be interpreted both along the dimension of phenomena in classrooms and the dimension of students' psychology in order to investigate science classroom cultures. Third, the instrument items could be interpreted culturally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types of instrument items. Thus, when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are used in culture research, the description types should be sufficiently taken into accou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exploring classroom cultures and of culture research.

A Case Study of Classroom Cultural Aspects Affecting Discussions and Discourses: A Conceptual Ecological Approach

  • Lee, Sun-Kyung;Park, Hyun-Ju;Myeong, Jeon-Ok;Kang, Kyung-He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1-340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the student's culture as a component of conceptual ecology that affects discussions and discourses in the science classroom.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aturalistic approach, mainly through observing a science class of a middle school in Seoul, Korea, an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case showed that the science classroom culture can be identified in four aspects: (1) knowledge; (2) the teacher; (3) classmates; and (4) self. These cultural aspects were strongly related to each other and functioned as constraints in discussions and discourses of the science classroom. For successful discussions and discours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tudents' cultural aspects: epistemological views on knowledge, the teacher-student and student-student relationships, and the role of self in the discussions and discourses.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수업의 특징: 과학수업 문화 분석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Science Classroom? : Developing a Framework for Cultural Analysis of Science Classroom)

  • 박준형;나지연;정용재;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99-50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수업 문화 분석을 위한 분석틀과 도구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서, 초등학생들의 개방형 서술 응답 분석을 통하여 과학수업을 바라보는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에 기반으로 하여 과학수업 문화를 질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소재 6개 학교의 초등학생 4학년과 6학년 총 571명이 작성한 응답을 3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여 분석틀의 6가지 범주(주요하게 드러나는 요인, 공동체의 권력구조, 과학 수업에서 중시하는 영역, 관심대상, 수업의 분위기, 참여형태)를 도출하였다. 각 범주에 따른 세부 분석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수업에서 주요하게 드러나는 요인은 실험, 재미, 교사, 그리고 공동체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교실 공동체의 권력구조는 학급 친구, 교사, 개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과학수업에서 중시하는 영역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으로 살펴볼 수 있다. 넷째, 과학교실 공동체에서 관심을 가지는 대상은 교사의 가르침, 실험, 지식과 의견의 이해, 지식과 의견의 공유로 나타났다. 다섯째, 과학수업 분위기의 형태는 장난치고 시끄러운 분위기와 재미있고 즐거운 분위기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생들의 참여 형태는 모든 구성원의 참여, 자율적인 참여, 협동적인 참여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수업의 모습과 그 특징에 바탕을 두어 과학수업 문화를 분석하는 질적인 분석틀을 제안할 수 있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과학수업의 문화적인 측면에서 나타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Understanding of Science Classrooms in Different Countries through the Analysis of Discourse Modes for Building 'Classroom Science Knowledge' (CSK)

  • Oh, Phil Seok;Campbell, Todd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97-625
    • /
    • 2013
  • This study explored how teachers and students in different countries discursively interact to build 'Classroom Science Knowledge' (CSK) - the knowledge generated situatedly in the context of the science classroom. Data came from publicly released $8^{th}$ grade science classroom videos of five nations who participated in the Third TIMSS (Trend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video study. A total of ten video-recorded science lessons and their verbatim transcrip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framework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a range of discourse modes were utilized and these modes were often sequentially connected to build CSK in the science classrooms. Although dominant discourse modes and their sequences varied among different lessons or different countries, the study identified three salient patterns of science classroom discourse: teacher-guided negotiation and the sequences of exploring - building on the shared and retrieving - elaborating. These patterns we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discursive features commonly witnessed in the community of professional scientists and interpreted as implying the existence of unique epistemic cultures shared in science classrooms of different countries.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to reveal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se epistemic cultures of science classrooms, as well as to confirm whether any cultural traits inherently shape the differences in science classroom discourse among different nations.

'실행공동체' 관점에서 과학교실문화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Analysis of Science Classroom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of Practice')

  • 천은겸;나지연;정용재;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1-142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실행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의 관점에서 과학교실문화를 분석하기 위한 조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활용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을 설정하고 요인에 따른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 6학년, 중학교 2학년 총 219명의 학생들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수정된 도구는 '학습 책임감'(responsibility for learning), '공동의 관심사'(common interest), '호혜적 인간관계'(mutual relationships), '개방적 참여'(open participation), '실행'(practice)의 총 5개 요인 2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조사도구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학생 총 706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조사도구가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초등학교 과학교실 공동체의 특성을 구조적 요인별, 학년별, 성별, 교사 특성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조사 도구는 공동체적 관점에서 과학교실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과학교실의 공동체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식 행위로서 수업 담화 분석: 초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 as an Epistemic Practice: Based o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s)

  • 오필석;안유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3호
    • /
    • pp.269-28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pistemic process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s by analyzing classroom discourse as a epistemic practice. Data came from four elementary teachers in the form of video-recordings. A total of 12 elementary science lessons were examined to reveal the discursive modes and sequences in which the teacher and students participated when they constructed and developed scientific knowledge during the lessons. Three representative discursive patterns were found in the elementary science lessons explored: (i) 'Retrieving-Retrieving-${\cdots}$' by which well-established scientific knowledge was retrieved repeatedly, (ii) 'Exploring-Building on the Shared' which allowed introducing new scientific knowledge based on the scientific phenomena explored by the teacher and students together through practical work, and (iii) 'Retrieving-Elaborating/Reformulating/Narrating' or 'Building on the Shared-Elaborating/Reformulating/Narrating' which expanded and strengthened scientific knowledge already learned. These discursive patterns were suggested as discursive-epistemic mechanisms employed frequently in the epistemic process in elementary science lessons and as a basis for defining epistemic cultures of science classrooms.

교단 선진화에 관한 연구 - PC 내장형 멀티미디어 교탁 디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the Teaching Platform: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esigning of the Teacher's Multimedial Desk Equipped with a PC -)

  • 윤여항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3-111
    • /
    • 1999
  • In the a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hen every aspect of economy, education and culture i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the teacher is not just a provider of knowledge in classroom. Ultra-modern educational tools and materials have come into being with the latest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we see classroom teaching in general tending towards more 'open' classroom and study. What the students need most for the coming century is the cultivation of higher faculties such as creative thinking, the power to solve problems, and the spirit of inquiry. The present-day teacher is required to make use of various teaching medial in order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for developing these faculties, not the teaching method of the past with the teacher at the center. One way to enhance classroom environment is in reintroducing the modernized teacher's desk to the center of teaching apparatus. This paper is about the better way of designing the teacher's multimedia desk equipped with a PC that will make it possible for the teacher to utilize the internet-based educational resources.

  • PDF

초등학교 과학 수업의 탐구활동에서 형성되는 교실 규범의 특징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Features of Classroom Norms Formed in Inquiry Activitie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 장진아;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03-31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과학 수업의 탐구활동 과정에서 어떤 규범이 형성되며 그러한 규범이 탐구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과학 탐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여러문제들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고학년 두 학급의 탐구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수업 관찰, 학생과 교사 면담, 설문지 등의 다양한 출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교실 규범에 대한 이론적 범주로서 생활규범, 범교과 학습규범, 과학탐구 학습규범의 세 가지 범주를 구축하고, 각 범주의 하위 규범들을 귀납적으로 추출하였다. 더불어 각 규범들의 유형과 특징, 그리고 수업 및 탐구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교실 규범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학교 과학탐구의 실행 과정에서 직면하는 실질적인 문제로서 첫째, 집단적인 탐구 수행이 갖는 구조적인 어려움, 둘째, 탐구수업의 여러 국면에서 다르게 구현되는 교사의 권위, 셋째, 범교과적인 교육적 가치와 과학 탐구에서의 가치와의 갈등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특징들이 학교 과학탐구의 실질적 실행과 교실 현상을 문화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갖는 의미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학고등학교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수업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High School Teachers' Beliefs of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 노희진;김동욱;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69-17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과학고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수업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이 사례 연구의 자료는 한 과학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세 명의 과학교사로부터 얻었으며, 면담과 수업관찰 등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과학고 운영과 교사의 수업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도 함께 수집되어 상호검증을 통한 일 치도 확인 방법으로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과학고 근무경력이 가장 많은 교사는 교사중심의 신념 을 가졌고, 실제 수업 역시 교사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과학고 근무경력이 가장 적은 교사는 학생 중심의 신 념을 가졌고, 실제 수업 역시 학생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반면 과학고 근무경력이 중간인 교사는 학생 중심의 신 념을 가졌으나, 실제 수업은 교사 중심으로 운영되어 신념과 실제 수업의 불일치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 과로부터, 학교 문화가 교사의 신념보다는 더 강하게 교사의 실제 수업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과 학고 근무 경력이 많을수록 교사의 신념은 영재교육보다는 대학 입학을 위한 지식 교육을 위한 교사 중심으로 변 화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고 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중등수학영재아들의 교실문화 이해 (Understanding of Classroom Culture of Gifted Youths in Secondary Mathematics)

  • 강윤수;정미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47-361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영재아들의 교실문화를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두 영재 교육원에서 진행된 수학수업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그들의 교실문화를 형성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찾고자 하였다. 수업과정에서 관찰된 내용을 확인하거나 보완하기 위해서 수시로 면담이 실시되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수집된 정성적 자료는 그때그때 분석되어 수학영재아들의 교실문화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주제화 되었다. 이 주제들로 범주화된 자료는 다시 통합적으로 분석되었는데, 그 결과로 다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수학영재아들은 학업능력을 최고의 가치기준으로 삼는다. 둘째, 수학영재아들은 영재교육원에서 영재아다운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는다. 셋째, 수학영재아들은 탐구, 토론형 학습의 장점을 잘 이해하면서도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 넷째, 영재교육원과 일반학교 교실문화의 차이는 수업형태, 교사와 학생의 역할 차이에서 연유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