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attitudes change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5초

SNS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 (A SNS Data-driven Comparative Analysis on Changes of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 윤유동;양영욱;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173-182
    • /
    • 2016
  • 인공지능은 현재의 컴퓨팅시스템 성능한계를 극복하고 컴퓨팅 환경을 발전시켜 다양한 분야의 기술 발전을 위한 핵심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세계 국가들은 물론이고, 국내에서도 인터넷 기업을 중심으로 사업화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 역시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술의 발전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그러나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이 공존하고 있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사람들의 의견을 분석하는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에서 수집된 인공지능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 데이터를 연도별로 비교 분석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긍정, 부정 여부와 함께 연도별 키워드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인공지능 분야의 연도별 키워드를 확인하였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공지능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비교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분야의 흐름에 대해 예측할 수 있었다.

공대 학생들의 두뇌 우성 사고에 따른 공학태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Engineering Science And Academic Accomplishment According To Brain Dominance Thinking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 박기문;이규녀;최유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4-139
    • /
    • 2010
  • 이 연구는 공대생을 대상으로 공학에 대한 태도 변인과 두뇌 우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대 학생틀의 공학에 대한 태도는 인지적 요소(3.73), 정의적 요소(3.05), 행동적 요소(2.86)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실적 맥락에서 공학적인 인지적 능력 배양뿐만 아니라 실험 실습과 같은 행동적 요소를 강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공대 학생들의 두뇌 우성 사고(A유형:분석자, B유형:관리자, C유형:협동자, D유형:합성가)에 따른 공학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분석적 사고의 특성을 갖는 A유형의 학생들이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적인 측면에서 학생을의 사고 유형에 따른 교수-학습 전략의 변화가 필요하며, 특히, 개별 학습자의 약한 우성적 특성과 사고유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수자의 교수-학습 전략과 실천이 중요하다는 교수자들의 인식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일반고 학생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과학 동기 수준 및 구조 분석 (The Analysis of Level and Structure of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Motivation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 하민수;김미영;박경화;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866-878
    • /
    • 2012
  • 자연과학고는 자연과학과 관련된 직업 교육을 특성화한 고등학교이며 자연과학고 학생들은 높은 수준의 과학 동기가 요구된다. 이 연구는 자연과학고 학생들과 일반 고등학교의 학생들의 과학 동기의 수준과 구조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자연과학고 학생 193명, 일반고 학생들은 208명이 참여하였다.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직업적 관심, 학습내용의 관련성 인식, 과학 점수 동기, 과학 수업의 필요성, 과학 수업에 대한 자기 의지, 자아 효능감, 과학수업의 즐거움의 7개 변인의 수준과 구조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자연과학고 학생들은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하여 7개 동기 요소 모두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과학 점수 동기와 과학 수업의 즐거움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7개 변인간 경로 분석의 결과는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하여 직업에 대한 관심이 수업에 대한 자기 의지에 대한 영향력이 더 높았으며, 과학 점수에 대한 동기가 수업의 대한 의지와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높았다.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자기 의지와 자아 효능감에 관련된 변인의 설명력은 일반 고등학교에 비하여 약 30%가 높았다. 이 결과는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과학 동기 구조는 일반 학생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명확하며, 직업에 대한 관심과 과학 점수동기와 같은 외적 동기 요소에 큰 영향력이 있었다.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 인공지능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인지적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ing the Framework of Evaluation on Learner's Cognitive Skil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Computational Thinking)

  • 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59-6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의 인공지능(AI)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내재적 사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의 기준과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수집을 위한 인지적 학습보조(Agency)의 단계, 수집된 데이터의 특징을 분해하여 데이터의 패턴을 인식하고 카테고리화 과정을 수행하는 추상화(Abstracting)의 단계, 추상화과정을 수행한 정제된 데이터를 토대로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모델링(Modeling)단계의 일련의 순차적 과정이 평가요소로 구성되었다. 또한 학습자의 인식, 학습, 행동, 결과에 대한 인지적영역에 대한 평가가 구성되었으며, 학습자의 문제해결의 과정과 결과에 대하여 지식, 역량, 태도의 영역에 대하여 측정을 하게 됨으로써 AI교육에 대한 학습의 내재적인 인지영역의 변화와 결과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프레임 워크가 설계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교수학습의 맥락에 따른 개별화된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AI교육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비자의 그린 제품 구매에 있어 "그린" 의미의 재발견 (Revisiting of Greenness to Consumers in Green Purchases)

  • 이한석;홍성태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10호
    • /
    • pp.107-114
    • /
    • 2019
  • Purpose - This is longitudinal research which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greenness to consumers' behavior. Consumers adopt green marketing as a new factor in product buying and consumption and more and more consumers prefer green product and services. Consumers' green buying behavior can be different from other purchasing experiences. There would be changes in the meaning of green as time passed and it can be different from countries to other countries. This study examines focus group studies with several groups. There is a ten-year gap between 2010 focus group and 2019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is ten-year gap, we can find the change of greenness to consum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urkish, Korean, Kazakhstan people.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and focus group interview was designed. We can gain information relevant to the research problem with using focus group study and get some insights into basic needs and attitudes of green marketing. The subjects for green purchase interviewee were confined to under 40 years old's shoppers regardless of gender. The first study was investigated with several groups in 2010 and the second interview were conducted in 2019. Results - Results show that the meaning of greenness for consumer has changed over time in accordance with the growing accordance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Basically, green marketing still means valuable, natural, recycle-able, good for health, clean, smart behavior, essential benefit. The concept of greenness significantly evolved since it was investigated in 2010. It moves away from focusing on specific environmental issues to considering global sustainability issues. Especially we found that greenness can be related with globalization, higher education, social status at the 2019 interview. Conclusions - This paper attempted to confirm the green marketing is essential and expands its meaning to various aspect. Usually, we can think green marketing is everywhere, therefore, people don't care about green issues in real. But consumers are adopting green marketing more and more, it can be a means to attract potential consumers. Therefore, companies should provide enough greenness information for people and they might apply greenness communication to attract potential customers.

강황, 커피염색 면직물의 위생학적 성능과 Printing의 영향 평가 (Evaluation of Hygienic Properties and Effects of Printing on Curcuma- and Coffee-Dyed Cotton Fabrics)

  • 박순자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3-154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fabrics using non-toxic and eco-friendly natural dyes made from curcuma and coffee extract. The natural dyes were applied to non-printed cotton fabrics using the dip dyeing method, and the pattern was hand-printed onto the dyed fabrics to make dyed printed-fabrics. The four types of developed fabric samples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yeing materials and printing on the hygienic properties of curcuma- and coffee-dyed fabric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ir permeability of both curcuma- and coffee-dyed fabrics was greatly affected by the presence of patterns, although the type of dye did not seem to have an effect. Printing greatly reduced air permeability of the fabric, and coffee-dyed fabric showed greater reduction of dyeing method than curcuma-dyed fabric. Moisture regain also tended to decrease with printing, but the change was much smaller compared to air permeability. Second, increased UV blockage was observed in curcuma- and coffee-dyed fabrics with patterns compared to non-printed fabrics, showing that printing enhanced UV blocking. Third, deodorization rate tended to increase sharply for both curcuma- and coffee-dyed fabrics until 30 minutes and gradually increased thereafter to yield 30% for curcuma and 50% for coffee at 120 minutes, demonstrating higher deodorization of coffee dye. Coffee-dyed fabric showed an antibacterial rate about twice as high as that of curcuma-dyed fabric, and the observed data suggest that curcuma-dyed fabric had an insignificant level of antibiosis. Fourth, printing significantly enhanced wash, sunlight, and compound colorfastness of the two types of dyed fabrics. The effect of printing was most dramatic on sunlight and compound colorfastness, which are aspects in which natural dyed fabrics perform poorly in general. Eventuall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iologically- and environmentally-friendly fabrics with natural dyes correspond with increased interest towards the wellness and healthy attitudes of modern society.

평택시민의 환경인식에 따른 환경보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Based upon Pyeongtaek Citizens'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 이장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59-770
    • /
    • 2014
  • 평택시는 우리나라 도시 중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변모하고 있는 지역이다. 평택시가 도 농복합도시에서 향후 10년 이내에 인구 100만 명에 이르는 최첨단산업도시로 육성 발전 될 것으로 기대됨으로써 그에 따른 많은 환경오염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인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평택시민들의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과 자연보존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환경인식 설문조사는 평택시의 22개 읍 면 동(3읍, 6면, 13동) 단위의 주민 자치 단체를 통해 주민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SPSS 12.0을 사용하여 주민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제반 인식을 조사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평택시민들은 대부분이 환경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잘 보전되는 가운데 조화로운 발전을 이루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민들이 갖는 환경현안 중에서 가장 심각하고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 그 현황을 기술하고 평택지역의 지속가능한 환경보전을 이루기 위해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학에서 과학으로의 전이학습프로그램의 효과 (Influence of transfer learning program from mathematics to science)

  • 성창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1호
    • /
    • pp.31-44
    • /
    • 2015
  •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서 학습한 지식을 과학적 개념을 학습하는데 직접 적용해보는 전이학습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수학 교과에서 학습한 비율 개념이 과학 교과의 속력 개념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학생들 스스로 탐구해보는 전이학습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그것이 학생들의 비율 개념 이해와 수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이 학습은 학생들의 비율 개념 이해를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또한 실제적으로 효과가 있었다. 더욱이 '고정된 비' 수준에 머물러 있던 35명의 학생 중, 17명의 학생이 '내면화된 비' 수준으로 이동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수학학습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전이 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비율개념이해 수준을 높이고 긍정적인 수학학습 태도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다. 본 연구는 전이에 성공할 수 있는 인지적 조건을 찾는데 주안점을 두기보다는 전이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것의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빅데이터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마스크 관련 언론 보도 및 태도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nge in media's reports and attitudes about face mask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a study using Big Dat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ling)

  • 서예령;고금석;이재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31-740
    • /
    • 2021
  • 본 연구는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적용하여 한국 내 세 번의 코로나19 대유행 시기를 기준으로 마스크와 관련된 뉴스 빅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시기별 마스크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언론보도가 마스크 정책과 관련된 주제에서 사건사고 위주로 바뀌어가는 것을 실증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즉 제1차 시기의 경우 마스크 생산과 공급이, 제2차 시기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 및 관련 사건사고가, 마지막인 제 3차 시기에는 주로 사건사고 위주로 토픽이 다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해당 연구를 통해 마스크 공급, 확보, 착용 외 다른 보건정보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2,3차 시기 보도가 사건사고에 치우친 부분은 향후 언론보도의 접근성 및 태도에 대한 개선점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코로나19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거시적이고 사회 전체적인 논의가 진행될 수 있도록 언론보도가 변화해야 할 것이다.

The Influence of Maternal Educational Level on the Oral Health Behavior of Korean Adults

  • Young-Eun Jang;Su-Kyung Park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2-319
    • /
    • 2023
  • Background: Parental attention is crucial for preventing childhood oral diseases. Mothe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maintaining their families' oral health, and their educational level influences their children's oral health behavio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mothers' educational levels on adult oral health behaviors using data from a national survey.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secondary data. The data used were obtained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to identify participant characteristics. Next, t-test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on the distribution of the dependent variable. Fi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explanatory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using "no education" as the reference value, and calculate the odds ratios. Results: Children of mothers with a college education or higher had a 1.13 times higher likelihood of receiving oral examinations than those whose mothers had no education. Children whose mothers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had a 2.23 times higher probability of receiving preventative dental treatment than those whose mothers had no education. Children whose mothers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had a 1.92 times higher probability of receiving scaling than those whose mothers had no education. Children whose mothers graduated from high school had a 1.35 times higher probability of receiving scaling than those whose mothers had no education. Conclusion: Developing oral health programs is important for low-educated and low-income parents to change theirs and their children's oral health behaviors/attitudes. This will help reduce oral health disparities among adults raised by parents of higher and lower socioeconomic statuses. Therefore, a comprehensive approach is essential for adults to maintain good oral health, regardless of variations in their parental educational levels during childh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