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ing cultur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8초

중학교 교사들의 교직문화와 직무만족 (Middle School Teachers' Schooling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 장한기;강경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1-10
    • /
    • 2006
  • A total of 480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for this study and 414 collected, and 410 analyzed excluding inadequate on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First, the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ir schooling culture to be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in nature, rather neutral. They felt administrative work was over emphasized in schools. Second, their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slightly above neutral. Factor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human relations, and work-itself showed above neutral and only 'reward and self-actualization' factor below neutral: The 'reward and self-actualization' factor was hindrance to job satisfaction.Third, schooling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a toxic culture.

공동체의식의 함양에서 본 한국 학교교육의 문제점 (Problems of Korean School Education Seen from the Standpoint of Enhancement of Community Spirit)

  • 정태연;전경숙;박은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469-48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학교교육이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데 기여하고 있는지 여러 문헌과 자료들에 근거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공동체의식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주제로,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덕교육, 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및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의 학교교육은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데 그 목적을 두기 보다는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적 기능에 국한되어 있었다. 도덕교육은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며, 자원봉사활동도 점수를 따기 위한 의무적인 활동의 성격이 강했다. 학생들의 학교와 한국국민 및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도 상당히 부정적이었다. 결론에서, 이러한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공동체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학습자 주도 평가의 효과성 고찰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earner-led Assessment in Software Education)

  • 신희남;안성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2호
    • /
    • pp.101-106
    • /
    • 2020
  • 미래교육을 준비하면서 소프트웨어 교육은 그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운영의 내용과 더불어 평가 부분도 중요한 영역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학습자 주도 평가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이것이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초등학생 대상으로 학습자 주도 평가 모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학습자 주도 평가는 학생들의 창의력, 문제해결력, 정보 활용력 등의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흥미 또한 높아지게 하였다. 앞으로 관련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이 학생주도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해 미래교육을 준비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청소년주의와 세대 신화 (The Myth of Youthism)

  • 원용진;이동연;노명우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6권
    • /
    • pp.324-347
    • /
    • 2006
  • 청소년과 관련된 연구들은 '청소년주의'라는 덫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 집단을 단일한 특성을 지닌 연령 집단으로 보는 가정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그 집착은 청소년을 성인세대와 대당으로 놓는 경향으로 연장된다. 이어 세대 논쟁으로 옮겨가기도 한다. 물론 이 같은 분류 혹은 대당은 전혀 근거가 없지는 않다. 대중매체의 성장으로 인해 청소년 세대의 문화가 획일화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일면 정당성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청소년들이 학교라는 공동체를 통해 동일 정체성을 가질 가능성도 과거에 비해 높아졌다. 하지만 청소년 집단이 성인기에 진입한 후 동맹집단으로 존재하지 않고 있음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청소년 집단을 세대 집단으로만 한정짓기에는 청소년을 내부로부터 구별지어주는 명백한 변인들이 존재하고 있다. 부모의 계급이나 청소년들의 성별 등에 주목하지 않고서는 청소년 집단의 내부적 차이, 그들의 '구별 짓기' 등을 설명해낼 수가 없다. 청소년주의라는 덫은 연구자가 오류를 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소외시키는 신화적 효력을 내게 된다.

  • PDF

일본의 남성 맞춤복 테일러링 문화에 관한 구술사 연구 (Oral history study on Japanese menswear custom-tailoring culture)

  • 이예영;류웅현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2호
    • /
    • pp.166-180
    • /
    • 2020
  • This oral history study explores the past and present Japanese menswear custom-tailoring culture. Two master tailors with more than 50 years of experience and two young tailors with less than a year of experience were interviewed about the tailor training process and environment, working conditions, thinking and behavior, and societal and governmental efforts for vitalizing custom-tailoring. The results indicate, first, a 10-year apprenticeship was required in the past, whereas young tailors today must register for three-year professional tailoring classes. Tailors then and now have been trained in a similar sequence of pants, vests, and jackets. Second,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tailors had to provide gratitude services to their masters for a few years, even after their training ended. In contrast, young tailors today must continue a probationary period after their three-year schooling; however, they experience difficulty with finding tailoring shops for their probation. Third, in terms of thinking and behavior, master tailors learned their trade to earn a living, whereas young tailors today entered the field due to their interests in it. In addition, young tailors want a systematic learning process, whereas master tailors learned their skills while on the job. Last, tailoring academies today are run by tailoring shops and societies. Career exploration programs are offered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by the Kobe government in association with the local tailoring society to provide tailoring experiences.

The Correspondence of Culture and E-Learning Perception Among Indian and Croatian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Simmy Kurian;Hareesh N Ramanathan;Barbara Pisker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2권3호
    • /
    • pp.656-683
    • /
    • 2022
  • The COVID-19 pandemic has profoundly affected the world, inflicting nationwide lockdowns interrupting conventional schooling throu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struggling to maintain learning continuity through remote learning solutions. Still,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is 'new normal' mode and pace of learning needs to be examined to ensure the success of these efforts.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perception of higher education students in India and Croatia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association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the e-learning. The period considered for the data collection was from March 2020 to September 2020. Correspondence analysis was attempted to create spatial maps to depict the respondent choices. Students from both the regions agreed to the high-power distance that existed in their cultures and considered the role of device and content to be an important dimension of e-learning for it to be effective, but the results also pointed out some differences in their choices on other culture dimensions as well as factors affecting e-learning which make this study unique and suggest in-depth future research for conclusive results.

Incorporation of Media in the Activities of Scientific Librar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 Horban, Yurii;Berezhna, Oksana;Bohush, Iryna;Doroshenko, Yevhenii;Kovbel, Viktor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59-66
    • /
    • 2022
  • Students can successfully connect with one another thanks to the introduction of Web 2.0 and the tools and technology linked with it. The fact that rising digital tools are systematically influencing the education system is not a secre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ticle efficiently evaluates the influence of incorporation of media in the activities of the scientific library of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research Methodology is the Concepts, techniques, and procedures to effectively inculcate primary and secondary data to conduct the research effortlessly. It's worth noting that in this case, quantitative primary research was provided in the form of a survey. The researchers have proposed a survey in order to successfully instil a comprehensive view on the "incorporation of media in the operations of the scientific librar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s a result, fifty-on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principals were asked to attend this session. This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y are both well-educated and cognizant of the impact of technology innovation on schooling. As a result, the researchers were able to gain a comprehensive view of this situation thanks to this survey. The results effectively showed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believe that social media plays a vital role in shaping up higher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y believe that the libraries of famous educational institutions must adapt as per the new educational trend so that teachers and students both can tap into its benefit.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 is manoeuvred by the efficient survey analysis and at the same time, peer-reviewed journals have been employed to put forward authentic information. Therefore, efficient insight regarding this topic has been gathered by the researchers.

충남 지역 일부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식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Eating habit of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 정혜경;김미혜;우나리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6-18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university students feel as stress in their daily lif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and their eating habits. The subject are students enrolled at 'H' university in Asan. There are 801 students who response for this research.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fe stress and eating habit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analyzed that the objects suffered stress most by 'schooling' and 'job complication.' Surveying the general eating habit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found that they do not eat meal regularly, i.e., 'average meals (40.9%)' and 'irregular meal(35.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regularity of meals between sexes. When it comes to overeating or voracity, male students answered 'sometimes(77.6%)' or 'often(22.5%)', but female students answered 'sometimes(66.2%)' or 'often(28.2%)', which means that female students are more frequent in overeating or voracity. The frequency of eating snack is more than once a day 60.1% in female students and 47.3% in male students, which shows that the rate of female student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Survey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that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uffer and the regular meal, we found that both of them tend to eat meal irregularly if they are stressed. Comparing the stress for its factor, male students eat meal irregularly if they are stressed by 'schooling' and female students eat meal irregularly if they are stressed by 'figure.'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time spent for meal, it is found that while male students eat meal in a hurry when they are stressed by 'job affair', female students do so when they are stressed by 'home econom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snack and stress, both male and female tend to eat snack more frequently when they are stressed more. In general, males like the oily food more than male, but when students get stresses, females want to eat oily food than male.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preferential menu, males like green vegetables, sea food in the life get less stresses than others Females like a menu of meat get higher stress than others.

웹툰으로 상상하기: 중학교 웹툰 중심의 융합교육 프로젝트 (Imagining through webtoon: Webtoon-focused convergence education project in middle school)

  • 박유신;임세희;정현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5호
    • /
    • pp.451-477
    • /
    • 2016
  • 21세기의 학교교육담론에서 융합적인 교육과정과 미디어 리터러시는 교육개혁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미디어의 변화에 따른 지식의 형성 및 전달 방식의 변화가 지식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교과중심의 교육을 점차 융합 교육의 형태로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에 기반한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초학문적 교육과정들이 학교교육의 현장에서 자생적으로 확산되는 현상은 주목할 만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가 진행한 일련의 융합교육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웹툰을 중심으로 한 융합교육 프로젝트가 창의적 체험 활동(동아리)을 중심으로 한 교과 교육과정의 융합, 학교와 학교 밖 공간을 넘나드는 학습 공간의 융합, 대중문화, 예술, 현실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상상적 세계의 융합을 (어떻게) 이루어 내는지 그 과정을 탐색하였으며, 연구자들은 학교 방문을 통한 주요 행사의 참여 관찰, 교사 인터뷰, 수업 자료 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사례를 내러티브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주제(텍스트)로서의 웹툰은 자연스럽게 초학문적 교육과정을 이끌어내며, 학교 안과 학교 밖의 공간을 넘나드는 학생 참여 중심의 학습 공간을 형성하였고, 학생의 삶과 문화예술을 연결하는 교육을 만들어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 독자의 목소리를 매개하고 중재하여 교육과정으로 구성하는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재발견한 것 또한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이다.

탐구-중심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에 관한 사례연구: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Teacher's Role in Inquiry-Oriented Mathematics Instruction: Centered o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김익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77-199
    • /
    • 2008
  • Streefland(Elbers, 2003)는 네덜란드에서 11세에서 13세 사이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탐구-집단(community of inquiry)의 구성과 활동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에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교사가 도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했다. Goos(2004)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고등학교 3학년 수학교실에서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 탐구 문화를 고등학교 2학년 교실에서 교사가 어떻게 형성시키는지를 관찰과 인터뷰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에서는 대학입시 제도를 포함한 다양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탐구-중심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과 관련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탐구-중심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탐구-중심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탐구-중심 수업 모델을 바탕으로 소집단별로 문제를 선정하고 해결하면서 학생 스스로 수학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조력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에 관하여 탐색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