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yth of Youthism

청소년주의와 세대 신화

  • Published : 2006.11.14

Abstract

`Youthism` is pushing the youth research field into a trap of binarism fallacy. It tends to divide the whole population into the young and the old, and further gives an acceleration toward moving the division into the discursive realm of generation gap. The discursive transference is not taking place without any reasonable grounds. The series of discourse is based on two significant phenomena: changes in media background and longer schooling than ever before. Media environment overriding youth culture binds the young in a group and makes them enjoy homogeneous cultural genres. And schooling also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youth to have same cultural menus regardless of region, social strata, cultural background. But we need to recognize that after getting into the adulthood, they are not existing in the form of alliance. The youth are not in a homogeneous group. Neither are their culture. The youth are consisted of a variety of groups along such variables as gender, class of their parents. They tend to make distinction not only from the older generation but from the other peer groups. Unless avoiding the trap of youthism, we are blamed for closing eyes to the youth's desire to be distinctive among themselves. Youthism seems to be an active myth even in our academic society.

청소년과 관련된 연구들은 '청소년주의'라는 덫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 집단을 단일한 특성을 지닌 연령 집단으로 보는 가정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그 집착은 청소년을 성인세대와 대당으로 놓는 경향으로 연장된다. 이어 세대 논쟁으로 옮겨가기도 한다. 물론 이 같은 분류 혹은 대당은 전혀 근거가 없지는 않다. 대중매체의 성장으로 인해 청소년 세대의 문화가 획일화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일면 정당성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청소년들이 학교라는 공동체를 통해 동일 정체성을 가질 가능성도 과거에 비해 높아졌다. 하지만 청소년 집단이 성인기에 진입한 후 동맹집단으로 존재하지 않고 있음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청소년 집단을 세대 집단으로만 한정짓기에는 청소년을 내부로부터 구별지어주는 명백한 변인들이 존재하고 있다. 부모의 계급이나 청소년들의 성별 등에 주목하지 않고서는 청소년 집단의 내부적 차이, 그들의 '구별 짓기' 등을 설명해낼 수가 없다. 청소년주의라는 덫은 연구자가 오류를 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소외시키는 신화적 효력을 내게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