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adjustment

검색결과 1,318건 처리시간 0.025초

보건계열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of Health-Related Majoring Students on College Life Adjustment)

  • 장철;김민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5-104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lth science majors' communication skills on their adjustment to college life. Methods : The subjects were 336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 science at colleges located in Busan. The survey's questionnaire comprised 38 items, including 15 items for communication skills and 19 items for adjustment to college life. Results : In the gender-based comparison of communication skill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female students had better communication skills, with overall higher scores than male students for the understanding others and communication. In the age-based comparison of communication skill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students aged 21 to 22 showed the best communication skills, while students aged 18 to 20 exhibited the least communication skills. In terms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ose aged 25 or older scored the highest, and those aged 21 to 22 scored the lowest. In the school-year-based comparison of communication skill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ird- and first-year students showed the best and least communication skills, respectively. Overall,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were more adjusted at adjusting to college life than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Third-year students also scored the highest in academic adjustment, whereas second-year students scored the lowest. In term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their adjustment to college life, communication skil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ollowing subdomains: understanding of others,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kills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the college environment, including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Conclusions :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communication skill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health science majors' adjustment to college life. However, given that communication skills are an essential factor for effective work performance and greater job satisfaction, it is recommended that colleges provide students with relevant education and experiences to help them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while in school.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 적응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정체감을 중심으로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of Low-Income Families: Ego-Identity and Perceptions of Parenting Behaviors)

  • 민하영;권기남
    • 아동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1-92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arent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low-income children have indirect effec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rough ego-identity. The subjects were 148 6th grade children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amily income was less than 2,000,000 won, Statistical techniques were Person's Correlation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Findings were that (1)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school adjustment in low-income children. (2)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ego-identity of low-income children. (3) When the effect of perceived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s was controlled, the effect of ego-identity of low-income children was significant. However, when the effect of ego-identity of low-income children was controlled, the effect of perceived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s became non-significant.

  • PDF

중국 조선족 아동과 한국 화교 아동의 문화접변 유형 및 학교적응 비교연구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School Adjustment of Korean-Chinese and Chinese-Korean Children)

  • 조복희;이주연
    • 아동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5-111
    • /
    • 2006
  • In this study of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adjustment in Korean-Chinese and Chinese-Korean children, 273 Korean-Chinese and 207 Chinese-Korean were asked about levels of assimilation to the mainstream language and culture, ethnic identity, emotional attitude toward their schools, teachers' support, peers' support, and social distance from the mainstream. Results revealed that separation was the most preferred strategy followed by integration, assimilation, and marginalization for both subject groups. Children categorized by separation strategies reported highest scores in school adjustment variables and lowest scores in social distanc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Korean-Chinese and Chinese-Korean children in cultural assimilation, ethnic identity, emotional attitude toward school, and teacher's support. These findings were explained by their immigration history and the uniqueness of each mainstream society.

  • PDF

간호대학생의 외모만족과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박순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02-31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외모만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조사하고 자아존중감과 성별의 매개 또는 조절효과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18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외모만족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은 외모만족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또한 성별은 외모만족과 자아존중감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었으나 외모만족과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사이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만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증진하기 위한 전략으로 외모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증진하고 자아존중감의 강화가 필요함을 의미하며 여학생을 대상으로 특화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선천성심장병 아동이 인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to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Childre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 이혜정;유일영;김소선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84-90
    • /
    • 2011
  •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as perceived by the child to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school age children with Tetrology of Fallot (TOF). Methods: In this stud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participants included 38 children who were registered in a pediatric cardiology clinic in one tertiary medical center. Their ages were between 11 and 15 years. They were diagnosed with TOF, and had no other congenital problem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 to November 30, 2009. After obtaining telephone consent from the mothers and children,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64 participants and 3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WIN 15.0 vers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TOF. Conclusion: Children who perceive their mothers' parenting attitude to be more positive also report higher self-esteem and better school adjustment. These findings are similar to other studies done with healthy school age children. However, parents of children with TOF may require different parenting approaches to foster positiv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저소득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생태학적 영향요인: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을 중심으로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

  • 박지영;박영숙;이정은;김수빈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58-167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income families. Methods: Secondar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of 1,321 low-income adolescents in 123 regions found on the Survey on Servic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are Center. Results: The results of multi-level analysis i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as follows: individual-level factors were gender, grade in school, and emotional problem; an interpersonal-level factor was family structure; organizational-level factors were length of time attending center and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the center; community-level factors were region and perception of communit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low-income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is influenced not only by individual factors but also by diverse environmental factors. Community factors suggest that more education support systems and leisure facilities for adolescents need to be built in small and medium cities. Strategies to enhance positive perception of community are also needed for this population. Furth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multi-level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vulnerable social groups.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chool Adjustment for Adolescents)

  • 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7-87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부부갈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중학생 48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WIN 25.0 통계 프로그램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은 청소년의 공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은 부부갈등에 많이 노출될수록 공격성 수준이 높았다. 둘째, 청소년의 공격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공격성 수준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낮았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부부갈등은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청소년 개인과 가족관계에 대한 개입, 그리고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개입의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The Appl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Kim, Kyung 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181-18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패널자료의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생활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학교생활적응 및 생활만족도의 제고와 관련된 함의를 얻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2016) 초4패널의 제1차 내지 제7차 자료를 사용하여 학교생활적응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학교생활적응은 이후 시점의 학교생활적응을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생활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생활만족도를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학교생활적응은 이후 시점의 생활만족도를 안정적으로 예측하였으나 그 반대 방향의 인과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끝으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여고생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유연성과 관계 (The Relations among Stress,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of High School Girl Students)

  • 김건희;황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60-4668
    • /
    • 2012
  • 본 연구는 여자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그리고 학교적응유연성 정도를 파악하고, 그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I시에 소재한 3개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고등학생 250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0년 9월 한 달 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스트레스는 학교생활 만족도와 선생님과의 관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적응유연성은 학교생활 만족도와 선생님과의 관계, 학교 성적, 음주 경험, 이성 친구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적응유연성은 학교 관련, 가족 관련, 친구 관련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자아탄력성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여자 고등학생들의 학교적응에 있어 스트레스의 중재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학교에서의 생활, 선생님과 친구들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여자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학교 관련 스트레스 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신중히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한부모가정여부가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을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ngle-parent household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diation of children's self-care and media exposure-)

  • 양경해;강현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221-2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정여부가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 노출을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데이터의 초4학년패널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총 1,916명의 아동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주요한 통계방법으로는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중매개모형 특정간접효과(specific indirect effect)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모형(phantom model)에 의한 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가정여부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뿐 아니라, 아동의 자기보호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 노출은 한부모가정여부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한부모 가정은 일반가정에 비해 아동 자기보호 수준이 높으며, 이는 미디어 노출을 증가시키고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아동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에 관련한 정책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학교 적응을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이라는 구조적 특성과 그에 따른 특수한 욕구에 맞는 방과후 돌봄과 아동 미디어노출 관련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