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of dentistry

검색결과 9,423건 처리시간 0.038초

광주지역 치과위생사의 직무 스트레스 조사 (A Survey on the Job Stress of Dental Hygienist on Working Environment)

  • 손혜주;김승희;최문실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87-394
    • /
    • 2010
  • 치과위생사 근무환경의 빠른 변화와 요구되는 직무내용이 다양해짐에 따라 구강진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는 많은 직무스트레스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에 의하여 구강보건인력간의 업무도 전문화, 세분화되면서 스트레스 정도도 심화되고 있어 지역사회구강진료기관의 치과위생사의 입장에서 받는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업무활동으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광주광역시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를 각 구별로 편의 추출법을 이용하여 20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직무 스트레스 분석결과 직장에서의 장래성과 지지(3.44), 환자와의 관계(3.41), 업무관련(3.38), 전문가의 입장(3.19), 대인관계(2.66) 순으로 나타났다. 2. 업무관련 스트레스는 20-25세(p<0.05), 치과의원(10명 미만), 미혼(p<0.05), 근무경력 1-3년, 가정경제부담이 없는 경우에서 가장 높았다. 3. 전문가의 입장관련 스트레스는 20-25세, 치과병원, 미혼, 대졸이상, 근무경력 3년-6년 경우에서 가장 높았다. 4. 환자와의 관계관련 스트레스는 20-25세, 치과의원(10명 미만), 미혼, 근무경력 1-3년미만(p<0.05),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에서 높았다. 5.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20-25세, 치과의원(10명 미만) 미혼,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 가정 경제 부담이 없는 경우 높았다(p<0.05). 6. 직장에서의 장래성과 지지 요인 스트레스는 20-25세, 치과의원(10명 미만), 미혼, 1-3년 근무경력,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 가정경제부담을 전적으로 하는 경우에서 높았다. 치과 병/의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직무활동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체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상악동저 거상술 시 Osteotome 술식과 Hatch Reamer 술식의 비교평가 (THE COMPARATIVE EVALUATION USING HATCH REAMER TECHNIQUE AND OSTEOTOME TECHNIQUE IN SINUS FLOOR ELEVATION)

  • 조성웅;김상중;이동근;김진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54-161
    • /
    • 2010
  • Many edentulous posterior maxilla are found to be compromised by alveolar resorption and increased pneumatization of the sinus. One of the surgical procedures to overcome this anatomical limitation is sinus floor elevation with bone graft, which is reported as more appropriate and more successful procedure. Commonly, if the residual bone height is over 5mm, sinus floor elevation is operated through transcrestal approach using osteotome technique. But, it is possible for patients to feel discomfort during operation and dizziness after operation while malleting, sinus floor elevation, using osteotome technique. Some instruments and methods has been us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use more easi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between the surgical procedure of sinus floor elevation using Hatch reamer technique and that of sinus floor elevation using osteotome technique. From 2004 Feb to 2007 Oct, we investigate patients (osteotome group: 72, Hatch reamer group: 70) who were given implant surgery with sinus floor elevation (osteotome group: 92, Hatch reamer group: 98). We analysed gender, age, residual bone height, amount of sinus floor elevation, used graft material, total success rate, failure rate by residual bone height and implant type and discomfort during operation, etc.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e amount of sinus elevation was osteotome group was $3.85{\pm}1.02\;mm$ and Hatch reamer group was $3.93{\pm}1.38\;mm$.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2. At the total success rate, osteotome group was 92.4% and Hatch reamer group was 94.9%.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3. On the discomfort during the operation by using numerical rating scale, osteotome group was $2.87{\pm}0.83$ and Hatch reamer group was $1.12{\pm}0.6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The Hatch reamer group clinical results was similar to osteotome group and we thought that Hatch reamer technique can overcome the faults of osteotome technique.

Cold Allodynia after C2 Root Resection in Sprague-Dawley Rats

  • Chung, Daeyeong;Cho, Dae-Chul;Park, Seong-Hyun;Kim, Kyoung-Tae;Sung, Joo-Kyung;Jeon, Young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2호
    • /
    • pp.186-193
    • /
    • 2018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ain-related behaviors after bilateral C2 root resection and change in pain patterns in the suboccipital region in rats. Methods :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n=25/group); $n{\ddot{a}}ive$, sham, and C2 resection. Three, 7, 10, and 14 days after surgery, cold allodynia was assessed using $20{\mu}L$ of 99.7% acetone. c-Fos and c-Jun were immunohistochemically stained to evaluate activation of dorsal horn gray matter in C2 segments of the spinal cord 2 hours, 1 day, 7 days, and 14 days after surgery. Results : Three days after surgery, the response to acetone in the sham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the $n{\ddot{a}}ive$ group, and th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ddot{a}}ive$ and sham groups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p<0.05 at 3, 7, 10, and 14 days). Seven, 10, and 14 days after surgery, the C2 root resection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ly greater response to acetone than the $n{\ddot{a}}ive$ group (p<0.05), and both the sham and C2 resection groups exhibited significantly greater responses to acetone compared with 3 days after surger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d allodynia was observed between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Two hours after surgery, both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increases in c-Fos- and c-Jun-positive neurons compared with the naive group (p=0.0021 and p=0.0358 for the sham group, and p=0.0135 and p=0.014 for the C2 root resection group, respectively). One day after surgery, both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decreases in c-Fos -positive neurons compared with two hours after surgery (p=0.0169 and p=0.0123, respectively), and these significant decreases in c-Fos immunoreactivity were maintained in both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7 and 14 days after surgery.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presented a tendency toward a decrease in c-Jun-positive neurons 1, 7, and 14 days after surgery, but the decrease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d allodynia and the early expression of c-Fos and c-Jun between the sham and C2 resection groups. Our results may support the routine resection of the C2 nerve root for posterior C1-2 fusion,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저온 경화형 초친수성 티타니아 하이브리드 졸의 제조와 친수성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Superhydrophilicity of Titania Hybrid Coating Film Imposed by UV Irradiation without Heat-treatment)

  • 김원수;박원규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1-131
    • /
    • 2007
  • A preparation process's conditions of aqueous sol which contains anatase-type nano titania particles with photocatalyic properties was established by using Yoldas process, so called, DCS(Destabilization of Colloidal Solution) process in this study. And crystal size change and phase transformation of titania particles in aqueous titania sol depending on reaction conditions was investigated by a light scattering method and XRD analysis of frozen dried powders, respectively. This sol with photo catalytic nano titania particles was used to the following hydrophilic hybrid coating film's fabrication and its properties was evaluated. Subsequently, for coating film using the above mentioned aqueous titania sol, non-aqueous titania sol was prepared without any chemical additives and its time stability according to aging time was investigate. By using the above mentioned aqueous titania sol and non-aqueous sol, a complex oxide coating sol for metal and ceramic substrate and a organic-inorganic hybrid coating sol for polymer substrate was prepared and it's hydrophilicity depending on UV irradiation conditions was evaluated. As a conclus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Aqueous titania sol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itania in formed aqueous titania sol was distributed between 20$\sim$90nm range depending on reaction conditions. And the crystal phase of titania powders obtained by frozen drying method was changed from amorphous state to anatase and subsequently transformed to rutile crystal phase and it is attributed to concentration gradient in aqueous sol. (2)Non-aqueous titania sol Non-aqueous titania sol was prepared using methanol as a solvent and a little distilled water for hydrolysis and nitric acid as a catalyst were used. The obtained non-aqueous titania sol was stable at room temperature for 20 days. Additionally, non-aqueous titania sol with addition of chealating reagent such as acethylaceton and ethylene glycol prolonged the stability of sol by six months. (3)Complex sol and hybrid sol with super hydrophilicity The above mentioned aqueous titania sol as a main photocataylic component and non-aqueous titania sol as a binder for coating process was used to prepare a complex sol used for metal, ceramic and wood material substrate and also to prepare the organic-inorganic hybrid sol for polymer substrate such as polycarbonate and polyethylene, in which process APMS(3-Aminopropyltrimethoxysilane), GPTS(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as a hydrophilic silane compound and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as a forming network in hybrid coating film were used. The hybrid coating film such as prepared through this process showed a superhydrophilicity below 1$10^{\circ}$ depending on processing conditions and a pencil's hardness over 6 H.

  • PDF

구호흡 양상을 보이는 아동 및 청소년의 하순 두께 변화에 관한 연구 (Thickness Changes of the Lower Lip in Mouth Breathing Children and Adolescent)

  • 정영호;이상민;양병호;박인영;이일홍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1호
    • /
    • pp.47-56
    • /
    • 2012
  • 입술은 사람의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구호흡자와 비호흡자의 입술두께를 비교하여 구호흡과 하순 두께 변화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8세~18세인 아동 및 청소년 436명을 대상으로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조사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를 구호흡 그룹과 비호흡 그룹으로만 나누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결과 구호흡 그룹의 하순/상순 비율은 $1.13{\pm}0.14$, 비호흡 그룹의 하순/상순 비율은 $1.02{\pm}0.14$로 나타났다. Skeletal class에 따라 구분한 그룹의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skeletal class I은 $1.05{\pm}0.09$, skeletal class II는 $1.20{\pm}0.12$, skeletal class III는 $0.97{\pm}0.11$로 나타났다. 호흡양상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비호흡을 하는 그룹보다 구호흡을 하는 그룹에서 하순/상순 비율이 더 큰 값을 나타내어 하순의 두께가 더 두꺼운 양상을 보였다. Skeletal class에 따라서 비교하였을 때는 skeletal class II 그룹에서 하순/상순 비율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내어 하순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양상을 보였다.

대황 추출물이 골수유래 대식세포의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hubarb extra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 In-A Cho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9-226
    • /
    • 2023
  • 연구목적: 이 연구는 대황 추출물이 골수 유래 대식세포(BMM)에서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파골 세포는 골 재흡수 및 재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파골 세포의 조절 장애는 다양한 골 관련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잠재적인 항염증 특성을 가진 약용 식물인 대황은 뼈 대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연구방법: 생후 5주령의 C57BL/6 마우스의 대퇴골과 경골에서 BMM을 분리하고 M-CSF(mous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존재하에 3일간 배양한 후 M-CSF와 파골 세포 분화를 유도하기 위한 핵 인자-κB 리간드(RANKL)의 활성화제를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대황 추출물로 처리하면 BMM에서 파골 세포 분화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대황 추출물은 파골세포 형성에 필수적인 유전자인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및 CTSK(cathepsin K)의 mRNA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파골세포 분화에 중요한 전사 인자인 활성화된 T 세포 c1(NFATc1)의 핵 인자의 RANKL 유도 발현을 억제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대황 추출물이 BMMs에서 파골 세포 형성에 억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대황 추출물은 비정상적인 파골 세포 활동과 관련된 뼈 관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유망한 치료제이다. 잠재적인 임상 적용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 연구와 탐색이 필요하다.

전산화단층사진을 이용한 3차원 영상에서 정중시상기준평면 설정에 관한 연구 (Validity of midsagittal reference planes constructed in 3D CT images)

  • 전예나;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82-191
    • /
    • 2007
  • 본 연구는 두개악안면 3차원 입체영상을 이용한 진단 시 유용한 정중시상기준평면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임상검사를 통하여 안면이 좌우 대칭으로 보이는 성인 정상교합자를 대상으로 두경부 전산화단층사진을 촬영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입체영상으로 재구성하였다. 두개의 정중시상부에 위치하는 Cg, ANS, PNS, Ba, Op 등의 계측점과 Po, Or로 구성된 FH plane을 이용하여 6개의 정중시상기준평면(Cg-ANS-Ba, Cg-ANS-Op, Cg-PNS-Ba, Cg-PNS-Op, FH${\perp}$(Cg, Ba), FH${\perp}$(Cg, Op))을 설정하고, 좌우 대칭성 의 Z, Fr, Fs, Zy, Mx, Ms등 6쌍의 계측점을 선정한 후, 설정된 정중시상기준평면에서부터 각 계측점까지의 좌측 및 우측 거리를 계측하고 t-검정을 통하여 유의차를 검정하는 한편, 좌우 차이값의 정도를 설정된 기준평면간에 비교하였다. 또한 정중시상 기준평면 설정의 재현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중시상기준평면의 설정에 사용된 계측점을 2주 간격으로 재계측하고 비교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정중시상기준평면이 두개악안면의 3차원적 분석 시 기준평면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Cg와 ANS를 포함한 정중시상기준평면이 보다 타당함을 시사하였다.

TNBS 동물 모델과 loperamide 동물 모델에서 해삼 건조 분말의 대장염 및 변비 개선 효과 (Improving Effects of Stichopus Japonicus on TNBS-Induced Colitis and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Animal Disease Models)

  • 김정훈;오홍근;강영례;박정우;문대인;서민영;박상훈;강양규;최충현;박인선;김주;유강렬;김재경;김옥진;황홍연;류도곤;이영래;이학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72-678
    • /
    • 2012
  • Colitis and constipation are the most common intestinal complaints worldwide. This study examined the beneficial effects of sea cucumber powder for TNBS-induced colitis in ICR mice(n=6/group) and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n=8/group). Animals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four dried see cucumber treated groups that were named Nor, Con(0 mg/kg), GI(30 mg/kg), GII(100 mg/kg) and GIII(300 mg/kg). In order to induce colitis and constipation, 5% TNBS was injected into distal colon and loperamide (2 mg/kg, twice a day, peroral) was treated for 5 day in the four experimental groups but not the normal group. Gross finding score was decreased tendency by oral administration of sea cucumber in colitis-induced animal model, but colonic weight was not different. Excreted fecal pellet number, weight and water content were increased in the sea cucumber-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non-treated group. The fecal pellet number was reduced within distal colon of the sea cucumber-treated groups. Interestingly, intestinal transit length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non-treated group.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colitis and constipation were improved by sea cucumber treatment in the animal models. Specifically, gross finding score in TNBS-induced colitis model was improved by sea cucumber. After animals being fed sea cucumber, excreted fecal number, weight, water contents, and fecal number within distal colon and colonic transit length also get better i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model.

Nuclear Factor I-C 결손생쥐에서 치아의 형태학적 변화와 Smad4의 발현 (Morphology of Tooth and Smad4 Expression in NFI-C Deficient Mouse)

  • 배현숙;김혜미;조영식;박수진;최문실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95-401
    • /
    • 2010
  • 본 연구는 상아모세포의 분화, 상아질의 형성, 치근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FI-C가 치아에 미치는 영향과 NFI-C 결손 생쥐에서 NFI-C와 TGF-${\beta}$의 신호전달물질인 Smad4의 발현양상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NFI-C 결손 생쥐치아를 광학 현미경과 면역조직적 화학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FI-C 결손생쥐는 전치부의 경우 법랑질이 있는 치관 부위는 상아질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었지만 법랑질이 없는 설면 부위는 개방되어 있었고 뼈모양 상아질이 관찰되었다. 2. NFI-C 결손생쥐는 구치부의 경우 법랑질이 있는 치관 부위는 상아질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었지만 법랑질이 없는 치근부위의 치근은 짧아졌고 상아모세포의 수가 줄었으며 약간의 뼈모양 상아질이 관찰되었다. 이는 NFI-C결손이 상아모세포 분화에 영향을 끼쳐 비정상적인 치근을 만드는 것을 보여준다. 3. NFI-C 결손생쥐의 Smad4 발현은 정상 생쥐에 비해서 핵에 더 많은 발현을 보였다. 이는 Smad4가 NFI-C와 TGF-${\beta}$의 신호전달물질로서 그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면서 상아모세포 분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염된 신발의 효율적인 살균과 탈취를 위한 신발장의 설계 (Design of a shoe rack for effectiv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of the shoes contaminated by various bacteria)

  • 이삼철;장용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99-206
    • /
    • 2016
  • 본 연구는 다양한 세균에 오염된 신발을 효과적으로 살균하고 탈취할 수 있는 신발장을 설계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신발장의 제작과 평가는 2014년 10월부터 2015년 9월까지 1년에 걸쳐 진행하였다. 항균성능의 평가는 JIS Z 2801:2010 규격에 따라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 균주에 대하여 실시하였고, 탈취효율은 한국공기청정협회 실내공기청정기 규격인 SPS-KACA002-132:2006 규격에 따라 실시하였다.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 균주에 대한 UV 조사시간에 대한 항균성능을 시험한 결과에서 30초 후에 99.9% 이상의 세균감소율을 보였고, 시험가스에 대한 평균 탈취효율은 42.5%를 보였다. UV램프로 5분의 점등과 25분의 소등을 반복하여 작동을 할 경우에 신발 내부와 신발장 내부 온도는 약 $40^{\circ}C$$25^{\circ}C$ 이하로 유지되었다. 신발장의 작동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UV램프를 점등과 소등을 반복적으로 작동시켜 신발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실제 신발장 내부의 용적은 시험연구원의 챔버 용적보다 매우 작은 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험결과의 값을 상대적으로 보정하게 되면 실제 탈취효율은 측정값보다 매우 클 것으로 판단이 된다. 또한 신발의 내부에서 악취를 유발하는 원인균인 박테리아를 반복적으로 살균하기 때문에 신발 내의 실제 탈취의 효과는 더욱 증가될 것이다. 추가 연구로 일정한 신발장 내부의 온도편차를 찾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