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ian teacher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1초

중학교 「역사」 교과서 세계사 영역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for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Embedded in Common Inquiry Tasks of World History Territory in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Studies)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5-2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공통 탐구 과제를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16종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세계사 영역의 탐구 과제를 조사한 결과 84개의 공통 탐구 과제가 발견되었다. 이를 탐구 절차에 해당하는 정보활용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탐구 과제는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사진 자료와 도서(읽기) 자료를 조사한 후에 그 결과를 말하기 형태로 표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정보 종합과 표현)의 정보 표현하기를 충족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가 역사 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역사 수업에서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촉진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정보 해석과 분석하기, 정보 종합 및 조직하기 그리고 정보 활동 평가하기에 대한 교육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Chatbots as Educational Tools for School Libraries

  • Seong-Kwan Lim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2권3호
    • /
    • pp.1-13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chatbots as a school library educational t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16 librarian teachers first investigated the types and contents of education conducted in the school library setting and the perception of chatbots there. In addition, 15 librarians (five elementary, five middle, and five high school) were asked to complete a structured questionnaire after using Google's Bard, Microsoft's Bing, and OpenAI's Nova to find out if it is possible to use chatbots in school library education. As a result, user and reading education chatbots were found to be common in school libraries, and 99% of librarians knew about them in some detail. However, the average chatbot performance by area was 2.9 out of 5 (2.6 points being the lowest). Nevertheless, chatbots are being developed utilizing deep learning methodologies and have excellent performance, and are very effective for content-based library education through problem-solving activities.

사서교사의 도서관 활용 수업을 위한 과제 중심의 교수설계 연구 (A Study on the Task-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for the Library-Based Instruction of Teacher-Librarians)

  • 함명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47-361
    • /
    • 2008
  • 본고는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수설계 절차에 입각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활용 수업을 위한 협동수업 개념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현장 사서교사들의 상세화된 협동수업 지도안은 점차 활성화되고 있으나 교수설계 절차 등 수업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사서교사의 협동수업을 위한 수업이론 및 방법 등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사서교사의 협동수업 지도안은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수설계 절차에 입각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의 목표는 정보과제를 중심으로 정보이용과정을 반영한 것이다. 본고는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수설계 절차에 입각하여 그 원리를 적용한 협동수업 개념틀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장 사서교사들이 상세화된 협동수업 지도안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의 자아 탄력성 신장을 위한 사서교사와 학부모의 협력 관계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 Librarians and Parents to Increase Students' Ego-Resilience)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9-86
    • /
    • 2012
  • 사서교사와 학부모의 협력 관계는 학교도서관의 학습 공동체적 성격과 경영의 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경영 요소이다. 이러한 협력 관계는 학생의 스트레스와 위험요소를 완화함으로써 학생의 자아 탄력성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현직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학부모와의 협력 관계를 통한 학생지도 사례를 분석하고, 관계 형성에 어떠한 공식 또는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사서교사는 학부모와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학생의 생활지도, 진로지도, 독서상담 및 담임교사와 학부모 간의 갈등 조정 등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서교사와 학부모의 공식 커뮤니케이션은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와 같은 제도적인 협의체 보다는 함께 참여하는 독서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교사는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학부모 모임이나 연수를 통해서 학부모와 비공식적으로 만나고 있다. 학부모를 위해서 학교도서관이 제공하는 정기 프로그램은 독서관련 행사와 연수이며, 주요 홍보 수단은 가정통신문과 학교홈페이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와 학부모가 협력을 통해서 학생의 자아 탄력성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에 학부모를 참여시킴으로써 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학부모의 도서관 운영 참여를 단순한 일손 돕기 보다는 책 읽어주기, 도서관 이용 안내, 사서교사의 도서관 활용수업 보조, 교수매체 제작 등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책 장서 구성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과 요구 - 부산 독서교육종합시스템 전자책 분석을 중심으로 - (The Awareness and Demand of Teacher-Librarian for the Composition of E-book Collection: Based on Analysis of the E-books Provided by Busan Digital Library System)

  • 장효정;정진경;이용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99-430
    • /
    • 2022
  • 본 연구는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이 제공하는 전자책 구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교육자원으로서 학교도서관 전자책 구축과 관련한 서비스 개선방안을 사서교사들이 경험하는 실질적인 이슈와 인식을 바탕으로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 플랫폼으로서 부산 종합독서교육지원시스템이 지원하는 전자책 3,002종의 장서 구성을 한국십진분류표를 기준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산 초등 사서교사 4명과 중등 사서교사 5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자원으로서 전자책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독서활동을 지원하고 학교도서관의 효율적인 전자책 장서구성을 이루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학교도서관지원센터의 현장 지원 과제와 전략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학교도서관지원센터(중부도서관)의 경우 - (An Analysis on the Tasks of a School Library Support Center : A Case Study of JungBu Public Library of Ulsan Metropolitan City)

  • 권은경;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5-248
    • /
    • 2010
  • 이 연구는 울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 학교도서관지원센터로 지정된 울산중부도서관이 지원센터로서의 역할, 지원해야 할 업무, 지원 우선순위 등을 파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 교육청의 2009년도, 2010년도 학교도서관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현황을 파악하였고 사서교사 및 학교도서관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지원 업무의 종류와 중요도를 식별하였다. 지원 업무에는 교육청이 주도해야 할 정책적 지원으로 인력 지원, 장학체계 확립, 도서관 자원 확충, DLS 센터와 학교도서관 지원센터의 통합 운영 등이 있고 공공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추진해야 할 업무 지원으로는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외부강사 정보 풀 운영, 지원 협력체제에 대한 홍보 강화 등이 있다.

  • PDF

학교도서관진흥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Problems of School Libraries Promotion Act and Directions for Reform)

  • 장우권;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5-358
    • /
    • 2013
  • 학교도서관은 교육적 만남과 문화적 소통의 장이다. 2007년에 제정된 "학교도서관진흥법"은 기본법인 "도서관법"과의 통일성 부재, 업무주체, 전문인력 배치, 내용과 범위설정 등의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진흥법"이 제정된 과정과 법안의 제안과 개정의 목적, 주요내용을 살펴본다. 그 결과 제정된 진흥법안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개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America School Library Standards Sets that the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49-7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AASL이 2018년에 발행한 "학습자, 사서교사, 학교도서관을 위한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 문서에 제시된 기준의 체계와 내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한국 학교도서관 기준의 방향과 내용에 참고할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ASL의 미국 국가수준 학교도서관 기준은 학습자 기준과 사서교사 기준, 학교도서관 기준 및 이들 3개의 기준을 통합한 통합 학교도서관 기준틀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학교도서관이라는 시설과 공간에서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와 교육자인 사서교사의 교육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와 사서교사의 역량을 성장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이라는 물리적인 환경이 어느 정도 구축된 상황에서 학습자와 사서교사의 교육내용과 역량에 관한 기준을 제정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내용을 포함한 자료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SNS를 활용한 학교도서관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f the Use of SNS for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Marketing)

  • 임정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1-41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SNS 마케팅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현장에 SNS 마케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NS를 학교도서관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서교사 10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학교도서관 SNS 마케팅 운영 현황, 계기 및 목적, 전략,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서교사들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 플러스 친구 등의 SNS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SNS를 활용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자 증가, 이용자의 요구 파악 등 학교도서관 활용 증대 및 이용자와 소통을 목적으로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NS를 통해 제공되는 메시지는 학교도서관 이용안내, 독서 프로그램 홍보 등이며, 마케팅의 대상은 주로 학생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마케팅 협의체의 필요성, SNS 마케팅 대상의 확장, SNS 활용에 대한 전문성 신장 등 학교도서관 SNS 마케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개별 교과의 고정 시간표를 활용한 도서관활용수업 활성화 전략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the Effective Strategy Fostering Library-Assisted Instruction Based on the Fixed Schedule of Subject-Specific Classes)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5-18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활용수업 활성화를 위한 정보활용능력과 교과 교육과정의 연계 전략으로써 교육 공동체 구성하기-수업전략 세우기-학습지 평가지 개발하기의 적용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사례에서는 교육 공동체에 10학년 국어, 국사, 한국지리 교사와 사서교사가 참여하였다. 그리고 교과 간 관련성을 가진 통합 학습주제를 개발하고 도서관활용수업 운영 전략을 설계하였다. 끝으로 정보문제 해결모형과 학습자료 이용 모형을 포함하는 학습지와 평가지를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학생들에게 학습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활용능력을 체계적으로 지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서교사가 학습 공동체에서 리더십과 파트너십을 향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