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8초

경북 일부지역 중학생의 소금 섭취 관련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식행동 조사 (Study on the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Model for Salt-Related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buk-do Area)

  • 박소영;이경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87-69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model in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Gyeongsangbuk-do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53 male and 210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 By stage of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the 'Pre-contemplation stage' was comprised of 57.3%, the 'Contemplation stage' of 12.2%, the 'Preparation stage' of 7.4% and the 'Action stage' of 23.2% of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ge of chang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with salt-related nutrition education (p<0.05), wherein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parent's education were not observed. In the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p<0.05), pocket money (p<0.01), and the stage of change (p<0.001). Males had higher salt-related dietary behavior scores than females, while students who had more pocket money also had higher scores, and the action group had lower scores than the other groups. Among the 10 items of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only 4 showed above the average score (2.92/5.00), including behaviors of liking kimchi, completely consuming snacks and instant foods, and drinking the broth of soups. The salt-related dietary score of males was higher than females, while the action group's score was lower than the other stages.

경기 일부 지역 대학생에서 식생할지침 실천도에 따른 나트륨 관련 식습관 및 식행동 분석 연구 (Study on Sodium-related Dietary Attitude, Behaviors according to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of University Students)

  • 배윤정;노승은;서정화;손주희;이미진;정다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76-38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odium-related dietary attitudes, behaviors, and nutritional knowledge in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total practice score related to the dietary guidelines (PDG), we classified subjects into a "low practice of the dietary guidelines (LPDG)" group (n=94, male=43, female=51) (total score of PDG ${\leq}13$) and a "high practice of the dietary guidelines (HPDG)" group (n=56, male=32, female=24) (total score of PDG >13). Subjects were asked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 salt-related dietary attitudes, behaviors, and nutritional knowledge using a questionnaire. The LPDG group had more subjects who were breakfast skippers (p<0.001) compared to the HPDG group. The LPDG group (31.26) had a significantly lower score in terms of salt-related dietary attitudes compared to the HPDG group (33.77) (p=0.0042). The score for salt-related dietary attitud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PDG (32.52) group than in the LPDG (29.91) group (p=0.004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for salt-related nutrition knowledge between the groups.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ietary guidelines practice sco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lt-related dietary attitude score (r=0.3593, p<0.0001) and the dietary attitude score (r=0.3443, p<0.0001) after adjustments for sex.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adherence to the dietary guidelines for adults may be related to sodium-related dietary attitudes,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대학생의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과 식행동 및 나트륨 급원식품 섭취빈도 조사 (Survey on Nutrition Knowledge, Food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of Sodium Intake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 박희옥;홍명선;손춘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19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proper dietary behaviors and improving sodium intake status by investigating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s, and food intake frequency related to sodium in 398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Gyeonggi-do and Incheon.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rate of eating out more than five times a week as well as daily snack intake than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score for sodium-related nutrition knowledge than male students, whereas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odium intake than female students. Subjects who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eating out and snack intake also showed a higher salt intake ratio and sodium-related nutrition knowledge. Subjects with higher scores related to sodium-related nutrition knowledge showed a higher low salt intake ratio and incidence of low sodium food intake. From this research, depending on the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related to sodium university students showed differences in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odium intake. This result would be helpful to develop lower sodium training materials specific to low sodium food selection tips, reading nutrition labels, and so on.

경기지역 대학생의 소금 관련 식행동 및 나트륨 섭취량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 정은정;심유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78-588
    • /
    • 2008
  • 본 연구는 경기지역 대학생 218명(남 95명; 여 123명)을 대상으로 DFQ를 이용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조사하고 관련된 식행동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축기와 이완기혈압, DFQ-15 점수와 DFQ-125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남 6094.2 mg; 여자 4760.7 mg)은 모두 남자에서 더 높았다(p<0.01). 전체대상자를 DFQ-15에 의해 고염과 저염 섭취군으로 분류한 결과, 두 집단의 혈압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에서는 저염군의 수축기와 이완기혈압이 높았는데(p<0.05), 이는 여자 저염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BMI 때문으로 생각된다. 고염 식태도 점수와 나트륨 섭취량은 고염군에서 매우 높았다(p<0.001). 식습관 비교 결과, 매일 단백질 음식을 먹거나 골고루 먹는 식습관 빈도는 저염군에서 높았으며(p<0.05), 튀김, 볶음요리 및 지방이 많은 육류를 자주 먹거나 식사시 소금과 간장을 더 넣는 부정적 식습관 빈도는 고염군에서 더 높았다(p<0.05). 고염군은 조린 음식 및 중식, 일식을 좋아하고 된장국을 자주 먹으며 튀김, 생선회는 간장에 듬뿍 적셔 먹는 고염 식태도 빈도가 높았으며, 식탁에서 소금을 잘 넣지 않는 저염 식행동 빈도는 낮았다(p<0.05). 나트륨 섭취량을 기준으로 분류한 고염군은 볶음밥 등 별미밥과 조린 음식을 좋아하고 식사 전 습관적으로 소금을 더 넣는 고염 식태도 문항 점수가 높았고, 라면 국물을 남기거나 식탁에서 소금을 추가로 잘 넣지 않는 저염 식행동 문항 점수는 낮았다(p<0.05). 한편, 전체대상자에서 식품구매 시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군의 고염 식태도 점수, DFQ-15 점수, 나트륨 섭취량은 비확인군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낮았으며 저염 식행동 점수는 높았다(p<0.01). 특히, 영양표시 비확인군의 나트륨 섭취량(5669.1 mg)은 확인군(4241.9 mg)의 133.6%에 달해 영양표시 확인여부가 고염섭취의 위험요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남, 여 각 집단과 전체대상자에서 자신이 짜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고 스스로 평가한 군이 그렇지않다고 한 군에 비하여 고염 식태도 점수는 높고 저염 식행동 점수는 낮았다(p<0.001). 하지만 여학생에서는 짜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한 군의 나트륨 섭취가 매우 높은 반면, 남학생에서는 싱겁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한 군의 나트륨 섭취가 매우 높아(p<0.05), 주관적으로 판단한 음식 간의 선호도가 실제 나트륨 섭취 수준을 잘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학생은 나트륨 섭취량이 여학생보다 높고 충분섭취량의 406.3%에 달해 고염 섭취의 위험군이라 할 수 있었다. 고염군의 식행동 특성에는 지방 함량이 높고 조린 음식을 좋아하고 식탁에서 소금 간을 자주하는 반면, 균형식을 실천하는 비율은 낮았다. 따라서 대학생 특히, 남학생을 위한 고혈압 영양교육에는 소금 감량에 관한 내용 외에도 기본적인 식품영양 지식과 올바른 식습관의 중요성 등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남녀 대학생의 소변 중 Salt Signal로 추정한 소금 섭취량에 따른 소금 섭취 관련 식태도, 식행동,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Salt-Related Dietary Attitudes,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Estimated Salt Intake Using Urinary Salt Signal)

  • 김미현;민다운;장은경;연지영;김종욱;배윤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6-23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초반에 있는 대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나트륨 섭취를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소변 중 salt signal을 사용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추정하고 이에 따른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및 식태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 및 신체계측 분석 결과 소변 중 salt signal에 따른 과잉섭취군의 경우 남자 대상자의 비율이 적정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수축기혈압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체질량지수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생활습관 조사 결과 과잉섭취군의 경우 음주를 하는 비율이 적정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나트륨 관련 식태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11가지 항목에 대한 식태도 총 점수는 적정섭취군과 과잉섭취군에서 각각 35.50점과 33.45점으로 적정섭취군이 과잉섭취군에 비해 긍정적인 나트륨 관련 식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나트륨 관련 식행동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식행동 총점은 소변 중 salt signal에 따른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을 조사한 결과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총점에서 12점 만점 중 적정섭취군이 9.77점으로 과잉섭취군의 8.82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소변 중 salt signal과 나트륨 관련 식태도, 식행동 및 영양지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성별 및 체질량지수를 보정했을 때 소변 중 salt signal에 따른 소금 함량은 나트륨 관련 식태도 총점과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대학생에서 소변 중 salt signal에 따라 과다한 소금 섭취를 보인 대상자의 경우 적정섭취를 보인 대상자에 비해 나트륨 관련 식태도가 좋지 않고 영양지식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소변 중 salt signal로 추정한 나트륨 섭취와 나트륨 관련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농촌지역 노인의 짠맛 기호도와 식습관 및 건강 위험인자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s/health Risk Factors and Preference for Salty Taste among Korean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 이미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48-458
    • /
    • 2014
  • Objectives: Increasing salt preferences with age are said to increase preferences of salty foods, thereby leading to greater sodium consumption, which has further implication for hypertension. This study examined the link between preference of salty taste and dietary factors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in Korean elderly people. Methods: We studied 312 elderly individuals aged > 65 years (male, 100 and female, 212). With each subject, pleasant concentration of NaCl was estimated using the sip-and-spit method. Dietary habits, food preferences, consumption frequencies,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assessment were assessed. Results: The pleasant salt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individuals older than 75 years (p < 0.05). Subjects who liked high concentration of sal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s for salty foods (p < 0.001). Resul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p < 0.01) of fruit & fruit juice consumption frequencies, MNA (mini-nutritional assessment), cognition score, BMI, body fat %, waist circumference, arm circumference, calf circumference, vitamin D level that subjects who likes low salty taste were higher than subjects who likes high salty taste. Conclusions: The preference for salty taste in the elderly was not correlated with hypertension. But, increased preference for salty taste with age and increased salty food preferences may result in higher sodium consumption.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regarding lowering salt preference and favorable behaviors of low-salt diet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elderly.

일 도시지역 성인의 식이습관 행태 및 영향 요인 (Dietary Habits and Related Factors of Adults in Urban Community)

  • 이정렬;이경자;김의숙;김인숙;이태화;김광숙;조윤희;현수인;정제인;이현정;원소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7
    • /
    • 2008
  • Purpose: To understand the dietary habit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dietary habits in adults of an urban community.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that investigated dietary habits, health behaviors, health-related factor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 total of 302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ose who had visited an urban public center over a 2-week period. The data of 294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fter 8 questionnaire were excluded due to incomplete data. Results: The degree of dietary habits was in the middle range. The most positive dietary habit was 'intake fibers from vegetables, fruits, and cereals', followed by 'not enjoy salty food and salt' and 'eating breakfast everyday'. The significant predictors influencing dietary habits were age, present smoking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rinking frequency, and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27.3% of the variance in the dietary habits score. Conclusion: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focus on health promotion planning regarding dietary habits and other health-related behaviors in combination and use integrated strategies regar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dietary habits and other health-related behaviors.

  • PDF

경기 도시 지역 보건소 성인 방문자의 식생활과 건강 관련 라이프스타일 조사 (A Study on Dietary Behaviors, Health-Related Lifestyle of Adult Visitors at Public Health Centers in Gyeonggi Urban Area)

  • 권종숙;김경민;서현창;이윤나;임승건;최영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11-62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of adult visitors at a public health center in Gyeonggi urban area. A survey us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949 visitors at Seongnam public health centers from June to August, 2012. The data from 905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gender, consisting of 322 males and 583 females, and age group, consisting of 243 low-age group (LA), 312 middle-age group (MA), 350 high-age group (HA), aged 20 to 30 years, 31 to 50 years, and 51 to 69 years, respectively. Average Body Mass Index was 23.0, which increased with age, and education level was high in LA. 59.0 percent of the subjects had various diseases, and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llergy, hyperlipidemia, diabetes mellitus, joint rheumatism. Incidence rates of chronic disease increased with age, which were lower than those from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ekly drinking frequency rate and smoking rate decreased with age, and exercise performing rate was high at male and HA, which showed the same tendency as KNHANES. Female and HA showed more healthy dietary behaviors such as restricting salt, sugar, oily foods, foods containing food additives, calorie, caring for balanced diet, and referring to nutrition label. Subjects chose stress as the first factor, followed by diet, exercise, etc., among 13 suggested factors which strongly influence on human's life-span. In general, public health center visitors, especially female and HA, showed better die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compared with KNHANES.

중년기 남녀의 체중 감량 시도 여부에 따른 건강 관련 생활습관과 식행동의 차이 (Relations Among Weight Control Behaviors, Health-related Lifestyles, and Diet Behaviors in Middle Aged Koreans)

  • 최윤정;김은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6-188
    • /
    • 2008
  • In this study, we compared demographic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 health-related lifestyle and diet behavior among weight control behaviors of 1187 (555 male, 632 female) aged $40{\sim}69yrs$ in Ganghwa country. All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trend test, student t-test using SPSS 12.0 version at p < 0.05. 'Attempting weight control (loss)' was more in women than that was found in men (36.6% vs 20.7%), and women attempting weight loss most were 40-50 yrs. The reasons of weight loss were 'health problem' and 'health promotion'. Physical activity and diet restriction were commonly employed as weight control methods. Both genders attempting weight loss had a higher education level, BMI, percentage of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and physical activity than those not attempting weight control (p < 0.05). In dietary habits like 'meal regularity', 'slow eating' and 'over eating', women attempting weight loss were superior than those who not attempting weight control group (p < 0.05). Eating pattern changes like 'decrease of fats and fatty foods intake', 'vegetable oil usage', 'increase of fruit and vegetables intake', 'decrease of sugar and salt intak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01) between the attempted weight control groups and nonattempted weight control groups. Salt taste was a preference in male non-attempted weight control group, while sour, hot and spicy taste were preference in female attempted weight control group (p < 0.05). Preference for processed foods, fried foods and snack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in women attempted weight control group. Those attempting weight loss tried to improve their eating patterns. However, those attempting weight loss were poorer than the others in health-related lifestyle and eating hab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hat improve healthrelated lifestyle and diet behavior in middle aged group.

경북지역 대학생의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조사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buk Area)

  • 이경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122-1131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및 평소 음식 간 선호도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대학 급식소 음식에 대한 간 평가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차후 대학 급식소의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짠맛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는 보통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48.8%로 가장 많았고 짜게 먹는 편이라고 응답한 대상자는 29.5%이었다. 대학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간에 대해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0.8%로 가장 많았으며 짜다고 응답한 비율은 42.5%인데 비해 싱겁다고 응답한 비율은 6.8%에 불과하였다. 짠맛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의 전체 평균점수는 3.04/5.00점이었으며 남학생(3.09)과 여학생(2.99)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학생에서 21세 이하(3.16)군과 22~23세(3.00)군이 24세 이상(2.93)군보다 짠맛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 점수가 유의적(P<0.05)으로 높아 연령이 낮을수록 '짠맛'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급식소 음식 간 평가에 따른 차이에서 급식소의 음식에 대해 '짜다'고 느끼는 군(2.84)이 '싱겁다'(3.18)와 '보통이다'(3.18)고 느끼는 군들에 비해 짠맛 선호도 점수가 유의적(P<0.001)으로 낮았다.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총 점수는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 달 용돈이 30만원 이상군이 30만원 미만군보다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총 점수가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짠맛 선호도에 따른 차이에서 싱거운 맛을 선호하는 군이 '보통 맛'과 '짠맛'을 선호하는 군에 비해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총 점수가 유의적(P<0.001)으로 낮았다. 급식소 이용 빈도별 차이에서 급식소를 주 5회 이상 이용하는 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총 점수가 유의적(P<0.001)으로 낮았다. 급식소 음식 간 평가별 차이에서 급식소의 음식에 대해 '짜다'고 느끼는 군이 '싱겁다'와 '보통이다'고 느끼는 군들에 비해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 총 점수가 유의적(P<0.001)으로 낮았다. 소금섭취 관련 식행동에 대한 15가지 항목의 전체평균 점수는 2.87/5.00점이며, 3.00점 이상의 높은 평가 점수를 나타낸 항목은 '외식을 하거나 배달을 자주 시켜 먹는다', '김치류를 많이 먹는 편이다', '된장국, 찌개, 전골, 탕 등의 메뉴를 자주 먹는다', '라면을 자주 먹는다'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 '햄, 소시지, 스팸 등 가공식품을 자주 먹는다'(P<0.05), '음식이나 국이 싱거우면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는다'(P<0.01), '국이나 국수류의 국물을 다 먹는 편이다'(P<0.01), '된장국, 찌개, 전골, 탕 등의 메뉴를 자주 먹는다'(P<0.01)의 4개 항목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외식을 하거나 배달을 자주 시켜 먹는다' 1개 항목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P<0.01)으로 점수가 높았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차이에서 '국이나 국수류의 국물을 다 먹는 편이다'와 '된장국, 찌개, 전골, 탕 등의 메뉴를 자주 먹는다'의 2개 항목에서 과체중 이상군이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보다 유의적(P<0.01)으로 점수가 높았다. 짠맛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에 따른 소금섭취 식행동 평가 점수는 '술안주로 맵고 짠 음식을 좋아한다'는 항목에서는 '싱거운 맛'과 '보통 맛'을 선호하는 군이 '짠맛'을 선호하는 군에 비해 유의적(P<0.001)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나머지 모든 항목에서는 '싱거운 맛'을 선호하는 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대학교 급식소 이용 빈도에 따른 차이에서 '햄, 소시지, 스팸 등 가공식품을 자주 먹는다'(P<0.05), '외식을 하거나 배달을 자주 시켜 먹는다'(P<0.001), '튀김이나 전, 생선회 등을 간장, 고추장에 듬뿍 찍어 먹는다'(P<0.05), '식사 시 마요네즈나 드레싱(소스)을 곧잘 사용한다'(P<0.05)의 4개 항목에서 급식소 이용 빈도가 주 5회 이상인 학생들이 그보다 이용 빈도가 낮은 학생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급식소 음식 간 평가에 따른 차이에서 '햄, 소시지, 스팸 등 가공식품을 자주 먹는다'와 '음식이나 국이 싱거우면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는다' 항목에서는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간에 대해 '매우 짜다'고 평가한 학생들이 '매우 싱겁다'와 '보통이다'고 평가한 학생들에 비해 유의적(P<0.001)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