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x gracilistyla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1초

탁수가 하천 제방보호 식물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of Turbidity on Protected Plants along River Levees)

  • 김종태;김은진;강준구;여홍구
    • 지질공학
    • /
    • 제23권2호
    • /
    • pp.161-17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하천이나 댐 조성 시 형성되는 인공 또는 자연 사면의 안정성 확보에 고려되는 제방보호 식물이 수위와 탁도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임하댐 상류 지천에서 채취한 토양을 이용하여 탁수를 재연하였으며 사면 내 식물은 국내 대표 버드나무속 식물인 갯버들, 버드나무, 왕버들을 사용하였다. 또한 하천식물이 비침수의 회복시간을 가질 경우 재성장 가능성을 단계별로 분석하여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식물의 피해와 회복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대표 하천식물인 버드나무속 3종은 고탁도 침수가 발생하면 줄기의 경우 심각한 피해로 인해 성장이 멈추었으며 20일 동안 비침수의 회복이 진행되어도 재성장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엽수의 경우 침수로 인해 초기에는 감소했지만 비침수의 회복이 진행되면 갯버들은 초기상태 대비 59.3%까지 회복하였으며 버드나무와 왕버들도 초기상태 대비 각각 251.3%, 148.4%로 측정되어 재성장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호강 황정 습지의 식생 구조 (Vegetation Strucure of Hwangjeong Wetland around Geumho River)

  • 이팔홍;김철수;김태근;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7-80
    • /
    • 2005
  • 2003년 4월부터 8월까지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황정리, 관정리, 구암리, 영천시 도남동에 속한 금호강 주변의 황정 습지에서 식생 구조를 조사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군락은 달뿌리풀 군락, 물억새 군락, 버드나무-선버들 군락, 달뿌리풀-물억새 군락, 돼지풀 군락, 환삼덩굴 군락, 물억새-줄 군락, 달뿌리풀-갈대 군락, 갯버들-달뿌리풀 군락, 왕버들-버드나무 군락, 노랑어리연꽃-줄 군락, 줄-달뿌리풀 군락 등 총 12종류였는데, 군락별 분포 면적은 달뿌리풀 군락이 49.46 ha(11.03%)로 가장 넓고, 물억새 군락 15.32 ha(3.42%), 버드나무-선버들 군락 8.13 ha(1.81%), 달뿌리풀-물억새 군락 6.42 ha(1.43%) 등의 순이었으며, 줄-달뿌리풀 군락이 0.19 ha(0.04%)로서 가장 좁았다. 표조작에 사용된 식생 조사표상 상재도에 의해 구분할 수 있는 군락은 달뿌리풀 군락과 돼지풀 군락인데, 달뿌리풀 군락은 노랑어리연꽃 아군락 및 왕버들 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달뿌리풀 군락의 식별종은 달뿌리풀, 물억새, 고마리, 미나리, 겨풀, 개갓냉이 등이고, 돼지풀 군락의 식별종은 돼지풀, 금강아지풀, 닭의장풀, 쇠방동사니, 바랭이, 도꼬마리, 개망초, 망초, 매듭풀, 토끼풀, 자주개자리 등이며, 노랑어리연꽃 아군락의 식별종은 노랑어리연꽃, 줄, 큰고랭이, 물꼬챙이골 등이고, 왕버들 아군락의 식별종은 왕버들, 버드나무, 갯버들 등이었다. 황정 습지는 전형적인 하천 습지로서 비교적 보전 상태가 양호하나 습지 주변의 경작지(과수원)에서 배출되는 농약 등으로 인해 분포하는 식물의 생육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벼과와 버드나무속을 포함한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분포 면적이 넓은 황정 습지는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로 이용되고 아름다운 하천 경관을 제공하며 간접적으로 금호강의 수질 정화에 기여하므로 보존 가치가 있는 습지로 판단된다.

  • PDF

핵 DNA 마커를 이용한 호랑버들과 갯버들 종간 교잡종 식별 (Identification of Salix caprea × Salix gracilistyla Using Nuclear DNA Marker)

  • 서한나;임효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6-66
    • /
    • 2022
  • 속성수로 활용되는 버드나무속 식물들은 생식기관과 영양기관의 성장 시기가 달라 형태적 특성 평가를 위해 수년간의 조사 기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바이오매스 우수 버드나무속 교잡종 육성의 성공 여부를 조기 판별하기 위한 식별 기술이 필요하다. DNA 마커는 식물의 생장단계와 관련 없이 탐색할 수 있으며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식물의 계통 분류 시 주로 사용되는 엽록체 DNA는 유전자 염기서열의 변이가 비교적 크지 않은 장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활엽수에서 모계를 통해 유전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종간 교잡종의 식별은 각각의 부모종과 구분할 수 있어야 하므로 본 연구는 엽록체 DNA가 아닌 핵 DNA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랑버들을 암나무로 갯버들을 수나무로 인공교배하여 육성된 종간 교잡종을 식별하는 핵 DNA 마커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버드나무속에서 개발된 총 35개의 nSSR (nuclear Simple Sequence Repeat) 마커를 대상으로 호랑버들과 갯버들, 종간 교잡종의 식별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호랑버들과 갯버들, 종간 교잡종 간 차이를 나타내는 2개의 핵 DNA 마커를 선발하였다. 따라서 선발된 핵 DNA 마커를 활용하여 호랑버들과 갯버들, 종간 교잡종의 조기 식별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of woody vegetation in the natural rivers in Korea and its meaning to restoration design in flood plains

  • Bang, Je-Yong;Hu, Un-Bok;Kim, Hyea-Ju;You, Young-Han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2-68
    • /
    • 2015
  • In order to get basic data for flood plain restoration, we surveyed the woody vegetation in Korean natural rivers and analyzed the species' characteristics with regards to patterns of richness and diversity. These characteristics were higher in hard wood forests than those in soft wood forests, such as Salix spp. community. Futhermore, they were the highest in the Prunus sargentii-Pinus densiflora community(H' 1.095), and the lowest in the Carpinus laxiflora community(H' 0.118) among the hard wood forests. Species' richness diversity were the highest in the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but the lowest in the S. koriyangi community or S. koreensis community among the soft wood forests. With regards to the dominant index, just one community is over 0.9, 13 communities are between 0.3-0.7 and 15 communities are less than 0.3. The Salix koreensis community was the highest at 0.931, and Prunus sargentii-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the lowest at 0.13.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ree layer coverages and degree of slope. These results mean that in order to increase plant species diversity in flood plains planted hard woody trees, such as oaks and fir, are needed to suit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 steeper slope and lower canopy coverage.

금강 상류유역의 우점 식물상 조성과 분포 (Dominant Floristic Composition and its Distribution in the Upper Keum River Basin)

  • 변무섭;오현경;김영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2-67
    • /
    • 2005
  • The flora of the studied basin in the upper Keum River was listed as 237taxa; 63families, 162genera, 212species, 22varieties and 3forms. Based on the list of the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4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basin : Paspalum distichum(Gramineae),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Graminea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Compositae), Ambrosia trifida(Compositae). Naturalized plants was listed as 54taxa; 16families, 41genera, 51species, 3varieties and naturalization index was 22.8percent of 1/4 the vascular plants. Upper Keum River was dominant floristic : indicator species were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native plants were Morus alba community,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community, planting plants were Populus euramericana community, naturalized plants were Solidago serotina community, Helianthus tuberosus community.

한국산 미기록 백섭병균류에 관한 연구 (Unrecorded causal organisms of Korean Powdery)

  • 이호준;이배함
    • 미생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4-33
    • /
    • 1967
  • Fifty-two specimens of the infected plants were collected from areas through the country during the year of 1965. We report here 14 unrecorded specoes which were identified in this wo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rysiphe cichoracearum DC. (Host: Artemisia princeps PAMPAN. var. orien-talls HARA.) 2. Erysiphe cichoracearum DC. (Host: Plantago sp.) 3. Erysiphe cichoracearum DC. (Host: Sonchus oleraceus L.) 4. Erysiphe pisi DE CANDOLLE. (Host: Lespedeza sp.) 5. Erysiphe polygoni DE CANDOLLE. (Host: Clematis patens MORR et DECAIS.) 6. Microsphaera alphitoides GRIFFITHS et MAUBLANCE (Uncinula bifurcata GERARD.) (Host: Quercus serrate GERARD) 7. Microsphaera baumleri MAGNUS. (Host: Robinia pseud-acacia L.) 8. Microsphaera coryli HOMMA. (Host: Corylus heterophylla FISCH. var. japonica KOIDZUMI) 9. Podosphaera tridactyla (WALLROTH) DE BARY. (Host: Prunus leveilleana KOEHN. var. typica NAKAI) 10. Sphaerotheca fuliginea (SCHLECHTENDAHL) POLLACI. (Host: Impatiens balsamina L.) 11. Sphaerotheca fuliginea (SCHLECHTENDAHL) POLLACI. (Host: Zinnia elegans JACQ) 12. Uncinula aceris SACCARDO (Host: Acer negundo L.) 13. Uncinula fraxini MIYABE(U. salmon SYDOW) (Host: Fraxinus rhynchophyllus HANCE.) 14. Uncinula salicis (DE CANDOLLE) WINTER. (Host: Salix gracilistyla MIQ.)

  • PDF

한국 자생식물로부터 아라키돈산 대사계 효소 저해제 검색 (2) (Screening of Arachidonic Acid Cascade Related Enzymes Inhibitors from Korean Indigenous Plants (2))

  • 정혜진;문태철;이은경;손건호;김현표;강삼식;배기환;안인파;권동렬
    • 약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69-77
    • /
    • 2003
  • Arachidonic acid (AA), which is stored in membrane glycerophospholipids, is liberated by phospholipase $A_2$ (PLA$_2$) enzymes and is sequentially converted to cyclooxygenases (COXs) and lipoxygenases (LOXs) then to various bioactive PGs, and LTs. In order to find the specific inhibitors of AA metabolism especially PLA$_2$, COX-2, 5-LO and lyso PAF acetyltransferase, 120 Korean residential plants extracts were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y on PGD$_2$, LTC$_4$ production from cytokine-induced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BMMC) and arachidonic acid released from phospholipid and PAF production from lyso PAF. From this screening procedure, methanol extract of ten indigenous plant such as Salix gracilistyla, Sedum kamtschaticum, Cirsium chanroenicum, Hypericum ascyron, Astilbe chinensis, Agrimonia pilosa, Aristolochia manshuriensis, Vodia daniellii, Pyrola japonica, Styrax obassia were found to inhibit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vitro assay system.

습지보호지역 버드나무림의 식물군락 특성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y of Willow Forest in the Wetland Protection Areas of Inland Wetlands)

  • 조광진;임정철;이창수;추연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1-212
    • /
    • 2021
  • 내륙습지에서 생태적, 환경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생태복원의 주요 재료가 되는 버드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습지보호지역에 발달하는 버드나무림을 대상으로 Z.-M.(Zürich-Montpellier)학파의 방법에 따라 총 61개의 식생자료가 수집되었고 식물군락과 종조성적 특성이 밝혀졌다. 총 237분류군을 포함한 9개의 식물군락이 구분되었다. 높은 상대기여도(r-NCD) 값을 나타내는 버드나무류는 키버들, 왕버들, 선버들, 갯버들, 버드나무로 확인되었다. 종조성 분석결과, 벼과, 국화과, 미나리과, 마디풀과, 콩과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형은 일년생식물(휴면형), 단립식물(지하기관형), 중력산포형(산포방법), 직립형(생육형)을 가지는 식물종의 출현율이 높아 Th-R5-D4-e로 특징지어졌다. 귀화식물은 12과 24종, 생태계교란 생물은 3과 4종이 관찰되었으며, 귀화율은 10.1%, 교란지수는 41.4%로 분석되었다. NMDS 서열법(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에 의한 식물종과 조사지점 간의 경향성 분석 결과, 조사지점의 해발고도와 습지의 유형이 식물군락의 공간적 분포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비교적 해발고도가 높은 산지형 습지에서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해발고도가 낮은 하천형과 호수형 습지에서는 교란지수, 귀화율, 일년생식물 출현비율이 높았다.

경기도 수원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이후 식생변화 연구 (The Change of Riverside Vegetation by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Suwoncheon, Gyeonggi Province)

  • 최일홍;한봉호;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23-734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초기 생태하천 조성사업인 수원천을 대상으로 조성 후 10년간의 식생변화를 분석하고 생태하천의 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구간은 1차 복원사업 구간인 경기교~영연교 구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형구조에 따라 3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횡단면 지형구조, 식생분포현황과 초본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하천 횡단면 지형구조 분석결과 하천 전체 폭 26.5~28.0m, 저수로 10~20m이었다. 친수공간 조성지역은 넓은 둔치를 확보하고 있었고 보 상부 저수지역은 물 흐름이 완만하고 수심이 비교적 깊은 상태였으며 보 하부 여울지역은 저수로 폭이 넓고 여울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현재 식재종은 9종이었고 조성당시 식재한 종 중 남아있는 종은 버드나무, 갈대, 잔디, 토끼풀 등 6종이었다. 둔치지역은 조성 당시 파종한 종 중 잔디와 토끼풀 2종만이 남아있었고 금번 조사 시 관찰된 신규 식재종은 큰김의털과 오리새 2종이었다. 식재종 이외에는 자연발생종으로 강아지풀과 쑥 등 건조지성 초본이 세력을 형성하고, 귀화종이 15종으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호안지역은 조성 당시 자연석 쌓기 공법을 적용하고 버드나무, 돌단풍과 바위취 등을 식재하였으나 현재는 식재종이 모두 사라진 상태로 쇠뜨기와 환삼덩굴 등에 의해 피복되어 있었다. 이는 생태하천 복원 당시 유지관리상의 이유로 콘크리트 기초 위에 자연석을 부착하여 식물생육 기반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저수로는 친수공간 조성지역에 조성 당시 부들, 창포 및 갈대 등 습지성 식물을 식재하였으나 현재 버드나무, 갈대와 줄만이 남아 있었고 보 상부 저수지역과 보하부 여울지역에는 갈대와 줄이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자연발생종으로는 고마리가 주로 우점하였고 보 하부 여울지역에서 환삼덩굴이 일부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수원천의 식생관리는 친수공간 조성지역은 이용자를 고려한 식생관리 측면에서 양호한 하천식생경관의 연출이 필요하여 이를 위해 물억새를 군락으로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 상부 저수지역은 줄, 부들과 갈대 등을 수심에 맞게 보완 식재가 필요하였다. 보 하부 여울지역은 갈대, 고마리 등 습윤지성 자생종이 안정적으로 세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환삼덩굴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였다.

호소 비탈면 녹화용 식물 선정을 위한 몇 가지 습생식물의 내침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oding Tolerance of Some Moisture Resistant Plants for Selecting Useful Revegetation Plant in Lake and Marsh Slopes)

  • 박성학;박종민;오현경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93-100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utilizable vegetations for the stabilization of slopes and river banks, landscape creation and water quality cleansing in dams, lakes and streams. In this study, 4 speci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surviv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the complete and partly flooding conditions with various flooding 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showed the highest flooding tolerance based on survival rate and growth condition. Equisetum hyemale, Acorus gramineus and Salix gracilistyla followed after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in the order of flooding tolerance. Particularly, A. calamus var. angustatus and E. hyemale showed higher survival rate and grew well even when they were completely submerged in the water up to 120 days. As they were partially submerged longer, they grew better. This ascertained that they had strong flooding tolerance. When A. gramineus were completely submerged in the water, their growth was disturbed but they did not die in the complete submergence up to 120 days. A. gramineus had a small growth disturbance and showed the highest vitality of leaves among the species. Though S. gracilistyla showed somewhat low growth rate in the complete water submergence and died in 90 days, it also can grow back to normal with some changes of water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