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dness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34초

패션 브랜드의 레트로 마케팅 유형이 레트로 특성 지각과 노스탤지어 감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shion Brands' Retro Marketing Types on Retro Characteristics Perception and Nostalgia Emotions)

  • 오명수;김한나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1호
    • /
    • pp.140-157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retro marketing of fashion brands and explored the difference in retro characteristics and nostalgic emotion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retro characteristics on nostalgic emotions and the influence of nostalgic emotions on brand attitude were examined. A total of 33 fashion brands, including eight designer brands, 10 sports and outdoor brands, 11 casual brands, and four SPA brands were investigated to categorize the retro marketing types. An online survey was also conducted of respondents in their 20s to 50s, and a total of 363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tro marketing of fashion brands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including brand heritage marketing, retro design marketing, retro emotional experience-oriented marketing, and brand collaboration marketing. The four retro marketing types showed differences in retro characteristics and nostalgic emotions. Second, the retro characteristics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including familiarity, attractiveness, uniqueness, and historicity. Nostalgic emotions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including sadness, longingness, comfort, and pleasure.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familiarity and attractive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mfort and pleasure, while uniqueness and historic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ngingness. Fourth, the results showed that longingness, comfort, and pleasure had positive effects on brand attitude, whereas sad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카카오톡 이모티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Factors of KakaoTalk Emoticon)

  • 이종윤;윤주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1호
    • /
    • pp.361-390
    • /
    • 2018
  •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자들은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감정표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카카오톡(Kakao Talk) 이모티콘을 이용하고 있다. 이모티콘에 담겨진 디자인적인 요소(보조, 색채, 형태, 모션)들과 스토리텔링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자신의 감정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카카오톡 이모티콘이 지니고 있는 스토리텔링 및 디자인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로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감정 표현 수단으로 선호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모티콘의 스토리텔링적인 측면에서는 악어, 복숭아, 개, 오리, 사자, 두더지, 토끼들로 평범한 과일과 동물들로 구성하였다. 대부분의 이모티콘들은 각자 개성있는 성격의 소유자로 스토리가 구성되었으며 하나씩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는 스토리를 지니고 있어 이용자들이 친근하게 다가가고 사용할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다양한 보조요소(불꽃, 땀, 눈물, 콧물, 성난 눈 등)를 사용하여 화남, 간절함, 초조함, 애원, 기쁨, 슬픔 등을 표현하였다. 색채요소는 희, 노, 애, 락의 감정에 관계없이 이모티콘 캐릭터가 지니고 있는 고유의 색채(초록, 빨강, 노랑, 분홍, 하양, 검정, 밤색 등)로 대부분의 난색 계열로 구성되었다. 형태 요소는 기쁨, 슬픔 등의 요소를 표현하는 경우 둥근형의 형태로 구성되었다. 반면에 FRODO, NEO가 슬픔과 분노를 표현하는 경우에는 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모션요소로는 APPEACH, NEO, TUBE, JAY-G의 슬픔, 분노, 애원의 감정 표현에는 수평/수직/사선으로 표현하고 APEACH, TUBE, MUZI & CON등의 기쁨, 슬픔의 감정 표현은 수평/수직/사선과 방사/앞뒤/회전의 역동적인 느낌을 나타내고 있다. TUBE, FRODO의 분노는 수평/수직/사선과 방사 모션을 나타낸다. 본 연구결과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감정을 차별화할 수 있는 스토리를 각 이모티콘 캐릭터에 맞게 구성하였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보조요소 불꽃, 땀, 눈물과 같은 감정의 대표적인 요소를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색채 요소는 감정의 차이와는 관계없이 난색 계열의 캐릭터 고유색을 사용하였다. 형태 요소는 각 감정 표현을 위해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커뮤니케이션 측면, 감성디자인 측면, 산업적인 측면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논문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스토리텔링의 분석틀과 보조요소에 대한 기호학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을 연구의 한계점으로 두고자 한다.

얼굴표정에서 나타나는 감정표현에 대한 어린이의 반응분석 (Analysis of children's Reaction in Facial Expression of Emotion)

  • 유동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70-8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열굴 표정의 감정표현에 따른 어린이의 시각적 인지반응을 연구, 분석하고 각각의 감정표현에서 나타나는 남녀어린이의 언어적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인물표정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의미를 두었다. 연구대상은 제시된 연구도구를 이해할 수 있는 6~8세 어린이 108명(남 55명, 여53명)으로 하였으며, 2차에 걸쳐 실시한 반응조사는 어린이의 개별면접과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한 자료수집방식을 활용하였다. 설문에 활용한 연구도구는 남녀어린이의 구체적이고 정확한 반응을 도출할 수 있는 기쁨, 슬픔, 화남, 놀람, 혐오감, 공포감 등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어린이의 시각적 인지반응결과에서 남녀어린이 모두 기쁨, 슬픔, 화남, 놀란 표정에 대한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공포감과 혐오감을 느끼는 얼굴표정에 대한 빈도수는 남녀어린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언어적 반응은 기쁨, 슬픔, 화남, 놀람, 혐오감, 공포감 모두 얼굴표정에서 연상되는 인상적인 부분을 찾아 대답하거나 얼굴표정의 시각적 특징을 기초로 추론하거나 탐구하는 발견적 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놀람과 혐오감, 공포감에서 얼굴표정을 보고 연상되는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상상적 반응이 나타났다.

한국어 감정표현단어의 추출과 범주화 (Korean Emotion Vocabulary: Extraction and Categorization of Feeling Words)

  • 손선주;박미숙;박지은;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105-120
    • /
    • 2012
  • 본 연구 1에서는 한국어 감정표현단어의 목록을 제작하고, 연구 2에서는 제작된 감정표현단어가 어떤 범주의 감정에 속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1의 한국어 감정표현단어 목록 제작을 위하여 연세대학교에서 제작한 '현대 한국어의 어휘빈도' 자료집으로부터 감정단어들을 추출하는 작업을 여러 단계에 걸쳐 시행하였다. 일상생활에서 빈도 높게 사용하는 감정표현단어를 선정하기 위하여 국문학 전공자와 감정연구자 12명이 참가하였으며, 총 504개의 감정표현단어들로 구성된 목록을 완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단어가 '기쁨', '공포', '분노' 등 10개 범주(중성포함)의 감정 중 어느 감정과 관련 있는지 복수 선택하도록 하여 각 단어에 대한 감정 범주를 조사하였다. 단어들의 감정 범주 분석 결과, 504개 단어 중 426개 단어는 한 범주의 감정을 의미하였는데, '슬픔'을 나타내는 단어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분노', '기쁨'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 72개 단어는 두 감정 범주를 나타내었는데, '분노'와 '혐오', '슬픔'과 '공포' 그리고 '기쁨'과 '흥미'로 묶이는 단어가 많았다. 세 감정 범주를 보인 6개의 단어는 '놀람', '흥미', '기쁨'의 조합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감정표현단어 목록을 제작하고, 이에 기반을 두어 각 단어와 관련된 감정 범주를 복수의 감정 범주를 포함하여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감정표현단어들과 각 단어에 대한 감정 범주 정보는 심리학 분야뿐만 아니라 이후 HCI 분야에서 언어적 내용에 기반을 둔 감정인식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2010년대 멜로드라마에 나타나는 국가와 개인의 감정구조 -<태양의 후예>(2016)와 <미스터션샤인>(2018)을 중심으로 (The Nation and Structure of Emotion in 2010s Melodramas -Focusing on (2016) and (2018))

  • 정혜경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1호
    • /
    • pp.123-161
    • /
    • 2019
  • 멜로드라마의 '대중성'은 멜로드라마가 역사적으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주의적인 질문보다는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을 당대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련하여 탐색하는 일이 필요한 이유이다. 시청률과 화제성에서 단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TV드라마 <태양의 후예>(2016)와 <미스터션샤인>(2018)은 2010년대 세월호 참사와 촛불혁명을 겪은 격변기 한국 사회의 대중적 상상력과 욕망을 나타낸다. 본고는 <태양의 후예>와 <미스터션샤인>에 나타나는 국가와 개인의 감정을 중심으로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을 분석하였다. 기존 멜로드라마의 갈등이 대개 개인과 가족 범주에 머물렀던 것과 달리, <태양의 후예>와 <미스터션샤인>에서는 국가가 개인 간의 갈등을 형성하는 모티프로 등장한다. 이와 같은 압도적인 갈등 상황에서 인물은 우선적으로 이성적 판단을 실행하지만, 곧 이를 폐기하고 행동을 추동하는 감정을 통해 '응답'하는 가치 지향적 태도를 드러낸다. 두 작품은 주로 시적 대구와 사물의 미장센을 통해 드라마의 포에지를 형성하고 감정을 고양한다. 여기에서 주요 감정은 연민과 슬픔인데, 압도적인 갈등을 뚫고 나오는 격렬한 감정들은 그 자체로 소진되지 않고 수행성을 통해 도덕적 지향을 보여 주는 바, 연민은 연대(連帶)를 향하고 슬픔은 애도(哀悼)를 향하고 있다. 기존 멜로드라마들의 엔딩이 지극히 개인의 범주에서 사랑과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었다면, <태양의 후예>와 <미스터션샤인>은 연대와 애도를 통해 개인과 공동체를 동시에 환기하는 도덕적 상상력을 보여 주었다.

남·녀 중학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외모 만족도, 또래 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비교 (Comparison of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 on Self-esteem betwee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 김종신;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2-32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s betwee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self-esteem in students of different gend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in August and September of 2023 and analyzed using SPSS 24.0. Data were collected from 289 male and 240 female students through a survey, and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t-test, Scheffé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3.06±0.77 vs. 2.82±0.74), significantly lower score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2.55±0.46 vs. 2.71±0.40), an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peer relationships (3.46±0.69 vs. 3.00±0.78) than male students. Additionally,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lower in female students (2.84±0.59) than in male students (2.95±0.51). As a result of adjusting for weekly allowance,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family economic status, stress, and experience of sadness or despair, which were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is, self-esteem increased as appearance satisfaction (p for all <.001) and peer relationships increased in both male (p=.009) and female (p<.001) students. In addition,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steem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weekly allowance,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and str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in both genders. Relationships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only in male students, and experience of sadness or despair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in female students.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self-esteem in both boys and girl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s should be improved. As boys with poo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and girls with high levels of sadness or despair are particularly likely to have low self-esteem, they are to be considered as a high-risk group.

음향 파라미터에 의한 정서적 음성의 음질 분석 (Analysis of the Voice Quality in Emotional Speech Using Acoustical Parameters)

  • 조철우;리타오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55권
    • /
    • pp.119-130
    • /
    • 2005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om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quality features from the emotional speech database. Six different parameters are measured and compared for 6 different emotions (normal, happiness, sadness, fear, anger, boredom) and from 6 different speakers. Inter-speaker variability and intra-speaker variability are measured. Some intra-speaker consistency of the parameter change across the emotions are observed, but inter-speaker consistency are not observed.

  • PDF

감정변화에 따른 음성정보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f Emotion in Speech)

  • 장인창;박미경;김태수;박면웅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23-1126
    • /
    • 2004
  • Recognizing emotion in speech is required lots of spoken language corpus not only at the different emotional statues, but also in individual languages.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changes speech signals in different emotions. We compared the features of speech information like formant and pitch according to the 4 emotions (normal, happiness, sadness, anger). In Korean, pitch data on monophthongs changed in each emotion. Therefore we suggested the suitable analysis techniques using these features to recognize emotions in Korean.

  • PDF

Emotion Recognition by CCD Color Image

  • Joo, Young-Hoon;Lee, Sang-Yoon;Oh, Jae-Heung;Sim, Kwee-B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138.2-138
    • /
    • 2001
  • This paper proposes the technique for recognizing the human´s emotion by using the CCD color image. To do this, we first acquire the color image from the CCD camera. And then propose the method for recognizing the expressing to be represented the structural correlation of man´s feature points(eyebrows, eye, nose, mouse), In the proposed method. Human´s emotion is divided into four emotion(surprise, anger, happiness, sadness). Finally, we have prove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the experimentation.

  • PDF

Charles Dickens 소설에 나타난 복식 상징성 연구 -기분 및 감정을 중심을- (An Analysis of Clothing Symbolism on Mood and Emotion Described in Charles Dickens' Novels)

  • 이유경;김진구
    • 복식문화연구
    • /
    • 제2권1호
    • /
    • pp.39-53
    • /
    • 1994
  • This paper analyzes clothing symbolism of mood and emotion described in master pieces of Charles dickens(2812∼1870), who is a well-known writer of England, and thus tries to clarify symbolic characteristics of clothing woven into all human lives.. The result show that clothing symbolizes in various ways such mood and emotion as bless, wrath, friendliness, respect, surprise, excitement, embarrassment, uneasiness, sadness, melancholy, anxiety, hostility, unpleasantness, deliveration, shyness, blessing, gratitude, despair, shame, sympathy, boasting, et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