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tation point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24초

외상으로 인한 재발성 단방향 견관절 후방 아탈구의 관절경을 이용한 후방낭 이동술 (Arthroscopic Posterior Capsular Shaft for Traumatic Recurrent Unidirectional Posterior Subluxation of the Shoulder)

  • 김승호;하권익;유재철;이용석;이희동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6권1호
    • /
    • pp.55-66
    • /
    • 200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results of arthroscopic treatment of the traumatic recurrent unidirectional posterior sublux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treated twenty-seven patients who had traumatic recurrent unidirectional posterior subluxation of the shoulder by arthroscopic labral repair and posterior capsular shift and prospectively evaluated for a mean of thirty-nine months (range,24 to 85 months). Patients who had posteroinferior instability,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atraumatic onset, or revision cases were excluded. There were twenty-five male and two female patients with the mean age of twenty-one years (range, 14 to 33 years). All patients were involved in sports activity. All had a significant traumatic event prior to the onset of the instability. Stability, motion, three objective measurement (UCLA, ASES, and Rowe scores) and two subjective measurements (pain and function visual analogue scale) were evaluated. Results: The most common finding in magnetic resonance image-arthrogram was separation of the posteroinferior labrum without displacement in 9 patients, In arthroscopic examination, all patients had one or more lesions in the posterior inferior labrum and capsule. The most common finding was incomplete stripping of the posterior inferior labrum (18 patients). The posteroinferior capsule subjectively appeared to be stretched in twenty-two patients. At follow-up, all patients had improved shoulder function and scores(p < 0.01). All patients had stable shoulder by subjectivel and objectivel measurements, except one patient who had recurrent subluxation. All but one patient with postoperative recurrence were able to return to their prior sports activity with little or no limitation. Twenty-four patients were graded as having more than 90% of shoulder function. Their were twenty-one excellent, five good, and one fair UCLA. scores. Pain sore improved from 4.5 to 0.2 point(p : 0.0001). Mean loss internal rotation was one vertebral level. None had 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 In conclusion, treatment outcomes of the traumatic unidirectional recurrent posterior subluxation are consistently reliable with respect to the stability, pain relief, and functional restoration by the arthroscopic post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전신 질환을 동반한 환아에서 나타난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처치 (TREATMENT OF ECTOPICALLY ERUPTING FIRST PERMANENT MOLAR IN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 김현정;김민정;노홍석;김신;정태성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3-37
    • /
    • 2011
  •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은 국소적 원인과 유전적 원인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요소에 의해서 유발된다. 주기적인 검진과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비가역적 이소맹출로 판단 될 경우, 제2유구치 조기 상실에 의해 제1대구치의 근심경사나 회전 및 복잡한 교정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항암치료의 기왕력이 있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환아에서 나타난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을 Halterman appliance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맹출로 유도할 수 있었다.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ost-Mastectomy Patients)

  • 김현주;소향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2-9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ost-mastectomy patients. The study,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done with structural questionnaires. A total of 51 post-mastectomy subjects from C university hospital in Kwang-ju, South Korea completed mail-in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during a three month period from March to June, 1999.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Lawstone's(1982) perceived health status scale, Rosenberg's(1965) self-esteem scale, the modified self-efficacy scale(Shere et al, 1982), and the modifie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Walker et al, 1987).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varimax rot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measurement resulted in six factors. Each factor was labelled as follows: self-actualization, nutrition, stress management, exercise, health responsibility and interpersonal support. The total percent of variance explained by the six factors was 58.4%. 2.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85.92(range 58~117). The scores of six factor were nutrition 3.20, self-actualization 2.59, stress management 2.58, interpersonal support 2.58, health responsibility 2.49, and exercise 2.34 on a four point scale. 3. When the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factors were compar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 I: self-actualization,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frequency of pregnancy (F=3.06, p=.037). Factor II: nutrition differed significantly by drinking experience(t=-2.26, p=.028) and the pre- or post stage of menopause(F=2.69, p=078). FactorIII: stress management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regularity of mensturation(t=-2.12, p= .042). FactorIV: exercise differed significantly by type of religion (F=2.49, p=.072), marital status(F=5.03, p=.010), and feeding type (F=2.64, p=.036). Factor V: health responsibility differed significantly by regularity of mensturation(t=2.18, p=.037). 4. The total health promoting behavior sco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este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r=.610, p.006; r= .378, p=.006). The score of selfactualization also corresponded with selfesteem and perceived health status(r=.556, p=.001; r=.343, p=.013). 5. The predictor to explain the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elf-esteem, which accounted for 37.1% of the total variance. The predictor to explain the score of self-actualization was self-esteem, which accounted for 30.9% of the total variance. The score of nutrition was primarily affected by both premenopause and drinking experience, which accounted for 13.1% and 9.5% respectively. Finally, the score of exercise was dictated by marriage, Buddhism, no experience of breast feeding, which accounted for 17%, 9.8%, & 5.2% respectively. In conclusion, self-esteem is the main predictor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ost-mastectomy women. These findings suggest a need for nursing strategies which promote self-esteem in such patients.

  • PDF

Q방법론을 활용한 공직선거 광고의 주관적 수용인식 유형 (On the Use of Q Methodology in Research on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Election Campaign Advertising)

  • 양창훈;이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5-126
    • /
    • 2013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해 공직선거운동의 전광판 광고에 대한 주관적 수용형태의 특성과 함의를 알아보고, 이에 따라 공직선거운동 과정에 있어서 전광판 광고의 효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방법론에서는 간과하기 쉬운 개별 응답자의 주관적 인식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공직선거 광고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유형을 다각적인 방향에서 분석함으로써 향후 실증적 연구를 위한 탐색적 과정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직선거 광고에 대한 인식은 공직선거의 정치 현상을 쉽게 인식하기 위한 광고기법 개선형, 공직선거에서 유권자들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관심 유발형, 그리고 공직선거를 통해 유권자와 소통하기 위한 진실 유도형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수용인식의 구분을 통해 함의할 수 있는 것은 공직선거 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이 단순히 전광판 광고의 홍보적 측면보다는 활용성과 참여성 그리고 광고효과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시대의 선거환경 속에서 전광판 광고의 효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정당이나 후보자들 뿐만 아니라 수용자들을 포함하여 공직선거 광고의 효과, 선거공약을 활용한 광고기법의 긍정적 활용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보다 더 포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제어모멘트자이로'의 질량불균형 보정 (The Imbalance Compensation in CMG)

  • 이종국;송태성;강정민;송덕기;권준범;서중보;오화석;전동익;홍영곤;이준용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11호
    • /
    • pp.861-871
    • /
    • 2020
  • '제어모멘트자이로' 내 모멘텀 휠의 속도가 커지게 되면 질량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힘과 토크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힘과 토크는 위성을 통해 촬영된 SAR 영상의 떨림을 유발하기 때문에 최소화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모멘트자이로' 내 모멘텀 휠의 질량불균형(정적질량불균형과 커플질량불균형)의 보상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우선 M&S를 통해 질량불균형의 발생에 따른 질량중심점에서 발생하는 힘과 토크의 발생을 예측하였다. 두 번째로는 힘과 토크의 측정 지점을 회전 중심에서 이격하였을 때, 질량불균형에 따른 힘과 토크의 발생을 예측하였다. 세 번째로는 질량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과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구성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네 번째로는 실제 구동하는 모멘텀 휠에 지정된 질량을 추가하였을 때, 힘과 토크의 변화량을 M&S와 비교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24Nm급 '제어모멘트자이로'를 대기모드로 구동하였을 때의 보정 전과 후의 힘과 토크 변화를 기술하였다.

SRC기둥-H형단면과 U형단면으로 구성된 합성보 접합부의 반복가력실험 (Cyclic Loading Test on Connection of SRC Column-Composite Beam Consisting of H-Section and U-Section Members)

  • 김영주;배재훈;안태상;김진원;유홍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263-27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SRC 기둥-H형단면과 U형단면으로 구성된 합성보 접합부에 관해서 반복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합성보에 관한 핵심요소는 H형단면과 U형단면 간 용접접합부의 구조적 성능이다. 이 두 부재 접합부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직스티프너와 사다리꼴 스티프너가 필요하다. 접합부의 반복적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5개의 실대형 실험체를 계획하였으며, 실험변수는 H형단면의 크기($H-500{\times}200{\times}10{\times}16$, $H-600{\times}200{\times}11{\times}17$), 스티프너와 상부근의 유무 및 용접접근공(WAH)의 유무 등이다. 실험결과, H-500 시리즈 및 H-600 시리즈 보가 있는 실험체의 회전각은 각각 4%와 3%로 나타났으며, 이는 특수모멘트골조와 중간모멘트골조에 요구되는 값이다. 실험결과는 스티프너와 상부근이 있는 실험체의 변형능력이 그렇지 않은 실험체에 비해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끝으로, 실험체의 에너지소산능력과 변형도 분포를 요약하였다.

모바일 매핑 시스템의 GEO 로컬라이제이션 (The GEO-Localization of a Mobile Mapping System)

  • 전재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55-563
    • /
    • 2009
  • 모바일 매핑 시스템 또는 로봇이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와 다중 스테레오 카메라만 탑재 할 경우, V-SLAM(Vision based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에 의한 카메라 외부표정과 3차원 데이터를 GIS데이터와 연계 또는 카메라 외부표정의 누적에러를 제거하기 위해 극부 카메라 좌표계에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계로 변환이 필요로 한다. 이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본 논문은 GPS와 V-SLAM에 의한 3쌍의 카메라의 위치를 이용하여 GPS좌표계에서 카메라 자세를 계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간단한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각 3개의 카메라 위치에 기반한 두 평면 법선벡터가 병렬이되도록 하는 사원수 (quaternion)를 계산한다, 2) 계산된 사원수를 통하여 V-SLAM에 의한 3개의 카메라 위치를 변환한다, 3) 변환된 위치에서 두번째 또는 세번째 점이 GPS에 의한 점과 일치하도록 하는 두번째 사원수를 계산한다, 4)두 사원수의 곱을 통하여 최종 사원수 결정한다. 최종 사원수는 극부 카메라 좌표계에서 GPS좌표계로 변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촬영된 물체 위치에서 카메라를 보는 시야각을 기반으로 물체의 3차원좌표 갱신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제안한 방법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증명하였다.

의복의 색과 신체노출이 정숙성인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Exposure and Color of Suit on the Impression of Modesty)

  • 고애란;강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1-195
    • /
    • 199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1) the effect of body exposure and color of a woman's suit on the perception of modesty, and 2) the effect of perceiver's sex and age on impression formed by the function of clothing variables.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response scale and stimuli. Thirteen items of 7-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were developed to measure the perceiver's impression on wearer's modesty. Stimuli were color pictures of a model wearing one of 8 types of suit constructed by a 2 $\times$ 2 $\times$ 2 factorial design. The manipulation of each level of the clothing variables were: color of the suit by black and red, leg exposure by varying skirt lengths to a Chanel-line and mini skirt, and neck exposure by shirt collar blouse and scarf. Two models, representing typical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were selected to eliminate model effect. The sample include 384 subjects, consisting of 4 groups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nd middle aged men and women. Eight experimental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eight stimuli based on between-subject design. One half of each group responded to model 1 and the other half to model 2 of same stimulus. Responses to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were factor analyzed (pc model, Varimax rotation) to identify factors constructing impression of modesty. Two factors emerged regard­less of subgroups; Elegance and Extroversion factor. The first factor was found to be dominant, accounting for 60 percent of the total variance. The other accounted for just 11 percent. Multidimensional ANOVA (5-way, 3-wa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the clothing variables against two factors identified from the factor analysis. Leg exposure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affecting the impression of Elegance and Extroversion factor for all per. ceiver subgroups. Neck exposure had primary effect on the impression of Elegance, whereas it partially influenced that of Extroversion. Color of suit had only partial effect on the impression of Extroversion. Hypothesis I was partially supported from the findings above. The effect of perceiver's age and sex on impression by the function of clothing variables was tested by comparing the result between four subgroups. In forming an impression of the wearer's modesty, male college students were least affected by the manipulation of clothing variables, while middle aged males were affected most. In the female groups, there was no age difference and they fell between the male groups in the degree to which they were affected. Hypothesis II was supported only by age difference in two male groups, and by sex difference in two student groups.

  • PDF

고지자기학적 관점에서 본 추가령단층곡의 생성과 진화 (The Geodynamic Evolution of the Chugaryeong Fault Valley in a View Point of Paleomagnetism)

  • 이윤수;민경덕;황재하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6호
    • /
    • pp.555-571
    • /
    • 2001
  • 추가령 단층곡의 진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철원-연천일원의 제4기 및 후기 백악기 화산암류로부터 채취한 총 16개 장소에서 163개 정향시료에 대하여 고지자기 연구를 실시하고 특성잔류자화를 구하였다. 후기 백악기의 지장봉 산성 화산암복합체의 상부 산성화산암규로부터 구한 고지자기극의 위치는 216.8$^{\circ}$E/7l.6$^{\circ}$N(dp=7.1$^{\circ}$, dm=10.0$^{\circ}$)로써 경상분지의 동시기의 것과 일치하는데 이는 추가령 단층선이 후기 백악기 이래로 커다란 지구조 운동을 경험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제4기 전곡 현무암에 대한 연구 곁과(134.2$^{\circ}$E/86.5$^{\circ}$N; $A_{ 95}$=7.1$^{\circ}$)도 현재의 지구회전축과 통계적으로 일치함으로서 이를 지지한다. 그러나, 지상봉 산성화산암복할체의 하부의 고기 현무암류로부터 구한 특성잔류자화 방향은 장소간에 심하게 산포되어, 본 암체의 화산활동이 추가령 단층곡의 좌수향 주향이동단층에 기인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는 후기 백악기의 추가령 단층곡의 진화사를 밝혀주는 중요한 증거이며, 동아시아의 FR 조구조 모델에 의해 잘 해석된다 이 논문은 FR모델로 조형한 추가령 단층곡의 생성과 진화에 대한 논의와 해석을 제공한다.다.

  • PDF

Czochralski법에 의한 $MgO:LiNbO_3$단결정 성장과 밀도 측정 (The Growth of $MgO:LiNbO_3$ Single Crystal by Czochralski Method and its Density Measurement)

  • 김일원;박봉찬;김갑진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4-85
    • /
    • 1993
  • Lithium niobate(LiNbO3) 단결정은 유전성, 압전성, 초전성, 비선형 광학 및 선형 전기광학 물질로서 다양한 응용 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기와 광학장치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LiNbo3 단결정이 레이저를 이용한 광학장치로 응용될 때 레이저광의 세기에 따라 상굴절(ne)과 이상굴절(no)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장손상이 발생하여 비선 형 광학소자로의 이용에 한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1980년 Zhong등이 LiNbO3에 MgO를 4.5mol% 첨가한 MgO:LiNbO3단결정을 성장시켜 물성을 조사한 결과 광손 상이 현저하게 감소된다고 발표한 후 이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수한 LiNbO3 단결정의 최적 성장조건인 congrugnt한 LiNbOs(Li/Nb=0.486)에 MgO를 0, 2.5, 5.0, 7.5, 10.0 mol% 첨가시킨 MgO:LiNb03 단결정을 Czochalski법으로 성공적으로 성장시켰다. 결정성장은 성장온도 1250℃ 근방에서 회전속도 15rpm 인상속도 2.85 ∼3.25 mm/hr로 하였으며 냉각율은 30℃/hr이다. 성장시킨 단결정의 X-ray 회절실험과 편광현미경의 conoscope상 관찰로 양질의 MgO:LiNbO3 단결정이 성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축에 수직되게 절단한 c-pltae 시료 중 MgO가 첨가된 MgO:LiNb03 시료에서 나이테 형태의 둥근 원무늬가 나타나고 있다. 이 현상은 결정성장시 공기 중의 산소분압에 의해 MgO:LiNbO3 의 용융상태에서 MgO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해석 된다. MgO 첨가량에 따른 MgO:LiNbo3 단결정의 결정 결함 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밀도측정을 하였다. MgO:LiNbO3 단결정의 밀도는 MgO론 2.5mol% 첨가한 시료에서 감소 하다가 5.0mol% 첨가한 시료에서 다시 증가하였으며 5.0mol%이상에서는 다시 감소하였다. 이 실험결과로 MgO 첨가량에 따른 결정 결함구조를 점 결함 모형 (point defect medel)으로 해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