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zone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24초

근권온도가 수박성형묘의 생육, 무기성분 흡수 및 항산화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ot-Zone Temperature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Mineral Contents, and Growth of Grafted Watermelon Plug Seedlings)

  • 허무룡;김영석;서영국;박중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6호
    • /
    • pp.783-786
    • /
    • 2000
  • 저면관비 육묘재배시 근권온도의 차이가 접목수박묘의 생육, 양분흡수 그리고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근권온도 처리는 각각 무가온, $10^{\circ}C$, $15^{\circ}C$, $25^{\circ}C$로 처리하였으며, 야간 최저온도는 $10^{\circ}C$로 유지하였다. 생육 20일후의 초장, 엽장, 엽수, 경경, 그리고 생체중 및 건물중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엽면적에서는 무가온($21.50mm^2$)에 비해 $25^{\circ}C$에서 $52.79mm^2$으로 2배 이상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Mn, Ca, Mg, Fe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수량이 증가하였고, K, P, Mg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Na는 역으로 감소하였다. Stress저항성 항산화효소인 ascorbate peroxidase(APX)와 guaiacol peroxidase(GPX)의 활성은 온도가 $10^{\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 PDF

동계 근권 온도 및 가온방법이 양액재배 장미 "리틀마블"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Yield of Hydroponic Rose "Little Marble" as Affected by Root Zone Temperature and Heating Method in Winter Season)

  • Lee, Mi-Young;Hwang, Seung-Jae;Jeong, Byung-Ryong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 /
    • pp.39-40
    • /
    • 200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ot zone heating on the growth of cut minirose Rosa hybrida L. ′Little Marble′ in winter season. Effects of four different root zone temperatures of 16, 20, 24$^{\circ}C$ and non-heating control on the growth and productivity were compared. Harvested cut-flowers were measured for stem length, stem diameter, fresh and dry weights, numbers of leaves, stems and flowers, days to flower, and chlorophyll concent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ean height was the greatest at 16$^{\circ}C$. Days to flower was the shortest at 24$^{\circ}C$. Fresh and dry weights of top (shoot+leaf+flower), shoot and leaf were the greatest at 2$0^{\circ}C$. Stem and flower numbers were the greatest at 16$^{\circ}C$, but leaf number was the greatest at 2$0^{\circ}C$. Mean cut flower yield was the greatest at 16$^{\circ}C$. Chlorophyll concentration was slightly higher at 16$^{\circ}C$,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Stem diameter was the greatest at 2$0^{\circ}C$. Dry matter was the greatest at 24$^{\circ}C$. Total yield of cut rose stem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Combined heating could save 24% in fuel cost as compared to the air heating alone. The results obtained suggested that optimal root zone temperature for the growth of cut rose "Little Marble" was 2$0^{\circ}C$, and the greenhouse heating energy can be saved by minimal air heating combined with root zone heating to 2$0^{\circ}C$.

  • PDF

A root submergence technique for pontic site development in fixed dental prostheses in the maxillary anterior esthetic zone

  • Choi, Sunyoung;Yeo, In-Sung;Kim, Sung-Hun;Lee, Jai-Bong;Cheong, Chan Wook;Han, Jung-Su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5권4호
    • /
    • pp.152-155
    • /
    • 2015
  • Purpose: This case report discusses the effect of a root submergence technique on preserving the periodontal tissue at the pontic site of fixed dental prostheses in the maxillary anterior aesthetic zone. Methods: Teeth with less than ideal structural support for fixed retainer abutments were decoronated at the crestal bone level. After soft tissue closure, the final fixed dental prostheses were placed with the pontics over the submerged root area. Radiographic and clinical observations at the pontic sites were documented. Results: The submerged roots at the pontic sites preserved the surrounding periodontium without any periapical pathology. The gingival contour at the pontic site was maintained in harmony with those of the adjacent teeth, as well as the overall form of the arch.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clinical report indicate that a root submergence technique can be successfully applied in pontic site development with fixed dental prostheses, especially in the maxillary anterior esthetic zone.

밭작물의 뿌리성장과 생육시기별 토양수분 소비형태에 관한 연구 - 콩, 고추, 참깨 - (A Study on Root Growth and 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n during Growing Period of Upland Crops -Soybean, Redpepper, Sesame-)

  • 정하우;박상현;김성준;정영신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7-75
    • /
    • 1993
  • This study is to analyze both root growth and 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rn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upland crops with respect to soybean, redpepper, sesame. Field and lysimeter tests were conducted under 12 treatments of soil moisture level by the San Cristobal experimental design(1981) and 3 soil type(sand, sandy loam, silty loam) for 4 years('87-'90) at the experimental plot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located in Suw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For soybean, redpepper and sesame, root growth in dry soil was better than that in wet soil and it could be expressed as a sin function in terms of time. Maximum root depth was about 55cm, 44cm, 40cm respectively. 2.The average 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rn for soybean, redpepper and sesame were 61.4%, 62.8%, 79.5% for zone l(0-l5cm). 25.5%, 27.1%, 18.3%, for zone 2(15-30cm).11.4%, 9.8%, 2.3% for zone 3(30-45cm), 1.7%, 0.3%, 0.04% for zone 4(45-60cm)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Zone 1 would be the dominant zone in irrigation scheduling. 3.With respect to soybean, the 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rn(SMEP) was varied somewhat according to the erent maintenance of soil moisture level. The average SMEP for high maintenance of soil moisture was 46%, 29%, 17%, 8%, for middle maintenance of soil moisture was 43%, 29%, 17%, 11 % and for low maintenance of soil moisture was 40%, 28%, 20%, 12%, respectively. 4.With respect to soybean, the soil moisture in the upper layer was distinctly consumed more than that in the lower layer for clay loam soil and the soil moisture of all layers was consumed evenly for sand soil. The SMEP for sandy loam soil showed a middle result compared with the above 2 soil types.

  • PDF

토복령 추출물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bacteria of Smilacis glabrae Rhizoma extracts)

  • 박장순;권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25-430
    • /
    • 2017
  • 본 연구는 토복령 추출물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방부효과를 측정하여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합성방부제의 대체 가능한 천연 항균 추출물의 개발을 위해 연구하였다. 토복령은 국내산으로 건조한 후 증류수와 95% EeOH 두 가지 용매를 각각 사용하여 실온에서 추출하였다. 그 결과 2종 P ropionibacterium acnes 3314, Propionibacterium acnes 3320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특히 증류수 추출물의 clear zone이 16.61 mm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피부오염 군집을 채취한 결과에서는 24.48 mm의 clear zone을 보여 토복령 추출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뿐 아니라 그 외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상의 결과로 토복령 추출물은 항균효능 및 방부 효능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천연 방부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포도 '거봉'의 2기작 재배에서 근권환경 특성 (Root zone environments in two cropping system within a year for Kyoho grapes)

  • 오성도;김용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5-241
    • /
    • 1997
  • 거봉과 같은 대립계 4배체 포도의 근역제한 재배에서 품질향상과 수량을 증대시키려면 포도수체 지상부의 기온과 상대습도 뿐만 아니라 근권부의 지온과 토양수분을 적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거봉의 2기작을 위한 근역 제한 재배에서 지중가온과 토양수분을 조절하면서 근권부의 지온과 토양수분 홉인합의 변화 특성을 살펴보고자 시도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온 시기에 주간의 최고 기온과 야간 기온의 평균치는 각각 25.1~32.7$^{\circ}C$, 18$^{\circ}C$ 이고, 상대습도는 주간 최저치와 야간 최고치가 각각 50~55%, 84~87%로 나타났다. 2. 지중 15cm 깊이에서 지중 가온구와 지중 무가온구 지온의 평균치는 각각 25.6$^{\circ}C$, 17.4$^{\circ}C$로서 지온의 적정 범위에 해당되어 본 실험에서 적용된 온수보일러에 의한 지중 가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15cm 깊이에서 토양수분 흡인압의 목표치를 pF 2.2로 설정하였을 때 관수 개시와 함께 15cm 깊이에서의 흡인압은 pF 1.5 정도까지 하강하였으나, 이후에는 흡인압이 상승하면서 pF 2.0~2.2를 유지하여 토양수분 흡인압의 조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근역 제한 재배에서 관수 개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지중 15cm 깊이에서 측정된 토양수분 홉인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거봉의 근역 제한 재배에서 신초의 도장을 방지하려면 근권부의 효과적인 배수 대책이 요구된다.

  • PDF

근권(根圈) 온도환경(溫度環境)이 사과나무의 생육(生育) 및 엽중(葉中)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 Zone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the Leaf Mineral Contents of Apple(Malus domestica Borkh) Trees)

  • 박진면;노희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8-384
    • /
    • 1996
  • 우리 나라 기후조건에서 생육기의 근권온도가 사과나무 후지/M26 1년생의 생육(生育), 양분흡수(養分吸收) 및 뿌리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권온도(根圈溫度) 처리(處理)에 의한 신초길이는 $20^{\circ}C$에서 7.9~15.8cm, $35^{\circ}C$에서 13.4~28.9cm로 근권온도가 높을수록 많았고 간주비대량(幹周肥大量)과 뿌리 생장량은 $35^{\circ}C$에서 가장 많았고 뿌리의 수분함량도 $35^{\circ}C$로 온도가 높을수록 많은 경향이다. 2. 엽록소함량은 온도처리간에 차이가 적었으며 엽수분(葉水分)포텐셜은 $35^{\circ}C$에서 처리 15일에 $35^{\circ}C$에서 -1.15~1.81 MPa고 높았으나 60일에는 -1.82~-2.10 MPa로 낮아 잎에 수분함량이 적었다. 3. 엽중(葉中)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 중(中) '93년에 질소, 칼슘 및 마그네슘은 차이가 없었으나 인산은 $30^{\circ}C$에서 가장 많았고, 칼리는 $30^{\circ}C$부터 함량이 낮아졌다. '94년에 질소는 차이가 없으나 인산과 칼리는 $25^{\circ}C$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고, 칼슘은 $30{\sim}35^{\circ}C$에서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마그네슘은 $20{\sim}25^{\circ}C$에서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다. 4. 뿌리의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은 '93년과 '94년 공히 질소와 칼리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인간과 마그네슘은 $35^{\circ}C$에서 '94년은 많았으나 칼슘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3개월간의 근권온도(根圈溫度) 처리(處理)는 $30{\sim}35^{\circ}C$에서 수체(樹體) 및 뿌리의 생육(生育)이 촉진되며 $25{\sim}30^{\circ}C$에서 엽중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이 가장 높아 우리나라의 기후에서 일시적으로 지온이 $30^{\circ}C$정도 되어도 Fuji/M26 사과 품종(品種)은 재배(栽培)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영양진단(營養診斷)에 의한 시비관리(施肥管理)를 하는 경우 엽중(葉中)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은 물론 근권(根圈)의 온도(溫度)와 기상조건(氣象條件)을 함께 고려함이 바람직하다.

  • PDF

점적관개(點滴灌漑)에서 토양수분 이동 현상에 대한 2차원 모델 개발 연구 (2-Dimensional Moisture Migration Modeling in Drip-Irrigated Root Zone)

  • 노희명;김승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14-327
    • /
    • 1997
  • 점적 관개시 근권에서의 토양 수분 이동 현상을 2차원 원통 좌표를 이용하여 모델링 하였다. 엽면 증산, 다양한 형태의 지면 증발, 관개율의 증가로 인한 지면에서의 물 고임 현상등을 고려하였다. 모델은 유한 차분법을 이용한 수치해로 풀었다. 여러가지 비교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근권에서의 토양 수분 이동 현상을 잘 묘사한다고 볼 수 있었다. 모델의 민감도 분석을 통해서 몇가지 유익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토양 수분이 연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더 큰 것으로 보아 자동 관개용 토양 수분 측정 센서를 설치할 경우, 관개점의 연직하방이 좋은 측점임을 알 수 있었다. 습윤대의 형태가 단지(pot) 모양으로 되는 것은 지면 증발로 인한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토양의 포화 수리 전도도가 습윤대의 확산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관개 중단 후에도 연직 방향의 확산은 계속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골프장 putitng green 개선을 위한 토양 개량제와 green 구조시설 (Amendments and Construction System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and-Based Putting Greens)

  • 옥창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9-163
    • /
    • 2004
  • Putting green을 골프장 전체 면적의 $2\%$로 작은 면적이지만 green의 건강한 상태는 골프장의 성공여부를 좌우한다. 이 실험은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Turfgrass Research Center에서 어느 putting green root zone 구조와 토양 개량제가 가장 건강하고 최적의 putting green조건을 유지하는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1999년 6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실행되어졌다. California putting green root zone system(30츠의 $100\%$ 모래층 밑에 13cm silt loam 토양층)은 특히 putting green을 가격을 줄일 수 있으며 배수가 잘되고 공기 순환에 있어서는 좋은 조건이지만 낮은 수분 보존량과 잔디에 공급되어지는 영양분이 낮은 것으로 조사 되어지고 있다. USGA(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 putting green root zone system [30cm의 $90\%$ 모래와 $10\%$ Peatmoss (organic material; 유기물) 혼합물층 밑에 13cm 자갈층]은 California system($100\%$ 모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년수가 지남에 따라 문제점이 발견되어졌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organic matter의 축적과 분해 그리고 잦은 잔디관리 장비의 운행과 player들의 발자국에 의한 green compaction(압축)의 증가가 putting green에서의 수분 침투량(Infiltration rate)과 공기순환을 방해하며 이로인해 잔디의 생장을 저해하며 green의 질은 낮게 만든다. Putting green root zone mixtures에서의 유기물질인 peatmoss사용에 비해 Zeolite와 같은 무기물질의 사용이 토양 물리적, 생리적 특성에 있어 우수함이 조사되어지고 있다. 년수가 지날수록 증가하는 USGA green($10\%$ Peatmoss)의 단점 (organic matter의 축적과 분해 증가, 수분 침투력과 공기순환 감소, 높은 수분함량)에 비해 $10-15\%$ Zeolite(무기물)의 사용이 보다나은 putting green 물리적, 생리적 조건들을 오래토록 유지할 수 있으며 건강한 잔디상태를 보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험은 수정된 Modified California putting green root zone system [25cm의 $85\%$ 모래와 $15\%$ Zeolite(inorganic material ; 무기물) 혼합물층 밑에 18cm silt loam 토양층]이 California와 USGA green system과 비교할 때 보다나은 putting green 조건을 유지하는가를 위해 조사되어졌다. 수정된 Modified California green system이 건강한 putting green을 유지하기 위한 우수한 물리적 조건(높은 수분 침투력과 수분 함량, 낮은 토양밀도)과 생리적 조건(높은 양이온 교환력과 유효 식물영양분 함량)을 가지고 있음이 조사되어졌다. 또한 우수한 putting green 잔디품질을 이 실험 기간동안 유지하였다. 결론적으로 California system($100\%$ 모래)에 $15\%$의 무기물질(Zeolite)이 첨가되어진 Modified California putting green system이 최적의 putting green 조건과 우수한 Bentgrass 잔디품질을 4년 동안 유지하였음을 이 실험을 통해 조사되어졌다.

근관치료(根管治療)에 사용(使用)되는 수종(數種) 약물(藥物)의 살균효과(殺菌效果)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IN VITRO STUDY OF ANTIMICROBIAL EFFECT OF INTRACANAL DISINFECTANTS)

  • 정충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권1호
    • /
    • pp.43-49
    • /
    • 1975
  •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first experiment, the in vitro antimicrobial effect was test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vapor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nonspecific endodontic medicaments (formocresol, camphorated parachlorophenol and eugenol).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intracanal effect was tested in vitro under simulated clinical condition. The actual bactericidal effect of the nonspecific endodontic medicaments (formocresol, camphorated parachlorophenol and eugenol) was quantitat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zone of inhibition was appeared on the vapors of formocresol only, however there were no zone of inhibition appeared on the vapors of camphorated parachlorophenol and eugenol. 2. Formocresol produced the widest zone of inhibition and eugenol, the next and camphorated parachlorophenol, the narrowest. 3. All of the tested medicaments were vaporized in the root canal. They proved to be the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root canal. 4. All of the tested medicaments were showed more bactericidal effect at 72 hours than 48 hours. 5. In comparing with the bactericidal effect of the tested medicaments in the root canal, formocresol was showed the most bactericidal medicament, camphorated parachlorophenol was showed the least. 6. Complete sterilization of the root canal was not achieved in any medicaments applied in this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