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ginsenosides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5초

Pharmacological Viewpoint Concerns and Phytochemical Components of Ginseng

  • RANA, Anvi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8권5호
    • /
    • pp.21-28
    • /
    • 2022
  • Ginseng is described as the "King of all herbs, "Man-root" or "Root of heaven" and regarded as the most powerful herbal remedy, particularly grown in Korea, China, Japan, Vietnam, and North America. It has been in existence for a long time. The most demanded herbal cure, Ginseng, principally the root, has long been employed in traditional Asian medicine. The extent of availability of bioactive combinations and their impact on the body differs between American and Asian ginseng. Asian ginseng, also known as Panax ginseng, has a more calming influence and is more advantageous than American ginseng, such as Panax quinquefolius. The pharmaceutical aspect of development and extraction with diverse morphological properties is examined. Saponins, glycosides, carbohydrates, polyacetylenes, amino acids, vitamins, volatile oil, enzymes are all present in the Phyto-content of Ginseng. Ginsenosides are saponins that are constituents of the triterpenoid dammarane and have anticancer, anti-cardiovascular, anti-microbial, anti-obesity,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Ginseng, in particular, has the possibility to help with microbial invasion, inflammatory processes, oxidative stress, and diabetes. It developed nanoparticles and nanocomposite film technologies as novel drug delivery platforms for cancer, inflammation, and neurological illnesses. Furthermore, it offers a range of applications that will be vital for future growth.

인삼 모상근의 생장과 Ginsenoside 생합성에 미치는 석결명의 영향 (The Effect of Haliotidis Concha on the Growth and Ginsenoside Biosynthesis of Korean Ginseng Hairy Root)

  • 정대영;김유진;심주선;이정혜;정석규;김세영;인준교;이범수;양덕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206-211
    • /
    • 2009
  • 인삼 모상근의 생장과 ginsenosides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1/2 MS 배지에 석결명의 농도와 처리시기를 달리하여 인삼 모상근 KGHR-8 세포주를 30일간 배양하였다. 실험 결과, 고체배양에서 10 mg/L 석결명을 첨가하였을 때 생장량이 가장 높으며, 300 mg/L 이상 처리구는 대조군에 비해 생장이 낮았다. 액체배양시 10, 15 mg/L 석결명을 첨가하였을 때 생장량이 증가하였고 ginsenoside 함량은 10, 15 mg/L 처리구에서 각각 8.8%, 11.8% 증가를 보였다. 석결명의 최적 처리시점을 구명하고자 첨가시점을 달리하여 인삼 모상근의 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보다 14일 후 10 mg/L 석결명을 접종한 처리구에서 생체중량 22.9%, 건조중량 20.7%으로 가장 높은 인삼 모상근의 생장 증가를 보였다. 또한, 광조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암실과 광조사 처리구로 나누어 30일간 배양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광조사 처리구에서는 18% 정도 생장량이 증가하였고 암실 처리구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RT-PCR 결과에서는 10, 20 mg/L 석결명 처리구가 대조군에 비해 사포닌 생합성 관련 유전자인 squalene synthase, squalene epoxidase, dammarenediol synthase, cycloartenol synthase 및 $\beta$-amyrin synthase의 전사량이 증가하였다. Bioreactor (2L)를 이용하여 인삼 모상근을 배양한 결과 처리구가 대조군에 비해 5% 증가를 보였으며, ginsenosides 함량도 2.63 g으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석결명은 이차 대사산물인 사포닌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elicitor로써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홍삼의 각 부위에서 추출된 Panaxadiol분획의 함량비에 따른 유해산소제거효소(Cu/Zn Superoxide Dismutase) 유도효과 (Effect of the Contents Ratio of Panaxadiol Ginsenosides Extracted from Various Compartment of Ginseng on the Transcription of Cu/Zn Superoxide Dismutase Gene)

  • 장문석;최강주;노현모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44-49
    • /
    • 1999
  • 유해산소제거효소는 세포내에서 생성되는 유해산소를 산소와 과산화 수소로 바꿈으로서 유해산소의 농도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여 세포를 유해산소의 독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전의 연구에서 파낙사다이올(PD)와 진세노사이드 $Rb_2$가 전사조절인자 AP2를 유도하여 유해산소 제거효소의 전사조절부위 내의 AP2결합부위를 통해 유해산소제거효소의 함량증대를 유도함을 보고한 바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각부위에서 추출된 조사포닌으로 panaxadiol(PD)와 panaxatriol(PT)의 성분함유비가 다른 시료를 이용하여 이들이 유해산소제거효소의 발현 유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조사하기위해 유해산소제거효소의 전사조절부위를 클로람페니콜 아세틸트란스퍼라제의 구조유전자와 융합시킨 벡터를 인간의 간세포에 도입하여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PD 성분의 함량비증가에 비례적으로 유해산소제거효소의전사가 증대 되었다. 또한 동일한 결과로서, PD 대 PT의 함량비가 약 2.6으로 PD의 함량이 가장높은 세세미 (finely-hairy root) 추출분획에서 유해산소제거 효소의 전사촉진이 대조군에 비해 3배이상 촉진됨을 관찰할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PD계의 분획이 유해산소제거효소의 유도성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하고 있으며, 유해산소제거효소의 유도물질로서 PD분획과 세세미 추출물이 유용하게 이용될수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인삼(人蔘)의 근(根), 엽(葉) 및 경(莖)의 사포닌 추출과정중(抽出過程中) 지용성(脂溶性) 용매류(溶媒類)의 정제효과(精製效果) (Purifying Effects of Fat-soluble Solvents in Extracting Saponins from Ginseng Root, Leaf and Stem)

  • 김석창;최강주;고성룡;주현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35-339
    • /
    • 1987
  • 인삼(人蔘)의 근(根) 엽(葉) 및 경(莖)에서 사포닌 추출과정중(抽出過程中) 지용성(脂溶性) 용매류(溶媒類)에 따른 콜로르필 및 색소류(色素類) 등 가시부(加視部) 흡수물질(吸收物質)의 정제효과와 사포닌의 수율(收率)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調査)하였다. 근(根)사포닌의 정제(精製)는 여러 지용성(脂溶性) 용매류(溶媒類)가 효과적이었고, 엽(葉)과 경(莖)사포닌의 정제(精製)는 chloroform과 benzene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지상부(地上部)사포닌의 경우는 ethyl acetate, ethyl ether, chloroform 및 benzene으로 1회씩 순차적(順次的)으로 정제(精製)할 경우가 단일용매만으로 4회 추출하는 편보다는 효과적이었으며 지용성(脂溶性) 용매류(溶媒類)에 따른 사포닌 수율(收率)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한편 조사포닌 분획물 및 ginsenoside 함량을 볼때 엽(葉)에 있어서는 $18.5{\sim}19.5%$$10.8{\sim}11.4%$로서 근(根)의 $4.6{\sim}5.1%$$2.0{\sim}2.6%$나 경(莖)의 $2.2{\sim}2.5%$$0.63{\sim}0.67%$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따라서 인삼엽(人蔘葉)은 사포닌 화합물(化合物)이나 $ginsenoside-Rg_1,\;-Re,\;-Rd,\;-Rc,\;-Rb_2,\;-Rf$ 등의 분리용(分離用) 원료(原料)로 매우 적합하였다.

  • PDF

4년생 인삼의 수확시기에 따른 ginsenoside 및 일반 화학성분의 변화 (Ginsenoside Concentration and Chemical Component as Affected by Harvestin Time of Four-Year Ginseng Root)

  • 안영남;이선영;정명근;최강주;강광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16-220
    • /
    • 2002
  • 4년생 인삼의 저장근에 함유된 일반 화학성분, 유리당 및 사포닌 성분을 수확 시기별로 조사하고 그 변화 양상을 검토하여 4년생 인삼의 최적 수확기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년생 인삼의 전 생육기간 중 조단백 함량은 지상부 출현기인 4월이 20.77%로 가장 높았고, 지상부 전개가 완료된 6월이 13.13%로 가장 낮았으며, 8월 이후에는 17% 수준으로 함량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2. 조지방 및 조섬유 함량은 조단백과 반대의 양상으로 개화기인 5월에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3. 총당은 전 생육기간 중 60-71%의 함량범위로 존재하여 전체성분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지상부 생육이 완료된 6월이 71% 수준으로 가장 높았으며, 개화기인 5월이 60%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4. 인삼 저장근의 유리당 함량은 지상부 출현기인 4월에 20.40%로 최대치를 보였으나, 개화기인 5월에는 11.89%로 전생육시기 중 최소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5. 유리당 중 가장 함량이 높은 sucrose의 변화(10.96-19.60%) 양상은 전 수확기간 중 총 유리당의 변화(11.89-20.40%) 경향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지만 fructose의 함량 변화와는 서로 상반된 양상을 나타내줬다. 한편 유리당 중 glucose와 maltose의 함량은 전 수확기간 중 통계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조사포닌과 총 ginsenosides함량은 개화기인 5월에 각각 7.60% 및 4.09%로 기타 수확시기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그 외의 시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4년생 인삼에서 성분적 특성만을 고려할 경우 개화기인 5월이 가장 유리하였다 그러나 개체당 함량은 10월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삼모상근의 생장과 Ginsenoside 생산에 미치는 NaCl의 영향 (The Effect of NaCI on the Growth and Ginsenoside Production from Ginseng Hairy Root)

  • 김유진;심주선;정대영;이정혜;인준교;이범수;양덕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4-99
    • /
    • 2008
  • 인삼의 생장에서 염류의 집적은 우량 인삼의 생산에 많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계 분리된 인삼의 우수 계통으로부터 NaCl 처리에 따른 생장율 조사와 ginsenosid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모상근(KGHR-8)으로부터 ginsenosides의 함량에 미치는 NaCl의 최적 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30일간 배양한 결과 NaC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상근의 생장은 감소하였지만, total ginsenoside의 함량은 0.24M NaCl 처리구에서 높은 증가를 가져왔으며 특히 광을 조사하여 배양한 결과 높게 검출되었다. 0.24 M NaCl 농도로 광상태하에서 함량은 61.7%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Table 1). 또한 모상근의 생장을 최적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 two step culture 방법을 조사한 결과, 0.05M, 0.1M NaCl 처리시 모상근의 생장율은 각각 약 62%, 76% 감소한 반면, ginsenoside의 함량은 29%, 48% 각각 향상되었다. 모상근은 방어기작의 일환으로 NaCl을 elicitor로 인지하고 2차대사산물인 사포닌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양한 생물반응기 형태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부정근의 생장과 Ginsenoside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Bioreactors on Growth and Ginsenoside Accumulation in Ginseng Adventitious Root Cultures(Panax ginseng C.A. Meyer))

  • 김윤수;한은주;백기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249-253
    • /
    • 2004
  • 생물반응기의 형태에 따른 인삼부정근의 생장과 ginsen-side의 생산능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원형의 상부와 하부에 5 cm의 bubble column을 가진 bulb type bubble bioreactor (BU)에서 건물중은 41.92 g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cylindric tube bioreactor (CT)에서 건물중이 38.55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들 두 생물반응기의 초기 kLa 값은 BU 생물반응기에서 6.98 h$^{-1}$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반대로 bubble column이 없는 CT 생물반응기에서 5.25 h$^{-1}$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초기 kLa값의 차이는 부정근내의 이차대사산물인 ginsenoside의 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U 생물반응기에서 bubble column의 길이를 기존의 5 cm에서 10 cm로 연장시켰을 때, 초기 kLa값이 6.52 h$^{-1}$에서 7.80 h$^{-1}$로 증가하면서 인삼부정근의 생장을 42.13 g에서 50.30 g으로 약 16%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인삼의 가공방법에 따른 일반성분 및 Ginsenoside 함량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Different Root Parts of Ginsengs with Processing Method)

  • 최재을;남기열;이상국;김복용;조황식;황광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8-125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changes in general chemical composition, free sugar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act, and ginsenoside contents depending upon processing methods. Ginseng roots harvested from the same field were employed for the processing into white ginseng (WG), taegeuk ginseng (TG), red ginseng A (RGA, steamed one time), and red ginseng B (RGB, steamed three times). The fat content decreased by increasing duration of treatment and number of steaming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 in contents of ash and carbohydrate depending on processing methods. Contents of sucrose and maltose was higher in Taegeuk and red ginseng than those of white ginseng. Steamed ginseng root (taegeuk and red ginseng root) showed higher amount of water extractable solid than the unsteamed white ginseng, but the variation of crude saponin content was not distinctive depending on processing methods. The contents of total ginsenosides increased by the order of white, taegeuk, red A, and red B root. In summary, chemical composition and total ginsenoside conten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part of root and processing methods, thus implies the importance of quality control as well as pharmacological activity of ginseng root.

배지의 철이온과 pH 변화에 대한 인삼모상근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Hairy Roots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to Iron Status and pH Change)

  • 양덕조;윤길영;김용해;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37
    • /
    • 2000
  • 인삼 (Panax ginseng C.A. Meyer)의 뿌리로부터 유도한 모상근의 proton 방출은 철이온의 결핍 또는 nitrate나 ammonium이온에 의해 증가되었다. 철이온 결핍에 의한 수소이온 방출의 증가는 정단 조직에서 나타나는 반면에 nitrate와 ammonium 이온에 의한 수소이온 방출은 기저부위에서 높게 나타났다. 배지의 pH변화에 따른 무기이온의 흡수는 무기이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나타냈다. $Ca^{2+}$, $Mg^{2+}$ 그리고 Fe$^{2+}$ 는 pH 4.8 에서 가장 높은 흡수를 나타냈으며, Mn$^{2+}$, $Zn^{2+}$ 그리고 Cu$^{2+}$ 는 pH 3.8에서 가장 높았다. HPLC를 이용한 유리당 및 ginsenoside분석에서, 인삼모상근 유리당 구성의 주성분은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 였으며, glucose와 fructose는 pH 6.8에서 sucrose는 pH 4.8 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반면에 ginsenosides와 phenolic compound의 함량은 MS 배지의 표준인 pH 5.8 에서 가장 높았다. pH 변화에 대한 인삼모상근의 이러한 생리적 반응은 인삼근의 적변유발과 관련된 무기이온의 mobilization 및 흡수기작의 구명을 위한 모델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야생 산삼 지상부 및 지하부의 화학성분 분석과 피부 항노화 효능 평가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for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of Wild Ginseng and Evaluation of Skin Anti-aging Efficacy)

  • 노석선;이광진;김병현;황보경;김효진;장윤희;유재군;주영승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85-95
    • /
    • 202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eal the chemical profiles of aerial(leaf, stem) and underground(rhizome, radix) parts of wild ginseng, and to investigate their anti-aging effects on human skin cells. Methods : Wild ginseng, estimated for over 20 years, was divided into the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Total phenolic contents of each extracts were measured using a Folin-ciocalteu method. The contents of 18 amino acids, 8 minerals and 27 ginsenosides were determined by GC-FID, ICP-MS and LC-MS, respectively. The anti-aging effects, including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activation of mitochondrial function on human fibroblasts, and the proliferation activity on human keratinocyte progenitor cells, for the whole plant and underground part of wild ginseng were evaluated. Results : The total phenolic acids, amino acids, and minerals in the aerial part were more than twice as high as in the underground part. Compared to the cultivated ginseng roo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ginsenosides in both parts of wild ginseng, and the total amount was more than twice as high. In particular, the aerial part significantly contained ginsenoside F1, F2, C-Mc1, and C-O, and the distinctive patterns that distinguish each parts of wild ginseng from the cultivated ginseng root were derived. The whole plant and underground part of wild ginseng exhibited significant antioxidant effect(14.3-45.6%), activation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105.5-120.1%), and cell proliferation(112.1-125.4%). Conclusions : The entire plant and underground part of wild ginseng are high value-added plants and have beneficial effects on skin anti-aging properties through its abundant metabol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