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surface drainage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3초

투수성 포장과 배수성 포장 구조형식의 성능평가 및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Porous and Drainage Pavement Types)

  • 김도완;정상섬;문성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47-57
    • /
    • 2018
  • PURPOSES : The permeable pavement type has been rapidly developed for solving problems regarding traffic noise in the area of housing complex and heavy rainwater drainage in order to account for the climate change. In this regar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pavement types. METHODS : The laboratory test for deriving optimum asphalt content (OAC) was conducted using the mixtures of the permeable asphalt surface for the pavement surface from Marshall compaction method. Based on its results, the pavement construction at the test field was conducted. After that, the site performance tests for measuring the traffic noise, strength and permeability were carried out for the relative evaluation in 2 months after the traffic opening. The specific site tests are noble close proximity method (NCPX), Light falling deflectometer test (LFWD) and the compact permeability test. RESULTS : The ordered highest values of the traffic noise level can be found such as normal dense graded asphalt, drainage and porous structure types. In the results from LFWD, the strength values of the porous and drainage asphalt types had been lower, but the strength of normal asphalt structure had relatively stayed high. CONCLUSIONS :The porous structure has been shown to perform significantly better in permeability and noise reduction than others. In addition to this study, the evaluation of the properties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thickness for the subgrade course under the porous pavement will be conducted using ground investigation technique in the further research.

임도시설에 관한 관리자 집단 간의 의식성향 분석 (Preference Analysis between Two Administrator Groups on Forest Road Facilities)

  • 지병윤;권형근;황진성;정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449-455
    • /
    • 2016
  • 본 연구는 임도사업의 계획과 유지관리 단계에서 임도 관리자 집단의 의식성향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임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임도의 계획과 유지관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임도 노선의 계획시 고려사항으로는 육림작업, 산지재해 예방, 목재수확 등의 항목에서 높은 중요도를 보였으며, 간선임도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도 유지관리 작업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인력 및 예산부족으로 인한 어려움(92.9%)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임도의 개설로 우려되는 주요 피해형태로는 사면붕괴로 인한 인명피해, 사유지 통행에 대한 분쟁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실행하고 있는 임도 유지 관리작업의 주요 내용으로는 배수시설의 정비와 노면정비가 높게 나타났다. 임도시설에 대한 주요 보완사항으로는 배수시설, 비탈면 녹화와 안정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Development of Drainage Asphalt Mixture Using Large Size Aggregate and Its Performance on Test Pavement

  • Ogino Shoji;Ohmae Tatsuhiko;Matsumoto Yuki;Yamada Masaru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07-117
    • /
    • 2006
  • Recently, there has been a remarkable trend of using aggregates at sizes smaller than 13 mm for drainage asphalt pavement (DAP)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between vehicle tires and road surface. These DAPs have their performance and durability seriously worsen after several years in-service due to the clogging of void space and the abrasion. This paper proposes the use of large size aggregates in porous asphalt mixtures to overcome these defects. Results of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s on asphalt mixtures with several aggregate gradations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study focuses on advantages of DAP using large size aggregate and on particle size combinations containing no fine aggregates of size 2.36 mm or less, which have not been considered in current engineering practice.

  • PDF

산림경영기반의 임도개설이 부유사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est road establishment based on forest management on occurrence of suspended sediment)

  • 이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47-255
    • /
    • 2003
  • Forest management starts from forest road facility, which is designated as generation source of muddy water in mountain stream during initial stage of establishment.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effect of suspended sediment generated in forest road surface on the muddy water in mountain stream with respect to marsh area of forest. As a result, characteristics of outflow of suspended sediment was understood, and it was judged that generation of suspended sediment due to establishment of forest road is diluted by mountain stream this charged from drainage area so as to have small effect on muddy water in total mountain stream.

SWAT 모형에 의한 제주도 외도유역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출량 산정 (A Runoff Simulation Using SWAT Model Depending on Changes to Land Use in Jeju Island)

  • 한웅규;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057-1063
    • /
    • 2009
  • Since Jeju island has depended a water resource on the underground water because of a poor development of the surface flow, Jeju island is in need of the surface resource development to prevent the future shortage of the underground water due to excessive development and use of it. The study shows that the SWAT model(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is applied to estimate the outflow in the drainage watershed area, where it has been urbanized through the change of the land, such as a tourism development, cultivation, housing, and impervious layer road development. Near Oaedo watershed area in Jeju island, weather and topographical SWAT input data were collected, and compared the outflow change of past and present.

선형 배수로에 대한 부등류 해석 (Varied Flow Analysis for Linear Drainage Channels)

  • 구혜진;전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8호
    • /
    • pp.773-784
    • /
    • 2008
  • 본 연구는 노면배수시설에 이용될 수로 양단에 유출구를 가지며 유량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선형 배수로의 부등류 흐름의 해석 방법을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지배 방정식으로서 유한 차분 형태의 대수방정식을 사용하여 지배단면에서의 수심 값을 경계조건으로 Newton-Raphson 방법에 의하여 수면곡선을 계산하였다. 하류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와 수로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를 고려하고, 다양한 종단경사에 대하여 흐름 해석을 수행하였다. 단,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경우 양단을 지배단면으로 만드는 임계 종단경사를 조사하여 이보다 작은 종단경사에 대한 흐름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임계경사는 지배단면의 위치와 종단경사의 관계로부터 결정하였다. 하류단에 하나의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경우 수로 상에 존재하는 지배단면의 위치를 조사하여 그 지점을 기준으로 상류 및 하류 방향으로 수심을 계산한다. 반면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경우 지배단면이 수로 양단이라면 분수계를 가정하여 분수계를 기점으로 구분되어지는 상류측 및 하류측 수로에 대한 흐름 해석을 수행하고, 상류단에서 분수계 방향으로 그리고 하류단에서 분수계 방향으로 계산된 분수계 지점의 두 수심이 동일할 때까지 흐름 계산을 반복한다. 흐름 계산 결과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가 임계경사보다 큰 경사로 설치된 경우에는 하류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흐름 거동과 유사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노면배수시설 설계의 중요한 요소인 최대수심은 종단경사가 작을 때 등류 해석으로 계산된 값이 부등류 해석보다 크게 산정되었으며, 이는 종단경사가 작을 때 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한설계가 과대설계가 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Roadside Gully-Pot Sediments, Seoul, Korea

  • Kim, Sung-Hwan;Lee, Pyeong-Koo;Yun, Seong-Taek;So, Chil-Sup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22-225
    • /
    • 2001
  • In urban environments, the surface land impermeability fundamentally related to urban growth emphasizes th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the storm water peak flow (so-called the urban flooding) and the pollution. The conventional urban drainage system provides a number of temporary reservoirs intercepting and retaining surface-derived pollutants following their introduction to and deposition upon the impermeable surface. Gully-pots are common features in urban drainage systems in Korea, which were installed for draining rainwater to prevent regurgitation in rainy season and retaining larger particles, hence minimizing pipe blockage problems. When the road runoff conveying sediment enters a gully-pot, the sediment mixes with the gully liquor causing direct pollution of receiving waters.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sediment contamination are usually related to the types of land use activities that take place or have taken place within the area.,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the contamination of gully-pot sediments in Seoul with respect to heavy metals such as As, Cd, Co, Cr, Ni, Pb, Cu and Zn. The heavy metal data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land use type. In this paper, sampling sites in Seoul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commercial area, industrial area, residental area, motor way, rural area, and local pollution).

  • PDF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의 지형적 특성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pider Habitat in Yeoncheon)

  • 양재혁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7-88
    • /
    • 2018
  • Wetlandsis developing on the lava plateau in Eundae-ri, even though there are no majorstreams into this area. As a result of drilling, 1~2m clay layer is founded under the superficial formations of the wetland, which are the main reasons for formation of the wetlands by limiting vertical drainage. The clay layer's Granulometry/XRD show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in situ weathering of basalt, and since 2~3cm of sand layer exist within the profile, the clay layer seems to be supplied and deposited from outside through surface/sheet flows. To keep the wetlands sustainably, the supply of water into the wetlands has to be increased by restoring the surface/sheet flow which is limited or deformed by pavement road.

도로 절토사면 산마루측구 배수성능에 따른 사면안정성 평가 (Evaluation for Installation and Drain Performance of Mountain Side Ditch in Road Cut Slopes)

  • 황영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73-79
    • /
    • 2004
  • 도로주변 절토사면 상부에 설치되는 산마루측구는 강우시 상부로부터 흘러내려오는 지표수를 원활히 배수시켜, 절토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다. 그러나, 산마루측구 설치시 시공여건상 품질관리가 어려워, 절토면 배면으로부터의 지표수를 원활히 배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탈면 상부에 설치된 산마루측구의 기능을 지반 및 지형조건, 강우조건에 따라 비탈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현재 설계 시공되고 있는 산마루측구의 설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산마루측구는 평균적으로 강우시 약 3%의 안전율 증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수치해석을 활용한 산지도로의 상향침투수압으로 인한 포장파손방지를 위한 포장기층종류 및 배수형태의 고찰 (A Study on the Type of Pavement Base and Drainage in Mountain Road for the Prevention of the Pavement Damage by Uplift Water Pressure)

  • 임영규;윤찬영;이승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8
    • /
    • 2010
  • 국토의 70% 이상이 산악지인 우리나라 지형적 특성 때문에 도로가 산지을 인접해서 건설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최근 들어 온난화등의 영향으로 태풍이나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산지 도로의 산사태, 토석류, 상향짐투수압 등에 의한 인명, 시설물 피해도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산지 도로의 피해 중 상향침투수압에 의해 발생하는 포장의 틀림 현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산지도로 주변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상향침투수압에 의해 포장파손이 발생한 지역특성에 대하여 사명의 경사각, 산지표면의 보가유무, 산지 경사면 토사층의 두께, 지중 배수관의 설치 유무에 따라 상향침투수압을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상향침투수압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쇄석기층 위의 아스팔트포장 및 표면배수형식조건에서 5~10kPa 범위에서 발생하며, 사면경사각이 커짐에 따라 상향침투수압도 비례하여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사면의 표면을 보강 처리하지 않았을 경우의 상향침투수압은 작게 나타났다. 산지 경사면의 토사층의 두께는 지하수위가 산지표면까지 상승한 조건에서는 상향침투수압에 큰 영향은 없었으나, 지하수위가 산지표면까지 상승하는 것은 강우지속시간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점을 고려하면, 지중배수관의 설치는 도로 표층에 가해지는 상향침두수압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층형식에 따른 상향침투수압에 대한 저항성 측면에서는 비 부착성인 쇄석기층보다 부착성인 안정처리기층이 자중이 증가하여 포장의 틀림 현상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고 판단되지만 안정처리기층만으로는 상향침투수압에 견딜 수 없으므로 지중배수관 및 사면배수공법을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