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ght hemisphere damag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말 속담에 대한 우반구 손상 환자의 이해력 연구 (Study on Korean Proverb Comprehension in Patients with Right Hemisphere Damage)

  • 안종복
    •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67-78
    • /
    • 2008
  •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how well people with right hemisphere damage can understand Korean proverbs. This study used a between-subject design and within-subjects design where all subjects participate in the three experiments for 10 hospitalized patients of whose average age is 66.1 years old and 10 normal adults in the same age range. Experiment 1 was to make up Korean proverb related stories and suggest it in written, Experiment II was to suggest a picture presenting a Korean proverb and the proverb itself directly, and Experiment III was to make up a story related to a Korean proverb and tell it auditory. Five Korea proverbs were used for each experiment; 15 in to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Korean proverbs between normal adults and people with right hemisphere damag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understanding between them by stimulating methods to suggest Korean proverbs. Third, people with right hemisphere damage had a tendency to interpret Korean proverbs literally as a total wrong reaction was composed of 55.36%. Considering the above th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people with right hemisphere damage have less understanding of Korean proverbs than normal adults, which is not affected by a way of or a condition of suggesting Korean proverbs in people with RHD, and they are inclined to make literal interpretation of Korean proverbs as they are.

  • PDF

미세 간질중첩증에서의 역설적 편측화 (Paradoxical Lateralization of Convulsive Movements in a Subtle Status Epilepticus)

  • 손은희;정기영;김재문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4권2호
    • /
    • pp.137-139
    • /
    • 2002
  • Background : Subtle status epilepticus (SE) is an end-stage of convulsive SE. This phenomenon might be a clinical expression of neuronal exhaustion caused by sustained electrical discharges. As subtle SE may show diverse clinical features, early detection depends on clinical suspicion. Case : A 68-year-old woman was presented with repetitive involuntary movement of right limbs after two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s. She experienced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ion 4 months ago, and after the event, left side hemiplegia sustained. These seizures were first-ever after the cerebral infarction. Orientation and verbal responses were fairly preserved but general cognitive function was minimally slowed. During the video-EEG monitoring, repetitive sharp waves were noted in the right hemisphere and these sharp waves occasionally spread to the contralateral side. Her right side involuntary movement was identifiable when the epileptic discharges were found on her right hemisphere. Conclusion : We suggested that this unexpected convulsive movement is a reflection of earlier exhaustion in the right hemisphere or deefferentation of right hemisphere because of preexisting neuronal damage.

  • PDF

우반구 손상 환자의 인지의사소통장애의 연구동향 -최근 10년간을 중심으로- (The Study Trends of the Right Hemisphere Damage Cognitive-Communication Disorders - Focused of Recent 10 Years -)

  • 우희림;김정완
    • 재활복지
    • /
    • 제21권1호
    • /
    • pp.213-231
    • /
    • 2017
  • 우반구 손상(Right Hemisphere Damage, RHD)에 따른 의사소통장애는 좌반구 손상 환자군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좌반구 손상 환자 대상의 실어증 평가에서는 그 장애 정도가 잘 감별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언어 평가와 중재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외 관련 학술지에서 다루어진 RHD 환자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RHD 환자의 의사소통장애 평가와 중재 방향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임상과 연구 영역에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국내외 논문 총 75편(국내 논문 13편, 국외 논문 62편)을 대상으로 연구유형과 연구영역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유형 및 연구영역에서 국내외 동일하게 RHD 환자의 인지-의사소통장애 특성을 비교하고, 언어외적 능력을 가장 많이 살펴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도구 개발 연구 및 인지-의사소통 외 능력(예: 일상생활능력, 우울)과 같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빈번히 이루어져 있는 국외 연구와는 달리 국내 연구는 아직까지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져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파악된 RHD 환자군의 국내외 연구 동향을 통해 향후 국내 RH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장면과 연구에서 다양하고 심도 높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좌반구 손상과 우반구 손상 뇌졸중 환자의 의문문 유형에 따른 운율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rosodic characteristics by question type in left- and right-hemisphere-injured stroke patients)

  • 유영미;성철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1-13
    • /
    • 2021
  • 의사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운율은 기능에 따라 언어적 운율과 정서적 운율로 구분한다. 대뇌 편재화 관점에서 정서적 운율 처리는 우반구가 주로 담당한다는 결과가 일반론적으로 받아들여지지만, 언어적 운율에 대한 연구들은, 연구간의 방법적인 차이로 인해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정상 화자 9명과 뇌졸중 환자 14명(좌반구 손상 7명, 우반구 손상 7명)의 세 집단을 대상으로 대뇌 편재화의 관점에서 언어적 운율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세 가지 형태 의문문(의문사 의문문, 예-아니오 의문문, 선택 의문문)에서의 발화속도, 지속시간, 음도, 강도와 관련된 운율 특징을 청지각 평가와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주요변수들이 좌반구 손상 환자의 자료에서 결함을 보였으며, 예-아니오 의문문과 선택 의문문보다 의문사 의문문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음도와 발화속도 관련 변수들에서 두드러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사용자의 의문사 사용에 있어서 어휘-의미론적, 구문론적 정보와 같은 언어학적으로 관련 있는 운율 처리의 경우 우반구보다 좌반구에서 대체로 우세하다는 점을 방증한다.

편측 뇌손상 환자에서 특정 과제에 한정된 동측 상지의 운동 결함 분석 (Ipsilateral Motor Deficit during Three Different Specific Task Following Unilateral Brain Damage)

  • 권용현;김중선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7권2호
    • /
    • pp.67-87
    • /
    • 2005
  • Impaired sensorimotor function of the hand ipsilateral to a unilateral brain damage has been reported in a variety of motor task. however, it is still the controversial issue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detection in clinical situation, patients' variability(time after onset, contralateral upper extremity severity, other cognitive functions including apraxia), and the performed various motor tas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ipsilateral motor deficit following unilateral brain damage in three different specific tasks(hand tapping, visual tracking and coin rotation) compared with healthy age-sex matched control group using the same hand and to investigate the lateralized motor control in each hemispheric function. Findings revealed that stroke patients with unilateral brain damage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rapid-simple repetitive movement, visuomotor coordination, complex sequencing movement on ipsilateral side. Also, Comparison of the left-hemispheric stroke groups and the right-hemispheric stroke groups revealed that patients with a left-hemisphere damage tended to be more variable in performing all of the three tasks. These results show that stroke patient with left hemisphere damage has more ipsilateral motor deficit, and the left hemisphere contributes to the processing of motor control that necessary for the executing actions with ipsilateral hand.

  • PDF

외상성 뇌손상 및 우반구 손상 환자의 인지-의사소통 능력 평가도구에 관한 문헌 고찰 (Assessment Tools of Cognitive-communicative Ability for Traumatic Brain Injury and Right Hemisphere Damage: A Review)

  • 이미숙;김향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53-262
    • /
    • 2011
  • 외상성 뇌손상 및 우반구 손상 환자의 인지-의사소통 능력은 다른 신경학적 장애군과 다른 양상을 띤다. 따라서, 이들의 진단 시 실어증 평가도구 등을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두 장애군의 인지-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기에 앞서, 이와 관련된 국외 문헌 및 평가도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평가 시에는 주의력, 기억력, 조직화 능력, 추론력, 기능적 의사소통 능력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반구 손상 이후에는 주의력 등 여러 인지 영역과 함께 고차원적 언어 능력을 평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요컨대, 두 장애군의 인지-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지-의사소통 영역 간의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아울러, 두 장애군을 실어증 등 다른 신경학적 장애군으로부터 변별하고, 치료 시 영역별 지침서로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문맥 내에서 좌우반구 손상자의 동음어에 대한 운율 산출 비교 (A Study of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Homographs with Context Cues by Subjects with Right and Left Hemisphere Damage)

  • 이명순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2권1호
    • /
    • pp.13-2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sody characteristics of sentence-level utterances which contain homographs with context cues in patients with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Homographs which may be affected by prosody, especially tonic length featur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is matter. The characteristics of tone, duration, pitch, and pitch peak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rosody in patients with lesions in the left or right hemisphere and normal controls. The whole process was recorded using Praat 4.3.14 and for statistical analyses, three-way ANOVA and multiple comparative analyses, Chi-Square tests, and a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2.0 for Window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ngth of syllables and vowels in homographs in Korea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aning and was not significant between groups. Second, it was found that patients with lesions in the right hemisphere had significant difference on pitch. Third, it was found that frequency of pitch peak and tone in 'short' tone syllables were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prosody of homographs between groups absolutely was not differentiated. Accordingly, more detailed studies of acoustic parameters and other parameters which the prosody characteristic between groups could be found are needed in the future.

  • PDF

지각 장애의 신경 심리학적 기전 (Neuropsychological Mechanism of Perceptual Disorder)

  • 이성훈;박윤조;김동화;박혜정;김지웅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2호
    • /
    • pp.143-148
    • /
    • 1999
  • 목 적: 지각 장애가 어떤 뇌의 부위와 기능에 장애가 있을 때 발생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정신과와 뇌손상 환자에서 신경심리 검사와 지각 장애와 관계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정신과 환자 69명, 뇌손상 환자 50명, 총 119명에서 Halstead Reitan 신경 심리 검사와 K-WAIS, MMPI를 시행하였다. MMPI 항목 중 지각 장애와 관계되는 9개 항목에서 산출된 점수와 신경심리 검사의 결과와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또 정신과 환자에서 지각 장애 점수가 높은 지각 장애군 21명과 지각 장애가 없는 지각 장애 17명을 t-test로 비교하였다. 결 과: 뇌손상 환자군에서 지각 장애가 전두엽 기능을 보는 범주화 검사, 선로 잇기 검사, 촉각 수행 검사, 손끝 숫자 쓰기 검사와 우측 반구 기능을 보는 촉각 수행 검사의 위치, 동작성 점수, 빠진곳 찾기, 차례 맞추기, 토막 짜기 등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 피질하 기능을 보는 숫자 상징, 산수, 숫자 외우기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정신과 환자의 높은 지각 장애군은 우측 반구 편측화 지수와 빠진 곳 찾기, 토막 짜기와 같은 우측 반구 기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또 이해, 어휘, 공통성과 같은 좌측 반구 기능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 론: 지각 장애는 전두엽, 우측 반구, 피질하 구조의 기능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발생이 되며, 정신과 환자군에서는 좌측 반구의 기능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어 초점 발화 시 우반구 손상인의 초점 운율 특성 (Characteristics of Right Hemispheric Damaged Patients in Korean Focused Prosodic Sentences)

  • 이명순;박현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3호
    • /
    • pp.69-81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반구 손상인에게 대조 초점의 중의성 문장에 대한 운율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초점 운율을 조사하기 위해서 강도, F0, 지속시간 등의 음향학적 매개변수를 검사하였다. 정상인과 우반구 손상인의 모든 구어 샘플은 Praat 4.3.14로 분석하였으며 SPSS 18.0을 사용하여 독립 t-test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음절의 강도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F0은 모든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지속시간은 모든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강도, 지속시간, F0는 모두 구조적 화용적 의미를 강조하는 데 있어서 운율의 요소로써 사용되지만, 초점에 따라서 강도와 지속시간은 F0와 연관성이 있었다. 그에 비해 F0는 언어학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손상인과 정상인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F0는 우반구 손상인의 운율적 평가의 변별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차후의 연구를 통해 더 강력한 증거를 축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학습장애의 신경생물학적 기전 : 읽기장애를 중심으로 (Neurobiological basis for learning disorders with a special emphasis on reading disorders)

  • 정희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341-353
    • /
    • 2006
  • Learning disorders are diagnosed when the individual's achievement on standardized tests in reading, mathematics, or written expression is substantially below that expected for age, schooling, and level of intelligence. Subtypes of learning disorders may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language-based type learning disorders including reading and writing disorder, and nonverbal type learning disorder (NLD) such as those relating to mathematics & visuospatial skills, and those in the autism spectrum. Converging evidence indicates that reading disorder represents a disorder within the languag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within a particular subcomponent of that system, phonological processing. Recent advances in neuroimaging technology, particularly the development of fMRI, provide evidences of a neurobiological basis for reading disorder, specifically a disruption of two left hemisphere posterior brain systems, one parieto-temporal, the other occipito-temporal. The former is the reading system for beginner reading, the latter for skilled reading. Compensatory engagement of anterior systems around the inferior frontal gyrus(Broca's area) and a posterior(right occipito-temporal) system is noted in persistent poor readers in long-term follow up study. The theoretical model proposed to explain NLD's source is not right hemisphere damage, but rather the white matter model. The working hypothesis of the white matter model is that the underdevelopment of, damage to, or dysfunction of cerebral white matter(long myelinated fibers) is the source of this disorder. The role of an evidence-based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remediation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i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