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weed

검색결과 585건 처리시간 0.027초

논 잡초의 군락형 종류와 군락형별 잡초발생과 수도수량과의 관계 (Types of Weed Community in Transplanted Lowland Rice and Relationship between Yield and Weed Weight in Weed Communities)

  • 김순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
    • /
    • 1980
  • 이앙답에 분포되여 있는 잡초군락형 종류와 잡초군락형별, 잡초발생과 수도수량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1978~1979년에 걸쳐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IRRI)시험포장에서 포장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제미작연구소 시험포장에 분포되어 있는 잡초군락형은 8개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군락형은 1)물달개비, 2) 피, 3) 물달개비-피, 4) 피- 물 달개비, 5) 물달개비-올챙이고랭이, 6) 강피-매자기, 7) 강피, 8) 물달개비-피-바람하늘직이 - 매자기 군락형이였다. 2. 이앙답에 발생되는 잡초의 우점도는 벼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변화되었다. 즉, 피의 우점도는 벼출수기까지 증가하다가 이후부터는 감소되었으며, 물달개비와 강피의 경우 벼성숙기까지 계속 증가되었다. 한편 매자기의 우점도는 이앙후 40일경에 최대식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부터는 감소되였다. 3. 잡초군락형별 잡초발생과 벼 수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잡초와의 경쟁력은 잡초군락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잡초발생량이 1$m^2$당 100g 일 때, 벼수량감소는 강피-매자기군락형에서 42%, 피군락형에서 10%, 물달개비, 물달개비-올챙이고랭이군락형에서 각각 15%, 물달개비-피-바람하늘직이-매자기 군락형에서 21%였다.

  • PDF

벼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 재배환경(栽培環境)에 따른 제초제(除草劑) 반응(反應) (Herbicide Response to Cultural Environment in Flooded Direct-seeded Rice)

  • 허상만;김병호;임일빈;권오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82-291
    • /
    • 1996
  • 벼 담수 표면 산파 재배시 파종시기 및 제초제 처리시기에 따른 잡초 발생 양상과 몇 가지 제초제에 대한 약효 및 약해 반응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해는 두 파종 시기별 모두 파종후 7일>파종후 12일>파종후 17일 처리순으로 나타났고, 특히 bensulfuron methyl+mefenacet+dymron 처리에서 심하였다. 2. 벼의 초기 생육은 파종 시기와 제초제 처리 시기가 빠를수록 억제가 컸다. 3. 잡초 발생 양상은 5월(月) 1일(日) 파종에서는 총 10종으로 화본과 1종, 광엽잡초 6종, 사초과 3종이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이 화본과였고 특히 피가 우점(優点)하였다. 5월 22일 파종에서는 총 7종이 발생하였고 화본과 1종, 광엽잡초 3종, 사초과 3종이었으며 피가 가장 많았다. 4. 공시 제초제의 파종 60일에 잡초 방제 효과는 5 월 1일 파종 구는 파종후 7일에서 17일까지 제초제 처리 시기가 빠를수록 피, 사마귀풀 등 일년생 잡초와 올챙고랭이 및 너도방동사니에 대해서는 높고, 올방개에 대해서는 공시 제초제를 파종후 7, 12일 처리보다 처리 시기가 늦은 17일 처리에서 높았다. 5. 수량(收量)은 파종후 7일 처리에서 약해가 심한 제초제의 처리 구와 파종후 17일 처리에서 방제 효과가 낮은 처리 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쌀겨 펠렛을 이용한 친환경 논 잡초 방제 (Evaluation of Rice Bran Pellet for Environment-sound Weed Control in Paddy Fields)

  • 서영호;문윤기;최준근;강안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9-145
    • /
    • 2009
  •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과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잡초 방제는 친환경적으로 벼를 재배하는 데 있어 어려운 점이다. 쌀겨 펠렛을 10a당 100${\sim}$300kg을 처리하면 잡초 방제가는 46${\sim}$69%로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논 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런데, 쌀겨 펠렛을 10a당 200kg이상 시용할 때 쌀의 단백질 함량이 높아 식미치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므로, 밑거름을 50% 절감 사용하여 단백질 함량이 높아지는 것을 막아 식미치를 높이되 수량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쌀겨에 비해 목초액과 현미식초는 잡초 방제 효과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초제 사용량을 절감하고자 기준량인 10a당 butachlor 150g의 25${\sim}$50%를 줄여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쌀겨를 같이 처리하면 잡초 방제가가 높아졌다. 즉, 제초제를 기준량의 반만 사용하였을 경우에 쌀겨를 10a당 100kg 병용처리하면, 잡초 방제가는 63%에서 75%로 높아졌다.

수도(水稻) 재배유형별(栽培類型別)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과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 1 보(報).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과 우점도(優占度) 변이(變異) (Weed Occurrence and Competitive Characteristic under Different Cultivation Types of Rice(Oyriza sativa L.) - 1. Distribution and Dominance of Weed and Rice)

  • 임일빈;구자옥;박근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6-35
    • /
    • 1993
  • 벼 재배유형(栽培類型)을 관행이앙(慣行移秧), 중묘(中苗)(30일묘(日苗)) 기계이앙(機械移秧), 어린모(10일묘(日苗)) 기계이앙(機械移秧), 최아종자(催芽種子)의 담수직파(湛水直播) 및 건종자(乾種子)의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로 하여 잡초(雜草)의 초종별(草種別) 발생양상(發生樣相) 및 우점도(優占度)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관행이앙재배(慣行移秧栽培)에서 발생(發生)된 잡초(雜草)는 피 등(等) 7초종(草種)이었으며, 일년생(一年生) 및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발생비율(發生比率)은 65 : 35% 정도(程度)이었다. 2. 중묘(中苗) 및 어린모 기계이앙재배(機械移秧栽培)에서 발생(發生)된 잡초(雜草)는 피 등(等) 10초종(草種)이었으며, 일년생(一年生) 및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발생비율(發生比率)은 60 : 40% 정도(程度)이었다. 3.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 발생(發生)된 잡초(雜草)는 월년생(越年生) 1초종(草種), 일년생(一年生) 12초종(草種), 다년생(多年生)이 2초종(草種)이었으며, 일년생(一年生) 및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발생비율(發生比率)은 13 : 87% 정도(程度)이었다. 4.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발생(發生)된 잡초(雜草)는 월년생(越年生) 4초종(草種), 일년생(一年生) 13초종(草種), 다년생(多年生)이 3초종(草種)이었으며 일년생(一年生) 및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발생비율(發生比率)은 8 : 92% 정도(程度)이었다. 5. 각(各) 재배유형(栽培類型)에서 발생본수(發生本數)로 본 최우점초종(最優占草種)은 관행이앙(慣行移秧)은 올챙고랭이, 어린모, 중묘(中苗) 기계이앙(機械移秧) 및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올방개,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피이었으며, 발생량(發生量)으로 본 최우점초종(最優占草種)은 관행이앙(慣行移秧), 중묘(中苗) 및 어린모 기계이앙(機械移秧)에서는 올방개, 담수(湛水) 및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피이었다. 6. 각(各) 재배유형(栽培類型)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 우점도(優占度)는 관행이앙(慣行移秧), 중묘(中苗), 어린모 기계이앙(機械移秧), 담수직파(湛水直播) 및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각각(各各) 0.631, 0.687, 0.657, 0.791 및 0.860이었다.

  • PDF

벼 건답직파재배답(乾畓直播栽培畓)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효과적(效果的)인 방제체계(防除體系) (Weed Growth and Effective Control in Direct-seeded Rice Fields)

  • 최충돈;문병철;김순철;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5-182
    • /
    • 1995
  • 벼 건답직파(乾짧直播) 재배답(栽培畓)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을 구명(究明)하고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체계(除草體系) 확립(確立)을 위하여 1994년도에 영남농업시험장(領南農業試驗場)에서 수행(遂行)한 일련(一連)의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단작(單作)의 1모작답(毛作畓)에 비하여 미맥(米麥) 2모작답(毛作畓)에서는 피를 비롯한 대부분의 잡초(雜草) 발생(發生)이 경감(輕減)되었고, 전체적(全體的)으로 약 30%정도(程度)의 잡초발생(雜草發生) 경감효과(輕減效果)가 있었으며, 벼수량(收量)도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이었다. 2. 성력화(省力化)를 위한 무경운(無耕耘) 재배(栽培)는 앵미와 이형주(異型株)의 발생(發生)을 증가(增加)시킬 뿐만 아니라 피와 독새풀의 발생(發生)도 급증(急增)하였다. 3. 피와 바랭이는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종자(種子)가 깊이 묻힐수록 출아(出芽)가 늦었으며, 동일(同一)한 조건(條件)(온도(溫度), 종자매몰심도(種子埋沒深度))에서 피는 바랭이 에비하여 3-5일(日) 출아(出芽)가 빨랐다. 출아율(出芽率)도 온도(溫度)와 매몰심도(埋沒深度)에 영향(影響)을 받았는데, 피는 온도(溫度)의 영향(影響)이 큰 반면(反面) 바랭이는 매몰심도(埋沒深度)의 영향(影響)이 컸다. 4. 수량성(收量性) 확보(確保)를 전제로한 바람직한 제초체계(除草體系)는 건답상태(乾畓狀態)(벼 출아기전후(出芽期前後))에서 1회처리(回處理)+담수상태(湛水狀態) l회(回)의 체계처리(體系處理)로서,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에 걸쳐 90%정도(程度)의 제초효과(除草效果)를 나타내었으며, 수량성(收量性)도 손제초구(除草區) 대비(對比)90%를 상회(上廻)하였다.

  • PDF

무경운(無耕耘) 벼 수확동시(收穫同時) 밀 파종에서 잡초(雜草)발생과 방제 (Weed Occurrence and Control in Simultaneous Wheat Sowing Culture with Rice Harvest under No-tilled Paddy Field)

  • 김대호;김수경;김은석;손범영;강동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6-190
    • /
    • 1998
  • 맥류(麥類)의 생력화 재배법인 벼 수확동시 맥류 파종에서 효과적인 잡초방제법을 확립코자 2년간에 걸쳐 무경운(無耕耘)조건에서 잡초방제에 관한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uta EC.와 Glyphosate SL을 벼 수확동시 맥류파종 당일 혼합살포한 처리에서 밀의 수수(穗數)가 손제초구와 비슷하게 확보되었다. 2. 잡초발생 및 방제가는 Buta EC + Glyphosate SL 혼합살포구에서 방임구에 비해 둑새풀과 광엽잡초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방제가도 92%로 우수하였다. 생육중기 처리제인 Thifensulfuron methyl WG도 우수한 방제가를 보였다. 3. 1년차 포장에서는 잡초발생이 단순하였으나, 무경운(無耕耘)관리가 계속된 2년차 포장에서는 발생초종이 다양화되고 둑새풀의 우점(優點)비율이 높았다. 4. 밀 수량은 Buta EC + Glyphosate SL 혼합살포구와 손제초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둑새풀 건물중과 밀수량 간에는 y = -0.21x + 627.9 ($R^2$=0.65)의 직선적인 회귀관계가 있었다.

  • PDF

고대 화경수누법(火耕水?法)을 응용한 직파 논[直播畓] 제초법 (Weeding Hypothesis on Direct Seeding Rice Field as Applied by the Old Firing and Water Dressing Method)

  • 구자옥;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11
  • 제초를 위한 화경수누법, 즉 화누법은 고대 중국의 "제민요술"에서 유래되어 16~18세기에는 우리나라의 "위빈명농기" "농가집성" "과농소초"에 옮겨진 제초법이다. 직파된 벼논에서 벼와 잡초종들이 입모된 이후에 군락 초관위로 불놓아 태워진 연후에 물을 관수하므로써 잡초를 제거하고 선별적으로 벼를 안전하게 살려 재생시키는 방법이다. 불로 태우는 대신에 이에 걸맞는 비선택성이며 비이행성인 제초제(예, paraquat, oxyfluorfen 등), 또는 방사선 등을 처리하여 손쉽고 안전하게 제초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Combined application of oil cake and rice bran reduced the number of weeds and increased the yield of paddy rice in a paddy field incorporated with white clover

  • Sugimoto, Hideki;Araki, Takuya;Morokuma, Masahiro;Hossain, Shaikh Tanveer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57-357
    • /
    • 2017
  • The combined application of oil cake and rice bran into the soil surface was found useful for weed control in our previous pot study.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L.) while incorporated in the paddy field and effects of combined fertilizer on weed control and rice yield. A plot was divided into two parts i.e. white clover incorporated and not incorporated. The nitrogen content of the incorporated white clover was $12.5gm^{-2}$. Chemical fertilizer and combined fertilizer plots were compared with non-fertilizer conditions. The mixed ratio of combined fertilizer was oil cake 1.35 and rice bran 1.0. Combined fertilizer was applied to the soil surface, and chemical fertilizer was mixed in the soil. Nitrogen application rate was $8gm^{-2}$ for any fertilizer. The weed numbe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white clover plot irrespective of application condition both at heading and harvest time. Also, weed control ability was improved by the use of combined fertilizer. In the not incorporated plot, the number of weeds was suppressed about 90% by applying combined fertilizer. The rice yield was markedly increased by the incorporation with white clover under all fertilization conditions. Contribution rates of increased rice yield by white clover and combined fertilizer were about 55% and about 25%, respectively. The rice yield was increased by the incorporation with white clover, and the number of weeds remarkably decreased as well. Also, these effects were improved due to combined application of oil cake and rice bran.

  • PDF

유기재배 논에서의 예방적 잡초방제를 위한 가묘상 처리 효과 (Effects of False Seedbed on the Preventative Weed Control in Organic Rice Paddy Field)

  • 이병모;지형진;조정래;안난희;옥정훈;정지희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58-361
    • /
    • 2013
  • 논에서 예방적 방제 방법인 가묘상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가묘상의 횟수와 방법, 처리시기를 달리하여 온실과 포장에서 2012년과 2013년 2년 동안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플라스틱 박스에 논흙을 담고 가묘상 방법과 처리 시기를 조사한 바 표토를 긁어주거나 얕게 뒤엎어주는 방법 모두 70% 이상의 잡초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너무 잡초가 어린 1.5엽기 보다는 3엽기 일때가 효과적이여서 가묘상 처리는 잡초가 2-3엽기일 때 수행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포장조건에서의 가묘상 1회 처리 시 61%의 잡초가, 2회 처리 시 79%의 잡초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가묘상 처리에 의해 전체적인 잡초의 발생량은 줄어들었으나 물달개비는 여전히 많이 발생 하였고, 강피는 가장 많이 줄어들었다. 이에 피속 잡초가 문제되는 논에서는 적극적으로 가묘상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초기 잡초밀도를 낮추는데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묘상 처리 방법은 중경제초기로도 68%의 억제율을 보여 충분히 가능한 방법임을 입증하였으나 트랙터를 이용하여 로타리 경운을 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

한국(韓國) 논잡초(雜草) 방제체계(防除體系)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Study on Weed Control Systems in Rice Production in Korea)

  • 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46-251
    • /
    • 1983
  • In recent years weed flora have been changed to perennial dominance in paddy field being affected by the cropping systems and cultural practices. The perennial weeds are difficult to be controlled with annual herbicides which occupy 94% of total consumption of herbicides. The weeds competed more with rice plants in early tillering stages in machine transplanted field. For the reasonable and effective weed control, it is advisable to use single ai herbicides in hand transplanting field, but combined and mixed herbicides should be applied in machine transplanting fie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