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inclination test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7초

통일계 벼의 Brassinosteroid활성물질 검색 (Investigation of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the shoots of hybrid type korean rices)

  • 현규환;박근형
    • KSBB Journal
    • /
    • 제6권2호
    • /
    • pp.123-128
    • /
    • 1991
  • The production of bassinosteroid-like substances of two hybrid types of Korean rice, Jangseongbyeo, Taebackbyeo were investigated. The shoots at the maximum tillering stage were extracted and purified by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raphy, Bondesil chromatography and HPLC of reverse phase, successively. Biological activities of each purification step were monitored by the rice lamina inclination test. Higher activities against the rice lamina inclination test in the each purification step showed that the shoots of two cultivars biosynthesize brassinosteroids. Two cultivars also showed a similar distribu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ndogenous brassinosteroids detected by HPLC.

  • PDF

Monoglyceride 관련물질의 Brassinosteroid-like 생물활성 (Brassinosteroid-like Activity of Monoglyceride Analogues)

  • 박종대;박근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57-360
    • /
    • 1997
  • Monoglycerides, diglycerides, triglycerides와 free fatty acids를 대상으로 brassinosteroid검정용 생물검정법인 rice inclination test에 의해 생물활성을 검정하였다. Monoglycerides 뿐만 아니라 diglycerides, triglycerides 그리고 free fatty acids의 일부도 이 생물검정법에 양성을 나타냈다. 활성을 나타낸 물질중 ${\alpha}$-monoolein, diolein은 동일 농도의 indole-3-acetic acid 보다 높은 생물활성을 나타내어 olein 관련물질이 특히 높은 생물활성을 갖는 흥미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미강과 백미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Brassinosteroids in Rice Bran and Polished Rice)

  • 박경원;박종대;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60-365
    • /
    • 1996
  • 벼(Oryza sativa L.)의 가식부인 쌀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의 존재를 구명하기 위하여 벼를 도정하여 미강과 백미를 얻고 이들을 각각 MeOH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rice inclination test의 생물검정법으로 검정한 결과 활성이 인정되었다. 각각의 추출물을 생물검정법을 지표로 용매분획,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raphy 등의 수법으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정제하고,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TLC 등에 의해 활성본체를 분리하고 각 활성획분을 HPLC에 의해 활성본체 구명을 시도한 결과 미강의 활성획분에서는 castasterone과 teasterone이 동정되었다. 완숙된 쌀에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의 확인 및 동정은 본 연구가 최초로 생각되며,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은 주로 미강에 존재하였으며, 그 함량은 g중량당 castasterone이 0.15 ng 이고 teasterone은 0.37 ng 수준이었다.

  • PDF

들깨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immature Perilla frutescense seeds)

  • 박근형;김선재;현규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3호
    • /
    • pp.197-202
    • /
    • 1993
  • 들깨에 존재하는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미숙종자를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rice inclination test를 지표로, 용매 분획,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raphy, Bondesil chromatography 등의 수법으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정제한 다음,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로 활성성분을 분리하고, 각 활성획분에 대해 HPLC에 의해 활성본체를 구명한 결과, main brassinosteroid로 castasterone이 그리고 minor brassinosteroid로 homodolicholide가 최초로 동정되었다. 들깨에 함유된 brassinosteroid의 함량은 brassinolide로 환산하여 생체중량 g당 $0.5{\sim}0.8\;ng$ 수준이었다.

  • PDF

옥수수 종실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탐색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Immature Zea mays Seeds)

  • 박근형;김선재현규환
    • KSBB Journal
    • /
    • 제8권3호
    • /
    • pp.300-305
    • /
    • 1993
  • 옥수수 종설에 존재하는 brassinosteroid 활생물질 을 탐색하기 위하여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rice inclination test를 지표로 용매분획, silica g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 graphy, bondesil chromatography 등의 수법으로 b brassinosteroid 활생물질을 정제한 다음,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로 활생 성분을 분리하고 H HPLC에 의해 활성 본체를 구명한 결과, castas­t terone과 teasterone이 동정되었는데, 대부분 cas­t tasterone형태로 존재하였다. 옥수수 종실에 함유된 b brassinosteroid함량은 brassinolide로 환산하여 생 체중량 g당 3-8ng 수준이였다.

  • PDF

벼종자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immature oryza sativa seeds)

  • 박근형;김선재;박종대;이란숙;현규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5호
    • /
    • pp.376-380
    • /
    • 1993
  • 벼종자에 존재하는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동진벼 미숙종자를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rice inclination test를 지표로, 용매분획,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raphy 등으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정제한 다음,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로 활성성분을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해 활성본체를 구명한 결과, castaserone, teasterone, 6-deoxocastasterone이 최초로 동정되었다. 벼종자에 함유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의 함량은 brassinolide로 환산하여 생체중량 g당 $0.5{\sim}1.5\;ng$ 수준이었다.

  • PDF

결명자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immature Cassia tora seeds)

  • 박근형;김선재;현규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2호
    • /
    • pp.99-104
    • /
    • 1993
  • 결명자에 존재하는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미숙종자를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rice inclination test를 지표로, 용매분획,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raphy, Bondesil chromatography 등의 수법으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정제한 다음,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로 활성성분을 분리하고, 각 활성획분에 대해 TLC 및 $C_{18}$ column과 ODS column을 사용한 HPLC에 의해 활성본체를 구명한 결과, 결명자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로 최초로 teasterone, castasterone, brassinolide 가 동정되었다. 결명자에 함유된 brassinosteroid의 함량은 brassinolide로 환산하여 생체중량g당 $3.5{\sim}5.5\;ng$ 정도였으며, 동정된 3종의 brassinosteroid는teasterone, castasterone, brassinolide순으로 존재하였다.

  • PDF

일반계 벼의 brassinosteroid활성물질 검색 (Investigation of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the shoots of japonica type Korean rice)

  • 현규환;박근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4호
    • /
    • pp.307-314
    • /
    • 1990
  • Brassinosteroid는 특이한 생리작용을 갖는 식물의 신 생장조절물질로 주목을 받고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의 가장 중요한 작물인 벼의 brassinosteroid에 대해 연구된 바 없어, 일반계 품종의 벼를 대상으로 brassinosteroid활성물질의 검색을 시도하였다. 동진벼와 영산벼를 최고분얼기까지 재배하여 지상부를 수확하고,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서 rice lamina inclination test에 의한 생물검정법으로 활성이 인정되어, 활성본체의 구명과 정제의 목적으로 각각의 활성획분을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charcoal 흡착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Bondesil chromatography 그리고 normal, reverse phase의 HPLC 등적 방법으로 분획하여 검정한 결과 2품종 모두 brassinosteroid활성물질을 생산하고 있으며, 또 2품종간의 endogenous brassinosteroid의 유사성이 인정되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Subspecies-specific STS Marker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egregation Distortion in Rice(Oryza sativa L.)

  • Chin, Joong-Hyoun;Kim, Jung-Hee;Jiang, Wenzhu;Chu, Sang-Ho;Woo, Mi-Ok;Han, Longzhi;Brar, Darshan;Koh, Hee-Jong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75-184
    • /
    • 2007
  • Two subspecies, japonica and indica, have been reported in rice, which differ in several ecotypic traits. However, reproductive barriers in hybrid progenies between subspecies have been major obstacles in breeding programs using inter-subspecific hybridization. As the first step to elucidate the reproductive barriers, we developed subspecies-specific(SS) STS markers in this study. A total of 765 STS primers were designed through comparing DNA sequences at every $2{\sim}3$cM interval between japonica and indica rices, which are available at Web DBs such as IRGSP, NCBI, TIGR, and GRAMENE, and tested for subspecies-specificity using 15 indica and 15 japonica varieties of diverse origin. Of them, 67 STS markers were identified as SS STS markers and their subspecies-specificity scores were estimated. The SS markers were dispersed throughout the genome along chromosomes. Of them, 64 SS markers were mapped on an RIL population derived from a Dasanbyeo(indica)/TR22183(japonica) cross. Genomic inclination of RILs was evaluated based on the genotyping with different types of markers. Association test between markers and segregation distortion revealed that segregation distortion might not be the cause of generating SS markers. The SS markers will be applicable to estimate the genomic inclination of varieties or lines and to study the differentiation of indica and japonica, and ultimately to breed true hybrid rice varieties in which desirable characters from both subspecies are recombined.

  • PDF

잠두(Vicia faba L)가 생산하는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Occurrence of Castasterone, Brassinolide and Methyl 4-Chloroindole-3-acetate in Immature Vicia faba Seeds)

  • 박근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106-113
    • /
    • 1988
  • 벼의 lamina inclination test를 이용하여 미숙 잠두종자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BR 활성물질을 검색하였다. silica gel chromatraphy에 의해 극성이 다른 두 활성구를 얻었다. 극성이 높은 활성구를 정제하여 GC/MS, GC/SIM 분석에 의해 활성본체를 castasterone과 brassinolide로 동정하였다. 또, 극성이 낮은 활성구에서 활성본체를 결정으로 분리하고 MS, NMR등의 분석에 의해 이 물질이 4-Cl-IAA-Me임 을 밝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