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flour Kochuja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쌀가루와 쌀물엿 고추장의 숙성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Kochujang Made of Rice Flour and Rice Starch Syrup During Aging)

  • 박우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25
    • /
    • 1994
  • 쌀의 소비를 촉진하고 쌀가공품의 하나인 쌀물엿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를 시도한 결과 수분함량, pH 및 적정산도는 쌀물엿 고추장과 쌀가루 고추장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원당은 쌀물엿 고추장이 쌀가루 고추장에 비하여 높았으며, 담금 초기에 비하여 숙성 90일에는 두 시험구 사이의 차이는 줄어들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80일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두 시험구 모두 감소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쌀가루 고추장의 L값이 쌀물엿 고추장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 PDF

밀가루와 찹쌀이 고추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at Flour and Glutinous Rice on Quality of Kochujang)

  • 박창희;이석건;신보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375-380
    • /
    • 1986
  • 전분질원으로서 밀가루와 찹쌀을 단용(A: 전량 밀가루 사용, D: 전량 찹쌀 사용) 또는 혼용(B : 밀가루 75%, 찹쌀 25%, C : 밀가루와 찹쌀을 각각 50% 사용)하여 담금한 고추장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숙성 과정중 조단백질과 아미노태의 질소 함량 은 대체적으로 4, 3, C, D구의 순으로 높았고, ethyl alcohol은 D, C, B, A구의 순으로 높았다. pH는 A구에서 다소 높았으나 수분과 식염은 시험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90일숙성 고추장 중의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maltose, rhamnose가 검출되었고, 이중 glucose는 양적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glucose는 A구에서, fructose는 B구에서 각각 높았다. 숙성고추장의 알코올류로서 n-propyl, iso-butyl, iso-amyl alcohol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함량은 3.2mg% 이하로 시험구간에는 큰 차가 없었다.

  • PDF

고추장 숙성 과정중 유리당의 변화 (Changes in Free Sugars of Kochujangs during Aging)

  • 정원철;이택수;남성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1호
    • /
    • pp.16-21
    • /
    • 1986
  • 전분질원을 달리하여 담금한 고추장 숙성과정중의 유리당은 다음과 같다. Glucose는 숙성 전 기간을 통하여 존재하였고 경시적으로 타 유리당보다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찹쌀 고추장이 glucose 함량이 높았고 고구마 고추장이 가장 낮았다. Fructose도 숙성 전 기간을 통하여 존재하였고 함량은 1개월까지 증가 하였으나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고구마, 밀가루, 보리쌀, 찹쌀 고추장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Maltose는 담금 직후에만 존재하였고 함량은 3.50% 미만이었다. Sucrose는 찹쌀 고추장과 밀가루 고추장에서 담금 직후에만 검출되었으나 함량은 0.4% 미만이었다. 보리쌀 고추장에서는 rhamnose도 미량 검출되 었다.

  • PDF

찹쌀과 찹쌀가루가 고추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Quality of Kochujang Prepared with Grain and Flour of Glutinous Rice)

  • 김근향;배정설;이택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227-236
    • /
    • 1986
  • 찹쌀 및 가루를 사용하여 담금한 고추장(시험구 A:찹쌀가루, 시험구 B: 찹쌀, 시험구 C: 찹쌀 및 가루의 혼용)의 화학성분, 효소력 및 texture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 조단백, 조지방, 적정산도, 무기성분, alcohol의 함량 및 pH는 시험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아미노태 질소함량과산성 protease 및 당화 amylase 활성은 A구가 높았고 환원당은 B구가 경시적으로 높았다. Ca, Cu, K, Mn, Mg, P, Fe의 무기성분이 각 시험구에서 검출되었고 이중 K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Cu, Mn, Fe은 극히 미량이었다.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ine, agrginine, proline등의 유리아미노산이 60일 숙성 고추장에서 양적으로 많이 검출되었고 histidine, valine의 함량은 적었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A구 16.49, B구 13.68, C구 15.84mg/g으로서 A구가 가장 많았고 B구의 고추장이 가장 적었다. Texture를 측정한 결과 견고성과 부착성은 담금 직후에는 A구가, 숙성 후기에는 B구가 높았으며 응집성, 탄력성은 A구가 높았고 B구가 낮았다.

  • PDF

TLC법에 의한 장류 및 공류중의 Aflatoxin검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tection of Aflatoxins in the Fermentation Products and Cereals)

  • 한양일;김광호;오영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6-50
    • /
    • 1978
  • Aflatoxin, a mixture of the at least four toxic and carcinogenic metabolites, is known to be produced by only a few fungi. The toxins were designated aflatoxins because they were produced by the mold Aspergillus flavus(A. flavus). However, at least four other toxins and other species of the genus A. niger, A. parasiticus A. ruber and wentii have been reported to produce aflatoxins. And also the identical compounds may also be produced by molds, the Pencillium. At least four different species of Penicilliurn have been reported to produce aflatoxins (P. citrinurn, P. frequentans, P. puberulurn. and P. variable). So it is now known that the problem of Aflatoxin is not restricted to the single species A. flavus, even though that is a very common mold. Also additional aflatoxins have been discorvered. For sereral years, only four aflatoxins were known: $B_1, B_2, G_1$ and $G_2$, so designated by reason of their fluorescence and chromatographic charateristics. It is now known that there are really two new toxic materials in the milk. During the past year(1966) they were christened aflatoxin $M_1$ and $M_2$, since they were first found in milk. The two other and most recently discorvered aflatoxins were isolated late in 1966 from cultures of A. flavus, and were designated aflatoxin $B_2a$ and aflatoxin $G_2a$. In order to obtain a breaf information about extent of contamination of foodstuffs by aflatoxin which is known to produce eight different mold, aflatoxin detection of cereals and fermented foods on sale, such as polished rice, barley, wheat, wheat flour, lentil, red bean, soy bean, noodle, kochuj ang and Dwenjang (fermented soy bean paste) and chong Kuk,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exane:$CHCl_3$ extracts of polished rice, barley wheat, wheat flour, lentil, red bean, noodle and kochujang yielded fluorescent spots on thin layer plates. However their Rfvalu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uthentic aflatoxins. The fluorescent substances of the extract from soy bean, Dwenjang and chong kuk showed very similar Rf values to those of the standard aflatoxins. By two dimensional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comparison of ultra violet absorption spectra, it was found that these fluorescent substances were not aflatoxins. To conclude, aflatoxins themselves were not detected directly in those samples t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