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fermentation

검색결과 901건 처리시간 0.028초

발아현미 농축액 첨가 김치의 숙성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the Kimchi with Addi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Concentrate during Fermentation)

  • 우승미;장세영;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7-394
    • /
    • 2005
  • 발아현미 농축액(GBRC) 첨가량을 0, 1, 3 및 $5\%$(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총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은 담금 직후 GBRC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구간들의 총당 함량이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발효 3일째 약간 증가한 후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Leuconostoc sp.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여 숙성 12일째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Lactobacillus sp.은 숙성 9일째 최대치를 나타낸 후 일정한 균수를 유지하였다. 관능적 기호도에서는 발효전반에 걸쳐 GBRC $1\%$ 첨가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인 모유로부터 분리한 Enterococcus faecium KHM-11의 Amylase 활성과 쌀 첨가 요구르트의 특성 (Fermentation Properties of Amylase Activity and Added Rice Yogurt of Enterococcus faecium KHM-11 Isolated from Korean Human Milk)

  • 배형철;이조윤;랜친핸드;남명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387-392
    • /
    • 2010
  •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assess fermentation properties of amylase activity and added rice yogurt of Enterococcus faecium KHM-11 isolated from Korean human milk. The amylase activity of Enterococcus faecium KHM-11 was above 23 units. Characterization of carbohydrate fermentation of Enterococcus faecium KHM-11 has D-ribose, D-lactose, L-arabinose and starch. Titratable acidity and viable count of lactic acid bacteria of 4% rice yogurt was higher compared to the 0%. Therefore we were discussed Enterococcus faecium KHM-11 is suitable microorganism for fermented milk added rice powder. Hydrolysates of sugars of fermented milk with 4% rice powder cultured Enterococcus faecium KHM-11 were analyzed by TLC and HPLC. Hydrolysates of lactose and galactose were revealed and hydrolysates of glucose was not revealed in results of TLC and HPLC.

미생물 발효 쌀 배아의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Germ after Microbial Fermentation)

  • 송효남;이연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9-66
    • /
    • 2017
  • 쌀 배아의 활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 쌀 배아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과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대조군인 왕겨와 쌀 배아 30% 및 70% 함유시료를 Bacillus 속의 발효균으로 발효시켰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쌀 배아 함량이 증가할수록 조단백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발효 전에 비해 발효 후에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분함량은 발효 후 현저히 감소하였다. 발효 후 pH는 5.83~6.26에서 4.77~4.93으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총산도는 증가하였다. 총고형분 함량은 $0.40{\sim}0.87^{\circ}Bx$에서 발효 후 $1.63{\sim}2.20^{\circ}Bx$로 증가하였고, 총당 함량은 377.56~450.64 mg/mL에서 136.81~151.53 mg/mL로 감소하였다. 발효 전 후 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군이 0.59 및 0.73 mg GAE/g으로 가장 높았고 쌀 배아 30% 및 70% 함유시료는 발효 전 각각 0.26 및 0.28 mg GAE/g에서 발효 후 0.52 및 0.70 mg GAE/g과 같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시료별 및 발효 전 후의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자유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의 $IC_{50}$은 가장 낮았으며, 발효 전 3.77 mg/mL에서 발효 후 3.36 mg/mL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쌀 배아 30% 함유시료는 발효 전 후 각각 6.05 및 3.90 mg/mL로 나타났고, 70% 함유시료는 각각 10.52 및 6.58 mg/mL와 같이 발효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조군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발효 전 59.65%에서 발효 후 63.69%로 증가하였으며, 모든 시료 중 가장 높았다. 쌀 배아 30% 및 70% 함유시료는 발효 전 각각 43.12% 및 49.81%에서 발효 후 51.32% 및 59.32%로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대조군이 발효 전 후에 가장 높아 36.11%에서 40.51%로 증가하였다. 쌀 배아 30% 함유시료는 14.79%에서 22.69%로 활성이 증가하였고, 70% 함유시료는 28.54%에서 33.91%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종합적으로 쌀 배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 XO 및 ACE 저해활성은 낮아지나, 미생물 발효에 의해 이와 같은 생리활성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생물 발효는 향후 쌀 배아의 이용가능성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쌀을 이용한 젖산 발효 음료 개발 (A Yogurt Like Product Development from Rice by Lactic Acid Bacteria)

  • 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86-690
    • /
    • 1989
  • 현재까지 젖산 발효 음료는 우유나 혹은 그 관련 제품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나 쌀을 액화 혹은 당화시켜 젖산균을 증식시키므로서 기호성 있는 젖산 발효제품 생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멥쌀을 12시간 침지 후 총 흡수량이 무게비율로 쌀:물이 1:1이 되게 하여 $121^{\circ}C$에서 20분 살균 후 액화 효소인 ${\alpha}-amylase$를 작용시켜 액화한 후 이 액에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plantarum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접종한 후 배양하여 쌀을 이용한 젖산 발효 제품을 얻었다.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 최적 pH는 3.7 부근으로 발효시작 후 18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젖산균은 세 균주를 혼합하는 것이 가장 좋았으나, L. plantarum과 가장 관계가 깊었다. Skim milk는 젖산 발효를 촉진하나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 열등하였고 호상보다는 액상(쌀1 : 물3) 제품이 우수하였다.

  • PDF

청주(淸酒)의 주모발효중(酒母醱酵中) Nitrosodimethylamine 관련물질(關聯物質)의 변화(變化) (Changes of Substance Related Nitroso Dimethylamine During the Fermentation of Rice Wine Starter)

  • 박두현;홍재식;권태영;이태규;김태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93-203
    • /
    • 1988
  • 청주(淸酒)의 주모(酒母)담금액(液)을 달리하여 발효과정(醱酵過程)중에 pH, 산도(酸度), Nitrate, Nitrite, DMA의 변화(變化)와 발효종료(醱酵終了)후의 NDMA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발효기간(醱酵期間)중 pH는 발효(醱酵) 24시간 이후부터 일반적으로 pH 5.0 이하로 떨어졌고 발효종료(醱酵終了) 후의 산도(酸度)는 $0.51{\sim}0.89$ 이 있다. 주모발효과정(酒母醱酵過程)중 Nitrate의 함량(含量)은 12시간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減少)되었고 Nitrite는 酸度의 영향으로 발효(醱酵) 초기(初期)에 다량생성(多量生成)되었다가 완전히 소실(消失)되었으며 DMA는 각(各) 실험구별(實驗區別) 차이는 있으나 일정(一定)한 수준(水準)을 유지하였다. 발효종료(醱酵終了) 후 NDMA는 Nitrite와 DMA 첨가구(添加區)에서 472.1ppb, DMA에서는 329.0 ppb, Nitrite에서는 229.0 ppb 대조구(對照區)에서는 24.4 ppb 이였으나 시판(市販) 청주(淸酒)에서는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 PDF

찹쌀의 종류와 전처리를 달리한 약주의 특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in Yakju Made with Various brewing Conditions; Glutinous Rice and Pre-treatment)

  • 권영희;조성진;김재호;안병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6-52
    • /
    • 2010
  • 한국의 전통 알코올 음료인 약주를 찹쌀가루, 찹쌀 전분 그리고 누룩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찹쌀의 종류와 전처리의 차이에 따른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효모는 Y90-9를 사용하였고 발효제로는 시판되는 개량누룩(SP1800)을 사용하였으며 덧술에 엿기름을 첨가하여 저온에서 발효하였다. 발효기간 중 pH와 당도는 찹쌀가루를 이용한 약주가 찹쌀전분을 이용한 경우보다 높았으며 전처리로 호화를 거친 약주가 높게 나타났고 발효초기 0.3 이상이었던 산도는 발효 종료 후 전처리에 관계없이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였으며, 알코올 함량은 전처리로 호화를 거친 찹쌀가루 약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함량은 찹쌀가루를 사용한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고 자외부 흡수와 착색도 또한 찹쌀 가루를 사용한 약주도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3.5-3.9 mg/mL의 수준이였다. 술에서 맛과 산성도 조정 역할을 하는 유리당의 조성은 glucose > maltose > fructose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기산은 검출된 6개 중 succin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검출된 21개의 휘발성 향기 성분 중 alcohol은 3 종, ester는 17종, 그리고 aldehyde는 1종이 동정되었으며 그 중 부드러운 향을 나타내는 ethyl palmitate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호화한 찹쌀가루와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제조한 약주가 알코올의 수율이 높고 풍부한 향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현미식초의 발효방법 및 원료함량에 따른 품질변화 (Effects of Fermentation Method and Brown Rice Cont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 주경호;조명휘;박기재;정승원;임정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3-39
    • /
    • 2009
  • 누룩을 이용한 전통발효 현미식초와 효모를 이용한 상업적인 현미식초의 원료 함량에 따른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20{\sim}360\;g/kg$의 원료함량 조건에서 현미식초를 제조하였고, 총질소, 유리당, 유기산, 무기질 및 아미노산 함량을 비교하였다. 누룩을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식초는 원료함량 200 g/kg이하에서 초산발효가 이루어 지지 않은 반면,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식초의 경우 원료함량 120 g/kg 이하에서 초산발효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총질소함량의 경우, 누룩을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식초가 $350{\sim}460\;mg/100g$의 범위를 나타내어,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식초의 $100{\sim}140\;mg/100g$의 범위보다 $2.0{\sim}4.6$배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유기산, 무기질 및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에서도 총질소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누룩을 이용하여 제조한 전통발효 현미식초가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식초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원료함량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경우, 원료 함량 36%인 전통 발효 현미식초의 glucose 함량이 3.45 g/100 g으로 효모를 이용한 발효 식초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유기산에서도 2.5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원료함량 36%인 전통 발효 현미식초의 총 아미노산 함량이 $6088.22\;{\mu}g/mL$로서 효모를 이용한 현미 식초의 $1194.05{\mu}g/mL$보다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storage time and the level of formic acid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epiphytic microflora, carbohydrate components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rice straw silage

  • Zhao, Jie;Wang, Siran;Dong, Zhihao;Li, Junfeng;Jia, Yushan;Shao, Tao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6호
    • /
    • pp.1038-1048
    • /
    • 2021
  •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torage time and formic acid (FA)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epiphytic microflora, carbohydrate components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rice straw silage. Methods: Fresh rice straw was ensiled with four levels of FA (0%, 0.2%, 0.4%, and 0.6% of fresh weight) for 3, 6, 9, 15, 30, and 60 d. At each time point, the silos were opened and sampled for chemical and microbial analyses. Meanwhile, the fresh and 60-d ensiled rice straw were further subjected to in vitro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0.2% and 0.6% FA both produced well-preserved silages with low pH value and undetected butyric acid, whereas it was converse for 0.4% FA. The populations of enterobacteria, yeasts, moulds and aerobic bacteria were suppressed by 0.2% and 0.6% FA, resulting in lower dry matter loss, ammonia nitrogen and ethanol content (p<0.05). The increase of FA linearly (p<0.001) decreased neutral detergent fibre and hemicellulose, linearly (p<0.001) increased residual water soluble carbohydrate, glucose, fructose and xylose. The in vitro gas production of rice straw was decreased by ensilage but the initial gas production rate was increased, and further improved by FA application (p<0.05). No obvious difference of FA application on in vitro digestibility of dry matter, neutral detergent fibre, and acid detergent fibre was observed (p>0.05). Conclusion: The 0.2% FA application level promoted lactic acid fermentation while 0.6% FA restricted all microbial fermentation of rice straw silages. Rice straw ensiled with 0.2% FA or 0.6% FA improved its nutrient preservation without affecting digestion, with the 0.6% FA level best.

米糠배지에서 酵母에 의한 에탄올 발효액의 평가 (Assessment of Ethanol Fermentation with Rice Bran by Yeasts)

  • 손경현;윤종수;성용분;이강표;김재철;이재흥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5-90
    • /
    • 1992
  • Saccharomyces속 효모를 사용하여 미강을 배지로 하여 에탄올을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액화효소와 당화효소를 전처리한 미강에서 여러 Saccharomyces속 효모들을 배양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 IFO 2346이 높은 에탄올 생성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균체성장은 발효 24시간에 $3\times 10^8$cell/ml로 증가하였으며, 발효 72시간후 4.7의 에탄올을 생성하였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발효과정중 1,099mg/l에서 829mg/l로 감소하였으나, glutamic acid, histidine 및 isoleucine은 오히려 각각 218%, 31%5 및 1%48로 증가하였다.

  • PDF

한국산 야생효모에 관한 연구 4 (Studies on the Wild Yeasts in Korea(IV))

  • 박명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57-166
    • /
    • 1973
  • Fermented feed using rice, barley, wheat, and defatted rice brans as the raw materials were prepared by 3 species of wild yeasts which were selected among 35 strains of yeasts isolated, and their analytical values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three yeasts were identified as H.amomala var. anomala (No.225), Candida utilis (No.400), and Irpex-cellulase(consors) (no.403-A). 2. The optimum pH, and sugar concentration of these yeasts in liquid culture were pH 5.0 and Bllg. 10.deg. each. The optimum temperature was 30.deg.C for No.225 and No.403-A, 25.deg.C for No.400. The No.225 and No.403-A grow at higher temperature than 37.deg.C and 40.deg.C each. 3. The No.225 yeast had a large vegetative cell and strong sugar fermentability. The No.225 and 403-A could assimilate cellobiose, xylose, $KNO_2$ and $KNO_3$. These properties were fit for bran fermentation. 4. The No.403-A microorganism was a yeast-like microbe and showed cellulase activity which might help the propagation of other yeasts on the brans. 5. The analytical data of fermented feed indicated the following order of usable value ; rice-wheat-barley bran 4:4:2, rice-wheat bran 5:5, rice-barley bran 5:5, rice-defatted rice bran 5:5. 6. the fermented feed were prepared by mixing brans, 0.3% ammonium sulfate and 5%(w/w) inoculum of yeast suspension in 4% glucose solution. Water content 70-80%, fermentation temperature 25-30.deg.C, and fermentation time 2-3 days were given. 7. The rice-wheat bran 5:5 and rice-barley bran 5:5 fermented feed showed 11, 17-11.45% protein increase, and the rice-barley-wheat bran 4:4:2 and rice-defatted bran 5:5 showed 3.75-6.03% protein increase. 8. The fermented feed prepared in this experiment by the author might work as a nutritive feed using microbial cell body, enzymes produced by microbes and other microbial cell constitu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