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last.

검색결과 496건 처리시간 0.035초

비유기수은 종자소독제개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eed disinfectant in non-mercurious compounds)

  • 이두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3-71
    • /
    • 1979
  • 비유기수은 종자소독제의 개발을 목적으로 배도열병균, 벼깨씨무늬병균 및 벼키다리병균에 감염된 증자 4개품종을 공시하고 Blotter 법, 물한천평판법 및 유묘 검정법 등을 통해서 12종의 약제에 대한 약효를 검정하는 동시에 검정방법별 차이를 검토하고 약해발현 여부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벼${\cdot}$도열병, 벼${\cdot}$깨씨무늬병 및 벼${\cdot}$키다리병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약효가 좋았던 것은 Sisthane, $P_{242}$ 및 Sodium Omadine이었다. Benlate T 및 Homai는 깨씨무늬병에 대한 약효가 낮았으며, Busan 30 및 Panoctine은 유묘검정에서 키다리병에 대한 약효가 낮았다. 약효검정방법으로서는 도열병에 대해서는 Blotter법이, 깨씨무늬병과 키다리병에 대해서는 물한천평판법이 좋았다. 발아율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약제의 최아전종자소독 결과, 약해의 유발은 없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Putative MAPK Kinases in Oryza minuta and O. sativa Responsive to Biotic Stresses

  • You, Min Kyoung;Oh, Seung-Ick;Ok, Sung Han;Cho, Sung Ki;Shin, Hyun Young;Jeung, Ji Ung;Shin, Jeong Sheop
    • Molecules and Cells
    • /
    • 제23권1호
    • /
    • pp.108-114
    • /
    • 2007
  •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ing cascade is critical for regulating plant defense systems against various kinds of pathogen and environmental stresses. One component of this cascade, the MAP kinase kinases (MAPKK), has not yet been shown to be induced in plants following biotic attacks, such as those by insects and fungi. We describe here a gene coding for a blast (Magnaporthe grisea)- and insect (Nilaparvata lugens)-responsive putative MAPK kinase, OmMKK1 (Oryza minuta MAPKK 1), which was identified in a library of O. minuta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Two copies of OmMKK1 are present in the O. minuta genome. They encode a predicted protein with molecular mass 39 kDa and pI of 6.2. Transcript patterns following imbibition of plant hormones such as methyl jasmonic acid (MeJA), ethephone, salicylic acid (SA) and abscisic acid (ABA), as well as exposure to methyl viologen (MV),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OmMKK1 is related to defense response signaling pathways. A comparative analysis of OmMKK1 and its O. sativa ortholog OsMKK1 showed that both were induced by stress-related hormones and biotic stresses, but that the kinetics of their responses differed despite their high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96%).

2(5H)-Furanone 및 2-Cycloalkenone 유도체의 합성과 살균활성 (Synthesis of 2(5H)-Furanones and 2-Cycloalkenones and Their Fungicidal Activities)

  • 허정녕;송영섭;박노균;최경자;장경수;김범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
    • /
    • 2007
  • 살균활성을 보이는 천연물인 incrustoporin(1)의 기본골격인 2(5H)-furanone을 포함하는 유도체 2를 microwave를 이용한 Suzuki-Miyaura coupling 반응으로 합성하였고, 또한 furanone의 화학구조에서 산소원자를 탄소원자로 치환한 2-cycloalkenone 유도체 3 및 4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한 이들 유도체들의 살균활성을 6종의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벼 도열병 및 토마토 역병에 대하여 다소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들 유도체들은 다양한 구조변화를 통한 살균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벼 근권에서 분리한 방선균의 다양성과 항균 활성 (Divers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ctinomycetes Isolated from Rhizosphere of Rice (Oryza sativa L.))

  • 이혜원;안재형;원항연;송재경;김병용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1-378
    • /
    • 2013
  • 토양에 서식하는 다양한 미생물 중에서 식물 근권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은 식물과 상호작용하며 독특한 군집을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료 연용 논토양과 무비 논토양에서 재배된 벼(Oryza sativa L.)의 근권으로부터 배양적 접근을 통해 다양한 방선균을 분리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방선균의 선택적 배양을 위해서 4종류의 선택 배지를 이용하였고, 전체 152균주를 분리할 수 있었다. 분리된 균주들의 분류를 위해서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표준균주와의 상동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균주들이 기존에 보고된 표준균주들과 99.0~100.0%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Dactylosporangium, Micromonospora, Kitasatospora, Promicromonospora, Streptomyces, Streptosporangium 등의 6개 속(genus)로 분류되었다. 그 중 Streptomyces 속에 포함되는 균주가 143균주 (94%)로 가장 많았다.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분리 균주들이 식물병원균에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벼 도열병균(Magnaporthe oryzae)에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벼의 근권이 다양한 방선균을 분리할 수 있는 우수한 분리원이며, 분리된 방선균에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준다. 또한 추후 연구를 통해 친환경 농업을 위한 유용한 미생물 제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시비수준에 따른 병충해방제가 수도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sease and Pest Control on Rice Yield in Relation to Various Combinations of Fertilizer Application)

  • 이경휘;이은종;김광석;주원준;김정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3-39
    • /
    • 1973
  • 시비량의 증시에 따라 수량은 증가하지만 어느 일정수준 이상 과용하던 병충해발생을 유발하여 수량의 감소를 초래하므로 시비량을 현행수준 보다 올리는 반면 병충해 방제를 강화하여 병충해피해를 줄이고 최대한의 증수를 가져 올 수 있는 적정시비수준과 병충해 방제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시침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발병율은 다 같이 시비량과 $1\%$수준에서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인산과 가리를 과용하면 삼요소 표준구보다 발병이 훨씬 많았다. (2) 병충해방제를 실시하지 않을 때는 시비량을 질소기준 8-8.5kg/10a 시용하였을 때 347-378kg/10a의 최고현미수량을 얻었는데 비하여 병충해방제를 실시하면 질소기준 18.5-19kg/10a수준에서 453-462kg/10a의 최고수량을 나타내었고 병충해방제 실시여부에 따른 수량의 차이는 평균 100kg/10a을 상회하였다. (3) 질소비료만 증시한 구와 삼요소비료를 동시에 증시한 구 사이의 수량에 미치는 영 향은 유의 차가 없었다. (4) 현미수량지수로 환산한 병충해탕제효과는 최고 $65\%$에서 최저 $30\%$까지 나타났으며 평균방제효과는 $42-45\%$였다.

  • PDF

수도기계이앙상자육묘에 있어서 살균제처리가 뜸묘방제 및 생육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veral Fungicides on Control of Physiological Disease and Growth Stimulation of Rice Seedlings Grown in Seedling Boxes for Machine Transplanting)

  • 이종훈;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8-333
    • /
    • 1983
  • 수도기계이앙재배를 위한 상자육묘에 있어서 발생하기 쉬운 입고병이나 생리적 장해인 뜸묘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적 기술대책으로서 3-Hydroxy-5-methylisoxazole(상품명 : 다찌가렌)을 비롯한 채소의 로균병방제약제인 SF 8002와 벼의 도열병방제약제인 Isoprothiolane(상품명 : 후지왕)등을 상토 또는 육묘중에 처리함으로서 입고병과 뜸묘의 발생억제효과와 함께, 이들 약효가 묘의 생육과 생리적 활력 증대(건묘육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검토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묘의 지상부를 절단하고 뿌리로부터 흡수된 수분이 야간에 엽초부에 있는 통도조직을 통해서 절단부에 맺치는 일필량의 다소로서 뿌리의 생리적 활력을 진단한 바 Hydroxyisoxazole 19%, SF 8002 24%, Isoprothiolane 35%, Metalayl 41%의 순으로 일필량이 많았다. 2. 20일묘의 뿌리를 절제 사경재배조건에 삽식하여 활착과 관련이 있는 신근발생량을 보면 약제처리에 의한 신근의 발근력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신근발근력과 일필량간에는 고도의 정의 유의상관 관계를 인정할 수 있었다. 3. 35일묘를 대상으로 묘를 뽑아 수평으로 높이고 뿌리를 포수상태로 흡수시키면서 지상부의 굴기력을 측정한 바, 공시약제간 차이는 있으나 무처리에 비해 현저히 빠른 것으로 보아 이들 약제처리에 의한 묘의 활착력이 크게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다. 4. 광합성능력과 직접 관계가 깊은 기공의 개도에 의한 절단한 지상부의 수분감소율의 추이를 보면 Hydroxyisoxazole 및 SF 8002 처리구가 다같이 수분감소율이 큰 것으로 보아 생리활성의 증대가 큰 것으로 해석되었다. 5. 파종후 20일묘를 립모상태하에서 지상부를 절단한 후 지상부의 재생능력을 보면 Isoprothiolane을 제외한 다른 약제처리에서 다같이 높았으며, 특히 SF 8002 및 Metalaxyl이 현저하였다. 6. 이들 살균제처리구는 묘의 생리적 장해인 뜸묘의 방제효과가 뚜렷하였으며, 이같은 효과는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들 약제가 가지는 생육조절작용으로서의 생리적 활력 증대가 뜸묘의 발생을 예방적으로 방제하는 간접효과라고 해석된다.

  • PDF

혹명나방 저항성벼(Cry1Ac1)의 병해 저항성 및 병원균으로의 유전자 전이 (Evaluation of Disease Resistance of a Leaffolder-resistant (Cry1Ac1) Rice Event and Gene Transfer to Plant Pathogens)

  • 남효송;심홍식;유상미;이세원;권순종;김명곤;이용훈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02-208
    • /
    • 2009
  • 유전자 변형 혹명나방 저항성벼의 주요 병해에 대한 저항성 변화를 온실과 포장에서 모본으로 사용된 낙동벼와 비교하였다. 포장에서 벼잎집무늬마름병과 벼깨씨무늬병의 발병 정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온실에서 인위적으로 병원균을 접종하여 벼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 대해 저항성 변화여부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두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인위접종한 벼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감수성도 두 품종간에 비슷하여 포장에서의 결과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형질전환 벼의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Bar 유전자)와 혹병나방 저항성유전자(Cry1Ac1 유전자)가 병원균으로 전이되는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포장에서 발병한 도열병과 키다리병원균을 분리한 후 DNA를 추출하여 PCR을 실시한 결과 두 유전자 모두 병원균으로 전이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병원균과 저항성벼의 지속적인 접촉에 의한 유전자 전이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잎집무늬마름병균과 흰잎마름병균을 계대 접종한 후 DNA를 분리하여 조사한 결과에서도 저항성 유전자의 전이는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본 실험에서는 자연상태와 인위적인 조건 모두에서 유전자 전이를 찾아 볼 수 없었다.

답지력증진시험(畓地力增進試驗) (객토(客土)가 답지력(沓地力)에 미치는 영향(影響)) (An experiment on the enhancement of the fertility of rice paddy. Effcet of field soil application on the fertility of rice paddy)

  • 조성진;육창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8권
    • /
    • pp.61-63
    • /
    • 1967
  • 1. 본시험(本試驗)은 산적토객토(山赤土客土)가 척박한 답토양(畓土壤)의 지력(地力)을 증진(增進)시키는데 그 효과여부(?果與否)를 구명(究明)코져 실시(實施)하였으며 충북도객토사업(忠北道客土事業)과 관련(關聯)된 시험(試驗)이다. 2. 객토재료(客土材料)는 충북대학산야적색토(忠北大學山野赤色土)로서 활성철(活性鐵) 1.31%를 함유(含有)하고 있다. 3. 정조중(精粗重)으로 15,000 kg/10 a 구(區)에서는 11%의 증수(增收)를 갖어왔고 22.5000 구(區)는 9%, 30,000 kg 구(區)는 8%, 7,500 kg 구(區)에서는 6%의 증수(增收)를 갖어왔다. 4. 객토구간(客土區間)에서는 5%수준(水準)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으나 무객토구(無客土區)와 15,000 kg 구(區)사이에서는 매우 유의적(有意的)이고 22.500 kg 구(區)와 30,000 kg 구(區)는 유의적(有意的)이며 7,500 kg 구(區)와는 유의차(有意差)를 인정(認定)할 수 없다. 5. 본시험(本試驗)에서 가장 효과적(?果的)인 객토량(客土量)은 10 a 당(當) 15,000 kg 라고 본다. 6. 동려병과 수수 도열병의 이환율(罹患率)은 객토량(客土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감소(減少)되고 있다.

  • PDF

2004년 주요 농작물 병해 발생개황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of the South Korea in 2004)

  • 명인식;박경석;홍성기;박진우;심홍식;이영기;이상엽;이승돈;이수헌;최홍수;최효원;허성기;신동범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89-92
    • /
    • 2005
  • 2004년은 전년에 비해 기온이 높았고 강수량이 적었다. 벼 못자리 병, 잎도열병 발생 필지,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과 고추 역병, 탄저병 및 바이러스병, 시설참외의 급성 시들음 증상, 흰가루병 등이 2003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특히 벼잎집무늬마름병과 흰잎마름병은 전년에 비해 2배 이상 병 발생이 증가하였다. 벼 이삭도열병이 전년 $3\%$에서 2004년 $0.7\%$로 감소된 것은 출수기 동안 평균기온은 높았으나 강수일수, 강수량 및 습도가 낮아 잎도열병균이 이삭으로의 전파를 억제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추역병은 전년에 비해 크게 감소되었다. 그리고 발표하지 않은 다른 병에 의한 피해는 다소 감소 혹은 유사한 수준이었다.

벼에 대(對)한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비종별(肥種別)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s of Different Silicate Fertilizers on Rice Plant)

  • 이기상;하호성;안상배;허범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2-37
    • /
    • 1986
  • 벼에 대(對)한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鑛滓珪酸質肥料)의 시용효과(施用效果)를 검토(檢討)하기 위(爲)해 유효규산함량(有效珪酸含量)이 56ppm정도(程度)인 사양토(砂壤土)에서 3년간(年間)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시용(鑛滓硅酸質肥料施用)은 생육초기(生育初期)에는 분얼(分蘖) 및 초장(草長)을 억제(抑制)하나 생육후기(生育後期)에는 분얼수(分蘖數)를 늘리고 초장(草長)을 길게 했었다. 2.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시용(鑛滓硅酸質肥料施用)으로 수량(收量)은 증대(增大)되었으며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鑛滓硅酸質肥料施)를 동일량(同一量)으로 시용(施用)했을 때의 수량증대효과(收量增大效果)는 같았다. 3. 수확기(收穫期) 식물체(植物體)의 규산흡수이용율(珪酸吸收利用率)은 광재규산질비료(鑛滓硅酸質肥料) 시용(施用)보다 규회석시용(硅灰石施用)에서 더 높았다. 4. 시험후(試驗後) 토양중(土壤中) 유효규산잔존율(有效珪酸殘存率)은 규회석시용(硅灰石施用)보다 광재규산질비료(鑛滓硅酸質肥料施) 시용(施用)에서 높았다. 5. 시험후(試驗後) 토양중(土壤中)의 유효규산함량증가(有效珪酸含量增加)는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鑛滓硅酸質肥料施)에 관계(關係)없이 0.5N-HCl 가용규산성분함량(可溶珪酸成分含量)으로 1kg/10a 시용시(施用時) 약(約) 2.3ppm 증가(增加)되었다. 6. 식물체(植物體)의 $SiO_2/N$비(比)가 클수록 목도열병(稻熱病) 이병율(罹病率)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