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last.

검색결과 495건 처리시간 0.033초

Pyrrolo[2,1-b]thiazole 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의 합성 및 그들의 벼 도열병균과 밀 붉은녹병균에 대한 선택적인 항균활성 (Syntheses of Pyrrolo[2,1-b]thiazole Carboxanilides and Their Selective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Rice Blast and Wheat Leaf Rust)

  • 한호규;남기달;양범승;최경자;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2-131
    • /
    • 2005
  • 신농약 살균제 개발을 목적으로 pyrrolo[2,1-blthiazole carboxanilide 유도체 9를 합성하고 그들의 식물병원균 6종에 대한 항균력을 시험하였다. 한 분자 내에 피롤과 티아졸 moiety를 동시에 갖춘 이중헤테로고리 화합물인 pyrrolo[2,1-b]thiazole의 C-2 위치에 카르복스아닐라이드기를 도입하여 신규 후보화합물 20종을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은 ${\alpha}$,${\beta}$-불포화 카르복스아닐라이드기와 이것과 시스(cis)관계의 메틸기가 분자 내에 포함되어 있다. Acetoxy-1,4-thiazin 유도체 2를 메탄올 용액 중에서 마그네슘으로 처리하여 기존의 방법보다 더 높은 수율로 pyrrolo[2,1-b]thiazole 에틸에스테르 4를 얻었다. 이것을 가수분해한 다음 생성된 상응하는 카르복실산 5를 DIC 존재 하에서 아닐린 유도체와 반응시켜 pyrrolo[2,1-b]thiazole carboxanilide 유도체 9를 합성하였다. 화합물 9의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오이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보리흰가루병 등에 대하여 (in vivo)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일부 화합물에서 벼 도열병(RCB, rice blast) 과 밀 붉은녹병(WLR, wheat leaf rust)에 대해서만 선택적 활성을 나타냈다.

A Rice Gene Homologous to Arabidopsis AGD2-LIKE DEFENSE1 Participates in Disease Resistance Response against Infection with Magnaporthe oryzae

  • Jung, Ga Young;Park, Ju Yeon;Choi, Hyo Ju;Yoo, Sung-Je;Park, Jung-Kwon;Jung, Ho 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357-362
    • /
    • 2016
  • ALD1 (ABERRANT GROWTH AND DEATH2 [AGD2]-LIKE DEFENSE1) is one of the key defense regulators in Arabidopsis thaliana and Nicotiana benthamiana. In these model plants, ALD1 is responsible for triggering basal defense response and systemic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infection. As well ALD1 i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pipecolic acid and an unidentified compound(s) for systemic resistance and priming syndrome, respectively. These previous studies proposed that ALD1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developing genetically modified (GM) plants that may be resistant to pathogen infection. Here we introduce a role of ALD1-LIKE gene of Oryza sativa, named as OsALD1, during plant immunity. OsALD1 mRNA was strongly transcribed in the infected leaves of rice plants by Magnaporthe oryzae, the rice blast fungus. OsALD1 proteins predominantly localized at the chloroplast in the plant cells. GM rice plants over-expressing OsALD1 were resistant to the fungal infection. The stable expression of OsALD1 also triggered strong mRNA expression of PATHOGENESIS-RELATED PROTEIN1 genes in the leaves of rice plants during infection. Taken together, we conclude that OsALD1 plays a role in disease resistance response of rice against the infection with rice blast fungus.

기상지수에 의한 벼도열병 예찰의 한 모델 (A Model to Forecast Rice Blast Disease Based on Weather Indexing)

  • 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10-216
    • /
    • 1987
  • 미기상 상태에 의하여 벼 도열병을 예찰하기 위한 전산화 예찰모델을 개발하여 그 정확도를 전산모델을 수록한 현지위치형 소형 전산기로서 1984년과 1985년에 걸쳐 포장에서 시험하였다. 건전지 작동형 소형 전산기는 벼 군락내 온도, 습도, 잎이 젖어있는 시간을 계속적으로 측정하여 그 상태를 도열병 발생가능성과 관련하여 평가해서 매일의 병발생가능성 수치(BUS)로 표현한다. 매일의 BUS의 누적치(CBUS)와 두 이병성 품종, M-201과 Brazos에서의 도열병 진전정도와는 밀접한 상관이 있었다. 발병엽율의 logit 치를 CBUS로 회귀하였을 때 평균 결정계수$(R^2)$는 품종과 실험한 해에 따라 $71\%\~91\%$였으며 이것은 시간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을 때의 결정계수$61\%\~79\%$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결정계수는 M-201에 비하여 생육후기에 포장저항성을 보인 Brazos에서 더 낮았다. 이상의 결과, 현예찰 모델은 실제로 사용가능성이 있지만 앞으로 기주의 저항성이나 병원균 집단의 병원성과 관련한 변수들을 기상환경의 변수와 함께 통합함에 의하여 보다 정확한 예찰모델로 개발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PDF

Effects of Atmospheric Ozone on the Rice Blast Pathogen Pyricularia grisea

  • Hur, Jae-Seoun;Kim, Ki-Woo;Kim, Pan-Gi;Yun, Sung-Chul;Park, Eu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19-24
    • /
    • 2000
  • The direct effects of acute $\textrm{O}_3$ on the growth, sporulation and infection of Pyricularia grisea, rece blast pathogen,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ozone and the pathogen. Acute exposure of 200 nl $\textrm{l}^{-1}$ ozone for 8 h significantly reduced conidia germination on water atar. Ozone exposure of 200 nl $\textrm{l}^{-1}$ for 8h per day for 5 days had no effect on increase in colony diameter, but severely damaged actively growing aerial mycelia. However, the damage to mycalia was recovered during the following 16 h exposure of unpolluted air. Conidial production was also stimulated by the acute ozone exposure for 5 days. The conidia exposed to the acute ozone for 5 days normally germinates but slightly reduce appressoria formation on rice leaf. However, the conidia produced by artificial stimulation under the same ozone concentration for 10 day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appressorea for mation on a hydrophobic fil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cute ozone could ingibit appressoria formation as well as vegetative growth of the pathogen, resulting in decrease in rece blast development in the field during summer when high ozone episodes could occur occasionally.

  • PDF

벼 도열병의 발생예찰을 위한 개선된 방법 (Improved Methods for Rice Blast Forecasting)

  • 김장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22
    • /
    • 1982
  • 잎도열병의 발생은 잎도열병병반수조사 4일전까지의 2개반순의 분생포자비산수와 고도의 정의 상관이 있었고 이삭도열병발생은 진흥품종에서 출수기 분생포자비산수와 정의 상관관계였다. 수잉기에 있어서 잎도열병의 병엽수와 이삭도열병발생은 고도의 정의 상관, 지엽의 규화도와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I-KI법은 30분이내에 도열병균 침입에 의한 감염부위를 알 수 있어 잎도열병의 초발은 4일전에 예찰이 가능하였으며 I-KI법과 잎도열병발생과의 양적인 관계를 구명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도열병 내구 저항성 자포니카 벼품종 팔공의 저항성 관련 유전좌위 분석 (Molecular Mapping of the Blast Resistance Loci in the Durable Resistance Japonica Rice Cultivar, Palgong)

  • 백만기;조영찬;박현수;정종민;김우재;남정권;김춘송;권순욱;김보경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95-403
    • /
    • 2019
  • 우리나라의 도열병 균계에 내구저항성을 보이는 자포니카 벼 품종 팔공의 저항성 유전좌위를 분석한 결과, 팔공 allele에 의한 저항성 관련 putative QTLs가 2번, 4번, 7번, 11번 염색체상에서 9개 좌위들이 확인되었다. 팔공의 allele에 의한 도열병 저항성 연관 유전자좌들 중 qBn2.3 (Ch r. 2), qBn4.2 (Ch r. 4), qBn11.1 및 qBn11.2 (Ch r. 11) 등 4개 좌위는 표현형 변이의 28-56.7%를 설명하는 major QTL이었고, 이들 좌위에서는 1-4개의 저항성 관련 유전자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팔공 allele의 5개 QTLs qBn2.1, qBn2.4 (Ch r. 2), qBn4.1 (Chr. 4), qBn7.1 및 qBn7.2 (Ch r. 7) 등은 표현형 변이를 9.7-18.8% 설명하였으며, 이들 좌위들 중 2번 염색체상의 qBn2.1를 제외한 4개 QTLs 좌위에서는 다른 유전자의 보고가 없어 팔공 고유의 도열병 저항성 관련 유전 요소들로 추정 된다. 팔공의 도열병 내구 저항성은 2번, 4번, 7번, 11번 염색체상의 9개 QTLs들의 상호 작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목도열병 내구 저항성 유전자 Pb1이 위치하는 것으로 보고된 좌위의 qBn11.2는 표현형 변이 56.7%를 설명하였고 내구저항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팔공의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은 qBn11.2 좌위의 Stvb-i 유전자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A Partial Nucleotide Sequence of Chitin Synthase (CHS) Gene from Rice Blast Fungus, Pyricularia oryzae and Its Cloning

  • Hwang, Cher-Won;Park, In-Cheol;Yeh, Wan-Hae;Takagi, Masamchi;Ryu, Jin-C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57-159
    • /
    • 1997
  • A 340-bp chitin synthase gene(CHS) fragment was cloned from the genomic DNA of Pyricularia oryzae using a PCR process with two primer DNAs corresponding to highly conserved sequences within fungal CHS genes. The entire DNA nucleotide sequences of the cloned DNA fragment were determined and analyzed. The amino acid sequences deduc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amplified DNA fragment showed 86% homology to that of the Aspergillus fumigatus CHSE gene (9). Using this PCR-amplified DNA, about 2.3 kb of including the PCR fragment of CHSE gene was cloned from genomic libra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