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irement transit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직장인의 은퇴기대가 은퇴준비교육요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tirement Expectation on Pre-retirement Planning Program)

  • 배문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1호
    • /
    • pp.145-15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icit the multi-dimensions of retirement expectations, and explore sub-factors of retirement expectations which predict the possibility of worker's participation to each pre-retirement planning program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four sub-factors; Imposed frustration, New beginning, Transition to rest, Continuing.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tirement expectation according to sex, age, income, and health status. Second, the major affecting factors on participation in pre-retirement planning programs were sex, age, job, educational attainment, and health status. Third, those who have retirement expectations of 'Imposed frustration' tend to attend re-employment, leisure, and health education. Those who have retirement expectations of 'Transition to rest' tend to attend re-employment, inauguration education. And those who have retirement of 'Continuing' tend to attend leisure education.

개인변인, 심리변인, 직업관련변인이 은퇴기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ividual, Psychological, and Job-related Variables on Retirement Expectations)

  • 배문조;전귀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53-6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on employees' retirement expectations divided into imposed frustration, new beginning, transition to rest, and continuing. Independent variables were individual(gender, age, occupation, income, education, and health condition), psychological(self-esteem, locus of control, attitude of leisure, and attitude of family), and job-related variables(job attitude, job satisfaction, and job st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15 employees from Daegu and Kyungpook. Retirement expectations were measured with questionnaire based on several studies. The data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mposed frustration was affected by income, self-esteem, locus of control, job satisfaction, job attitude, and job stability. Second, new beginning was affected by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ttitude toward leisure and family, and job stability. Individual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new beginning. Third, transition to rest was affected by locus of control, attitude toward family, job satisfaction, job attitude, and job stability. Individual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transition to rest. Finally, continuing was affected by age, education, job satisfaction.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continuing.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 과정에 관한 연구: 생애주된일자리와 가교일자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ransition to Retirement of the Middle-Aged in Korea: Focused on the Career Job and the Bridge Job)

  • 최옥금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15-31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중·고령자의 은퇴 과정을 생애주된일자리, 가교일자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3차년도 국민노후 보장패널(KReI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의 가구, 개인 및 직업력 자료를 활용하여 55세 이상 중·고령자들의 생애주된일자리, 가교일자리, 비취업의 비중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 생애주된일자리의 특성과 가교일자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고령자들의 노동시장 지위를 생애주된일자리 유지, 가교일자리, 비취업으로 나누어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중·고령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생애주된일자리를 유지하는 비중이 감소하였으며, 가교일자리의 비중은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 과정에서 점차 '점진적 은퇴'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생애주된일자리와 가교일자리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가교일자리의 질이 생애주된일자리와 비교할 때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고령자의 생애주된일자리 유지, 가교일자리, 비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항 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중·고령자가 생애주된일자리를 그만 둔 이후 가교일자리에서 일하는 것은 이들의 경제적 필요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교일자리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 노동 시장정책의 확립, 그리고 생애주된일자리에서의 퇴출과 공적연금의 수급 사이의 소득 감소를 완화할 수 있는 소득보장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revalence of Retirement Planning Among Women in Malaysia - A Conceptual Article

  • DAUKIN, Mellisa;MOHD ISA, Mohd Yaziz;MOHAMED, Zulkifflee
    • 웰빙융합연구
    • /
    • 제5권4호
    • /
    • pp.1-9
    • /
    • 2022
  • Purpose: Many people recognize the fact that women are basically poor at financial and retirement planning. A small number of scholars have explored the factors and situation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awareness of pre-retirement women and men with regards to planning for their retirement years.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Malaysia, there are more men in the younger segment of the population and more women in the older segment, since women tend to live longer than men due to having jobs of relatively lower risk, their behaviors, and activ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Given that it is hard to predict whether they will be healthy in old age, women may require additional resources to obtain the care and assistance that they need. The transition from career life into retirement is a long process for people to go through. Some may be able to prepare for the next stage of life, and some may not be able to prepare due to personal reasons. Planning for future retirement is important because it will affect the quality of a woman's life after a certain age. Results: Without proper planning, women may face financial instability, depression, and poor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many women are unaware of their financial status or do not know their family's financial status, such as tracking the main income, budget, and expenses, financial commitments and have no proper record of assets owned, loans owed, or updated loan balance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have led to the conclusion that pre-retiree women are likely to regard their retirement savings as sufficient without realizing that they should have at least several types of savings instead of just one, and the grave consequences of not having any savings at all for their retirement years.

은퇴예정자의 은퇴설계가 개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Retirement Planning on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Moderating Effects on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Sense of Crisis-)

  • 김선화;임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570-586
    • /
    • 2015
  • 본 연구는 은퇴를 앞둔 은퇴예정자들의 은퇴설계가 개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 및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보고, 은퇴설계가 국가의 사회적비용 절감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은퇴설계의 사전교육과 은퇴준비에 대한 관심을 정착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은퇴를 앞둔 직장인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자료를 배포하여 회수된 335명의 표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 주택소유형태와 학력에 따라 총체적 만족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택소유형태는 임대인 경우, 학력은 높을수록 총체적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에는 휴식으로의 전환이 부(-)의 영향, 출발에 대한 기대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는 없고 부정적 인생평가가 독립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보에는 휴식으로의 전환과 강요된 좌절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직업 불만족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삶의 질 개선에는 은퇴설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령자의 퇴직전환 및 노후소득보장과 점진적 퇴직지원 (Middle-Old Age's Retirement Transition, Old Age Income Security and the Support of Gradual Retirement)

  • 지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3호
    • /
    • pp.135-168
    • /
    • 2006
  • 우리나라는 매우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가 될 것이 예측되며, 조기퇴직과 근로계층감소에 대한 대책 및 연금개혁 또한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OECD 국가의 연금개혁동향의 개괄적 특징 및 긍정적 부정적(기대)효과를 살펴본 후, 한국노동패널 $3{\sim}7$차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완전퇴직/점진적 퇴직현황과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50세 이상 중고령자의 약 1/4명은 퇴직 후에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근로를 지속하였고, 퇴직을 포함한 여러 종사상 지위의 재취업단계를 거친 완전퇴직자의 98%는 여전히 구직활동을 하고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 역시 노동시장 참여여부의 전통적 퇴직개념이 부적절하며, 임시 일용직 또는 자영업이 중고령자에게 근로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점진적 퇴직자의 바뀐 종사상 지위의 지속기간이 대부분 $1{\sim}2$년으로 짧다. 따라서 다양한 퇴직형태에 대한 고려 및 소득공백기간을 최소화하고 근로의지와 능력이 있는 중고령자의 근로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점진적 퇴직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점진적 퇴직지원의 주된 방안인 부분연금제도는 대상연령을 연금수급연령이하로 하고, 급여수준은 연금과의 연계선상에서 수리적으로 공정하게 설정하되, 실질적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부분연금제도만 단순히 도입하는 것으로서는 부족하며, 이에 대한 사회경제전반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노동시장정책과의 연계를 통해 중고령자의 양적 질적 고용확대를 보장해야 하며, 더불어 점진적 퇴직지원이 비자발적 조기퇴직경로 혹은 고령자의 파트타임근로를 강요하는데 오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PDF

기혼중년남성이 지각한 회복탄력성 및 은퇴태도가 의미있는 삶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lience and Retirement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Men on a Meaningful Life)

  • 오윤자;윤시내;오은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4호
    • /
    • pp.157-17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ilience and retirement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men on a meaningful life, and provide basic data based on empirical research for reexamining meaningful lives of middle-aged married men.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middle-aged men aged between 40 and 60 who were married with children and employed and live in Seoul or Gyeonggido. A total of 476 copies of data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SPSS 20.0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 Duncan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Levels of resilience, retirement attitudes and meaningful life were moderate. Second, middle-aged married me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job, religion, Monthly family income, Wife's employment, marital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n meaningful life. third, middle-aged married men had an impact on resilience and retirement attitude on a meaningful life. In particular, the Affirmation of the resilience of the sub-region and the Transition to Old Age part of the retirement attitud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nough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for middle aged men.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진로전환에 관한 연구 :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reer Transition for Babyboomer retires : Based on The Resilience)

  • 박상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55-162
    • /
    • 2019
  • 최근 기업의 대 내외적 환경변화로 인해 상시 구조조정이 이루어져 베이비부머들은 미처 준비되지 못한 비자발적 퇴직으로 인해 자신의 일자리에 대한 심각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회복탄력성은 퇴직이라는 개인의 심리적인 역경을 극복하는 관점에서 중요해졌다. 이에 본 연구는 비자발적으로 퇴직하는 베이비부머들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이 진로전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개인특성이 진로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성별과 직종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또한 회복탄력성이 진로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회복탄력성은 진로전환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하위요인 중 긍정성은 상황지각, 대처방식, 지지에서 매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대인관계능력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자기조절능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퇴직 후 진로전환을 준비해야만 하는 베이비부머들에게 회복탄력성은 자신에게 처한 역경을 극복하고 성공적인 적응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매우 필요한 능력으로 검증되었으며, 베이비부머들을 대상으로 진로전환의 상담과정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 된다.

은퇴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노인의 성과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Gender, Residential Areas, Retirement Transi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 윤현숙;이미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197-217
    • /
    • 2006
  • 본 논문은 서울과 춘천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고령화와 한국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조사"의 1차년도와 3차년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성과 거주 지역에 따라 은퇴로의 진입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전체 표본(n=1,124)을 도시 남성노인, 농촌 남성노인, 도시 여성노인, 농촌 여성노인으로 구분하여 은퇴로의 진입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도시 남성노인에게서만 은퇴로의 진입이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은퇴로의 진입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가 노인의 성, 거주 지역에 따라 다름을 보여주며, 이러한 차이는 성과 거주 지역에 따라 생애주기 동안 경험한 경제활동, 가정내 역할, 은퇴 이후 역할 등의 차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 PDF

남녀 은퇴자의 은퇴전이 경험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Retirees' Life Satisfaction with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 성미애;최새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9호
    • /
    • pp.13-25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career characteristics on retirees' life satisfaction and investigated the interactive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 between retirement and life satisfaction. Data were drawn from 2 waves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The analytic sample included 158 retired men and 145 retired women in the second wave and all of whom had worked at the first wav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s significantly affected retirees' life satisfaction. Also, famil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 spouse's work status and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such as marriage and employment, influenced retirees' life satisfaction. Financial support from adult children living elsewher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retiree's life satisfact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gender was only found in effects of living arrangement (living alone/with a spouse vs. multiple generations living together) on retirees' lif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