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3초

삽교호의 세균 다양성과 계통분류학적 분석 (Bacterial Diversity and its Phylogenetic Analysis in Lake Sapgyo)

  • 김명;전은형;안태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72-27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삽교호의 요인 분석과 주변 지류의 영향과 계절에 따른 세균 군집구조의 변화를 분자생태학적 접근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시료 채취는 5월과 8월 삽교호 방조제 앞 표층수에서 실시하였으며, 분자생태학적 접근을 위해 시료로부터 DNA를 직접 추출하고, 16S rDNA를 증폭한 후 pGEM-T easy vector에 삽입하여 클로닝을 수행하였다. 획득한 클론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를 분석하였으며, OTUs (operating taxonomy units)로 그룹화하였다. 측정된 종다양성 지수가 8월에 더 높게 나타났으며, 5월의 153개중 34개의 클론과 8월의 131개중 38개의 클론들을 염기서열 분석하였다. 그 결과 Proteobacteria, Cytophaga, Gram positive bacteria와 Verrucomicrobia가 5월과 8월에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Planctomyces, 시안세균과 엽록체가 조류 대발생이 일어난 8월에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반적인 조사결과 삽교호는 전형적인 하구지역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주변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종속영양물질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회전접촉장치와 점감포기 반응조를 이용한 식품폐수 처리시설의 세균군집 구조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of Foo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ombined with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and Tapered Aeration Reactor)

  • 정순재;남지현;배우근;이동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9-176
    • /
    • 2010
  • 회전접촉장치와 점감포기 생물반응조를 이용한 실험용 규모의 폐수처리 공정을 식품산업폐수를 유입수로 사용하여 5개월 동안 운전하였으며, 16S rRNA 유전자의 말단단편길이다형성(T-RFLP) 분석과 계통분류학적 분석방법으로 폐수처리 공정의 세균군집을 조사하였다. 유기물 외에 고농도의 질소와 인이 함유된 식품산업폐수를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안정화 기간 동안 화학적산소요구량, 총질소, 총인의 제거효율은 각각 98%, 93%, 95% 이상이었다. 가동 초기의 세균 군집과 안정화 이후의 세균군집은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며, 안정화 기간 동안 가장 우점한 세균군집은 Bacteroidetes였다. 운전 기간중의 주요 세균 군집은 사상균으로 분류되는 Haliscomenobacter, Sphaerotilus, Candidate division TM7이었으나, 이들 사상균에 의한 슬러지 팽화 현상은 관찰할 수 없었다. Haliscomenobacter와 유연관계가 가까운 세균군집이 안정화 시기에 증가하여 최대 우점 군집이 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회전접촉장치와 점감포기 생물반응조를 이용한 폐수처리공정의 영양물질 제거에 사상균이 중요함을 제시한다.

막걸리에서 분리한 Lactic Acid Bacteria (LAB)의 다양성 분석과 γ-aminobutyric acid 생산능 연구 (Diversity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 Makgeolli and Their Production of γ-Aminobutyric Acid)

  • 이혜림;강기원;서동호;정종현;정동현;김계원;박선영;신우창;심형석;박천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04-2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유통 중인 한국전통 발효주인 막걸리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산균을 동정하기 위해 16S rRNA 부분을 PCR하여 RFLP법으로 패턴을 분류하여 그룹을 나누었다. 유산균 총 수를 확인한 결과 F를 제외한 모든 샘플에서 $10^6CFU/mL$ 이상으로 확인되었고, 효모균의 수는 약 $10^7-10^8CFU/mL$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누어진 패턴을 토대로 염기서열 분석 결과 총 5종의 유산균을 확인 할 수 있었고, 5종의 유산균은 Lb. plantarum/pentosus, Lb. casei/paracasei/rhamnosus, Lb. crustorum, Lb. brevis, Lb. fermentum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막걸리로부터 동정된 유산균으로는 Lb. pseudomesenteroides, Lb. paracasei, Lb. arizonensis, Lb. plantarum, Lb. harbinensis, Lb. parabuchneri, Lb. brevis, Lb. hilgardii, Lb. fermentum이 있는데, 선행 연구들과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Lb. crustorum이 분리되었고, 우점종으로 확인된 Lb. plantarum/pentosus와 Lb. casei/paracasei/rhamnosus와 같은 경우 다양한 subspecies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b. plantarum, Lb. brevis, Lb. paracasei 에서 GABA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막걸리로부터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고, 분리한 유산균의 GABA 생성능력을 규명함으로써, 차후 유산균 분리 및 다양한 기능성 물질 탐색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18S rDNA를 이용한 인삼(Panax ginseng)의 내생균근 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Colonizing Panax ginseng Using 18S rDNA Sequence)

  • 어주경;김동훈;정현숙;엄안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182-186
    • /
    • 2004
  • 아바스큘라 내생균근(arbuscular mycorrhizae, AM) 균은 대부분의 육상식물 뿌리와 공생하며,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균이다. 인삼은 다년생 식물로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약재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8개 지역에서 인삼을 채집하여 AM 균을 염색을 통하여 형태적으로 관찰하고,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뿌리내에 공생하는 다양한 AM 균을 확인하였다. 인삼의 뿌리에 감염되어 있는 AM 균을 염색하여 형태적으로 관찰한 결과 감염률이 낮고 흐리게 염색되었다. 또한 균사와 vesicle 이 발견되었고 이들은 Arum type 으로 판단되지만 arbuscule을 관찰하지 못했기 때문에 Arum-type으로 단정하기는 어려웠다. 식물 내에 공생하는 AM균들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채집된 인삼의 뿌리에서 내생균근 균의 DNA를 AM균에 특이적인 18s rDNA primer를 이용한 nested PCR을 수행하여 AM 균의 18S rDNA중 일부를 확보하였다. 증폭된 DNA는 클로닝을 통해서 개별 내생균근 균 종의 염기서열들로 분리하였고, 이들은 AluI, HinfI과 같은 제한 효소를 사용하여 RELP하였다. RELP 패턴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각 그룹에서 1개씩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염기서열은 기존의 서열과의 유사성과 계통 관계의 분석을 통하여 모두 AM균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다음 2개의 종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araglomus brasilianum, Glomus spurcum이 중 Paraglomus에 속하는 종인 P. brasil-ianum. 이 인삼의 뿌리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어 이들 균과 인삼과의 특이적 관계에 관하여 추측할 수 있었고, G. spurcum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된 염기서열들이 계통도 상에서 특이한 분지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분지에 대해서는 확충된 염기서열들과 비교 분석과 같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DNA검사기법을 이용한 PSE 돈육 생산 돼지 진단 (Diagnosis of Pigs Producing PSE Meat using DNA Analysis)

  • 정의룡;정구용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9-354
    • /
    • 2004
  • 돼지 골격근 근소포체의 $Ca^{2+}$ 방출통로(calcium - release channel)를 지정하는 ryanodine receptor (RYR1) 유전자의 이상은 악성고열증(malignant hyperthermia, MH)을 유발하고, RYR1 유전자의 점 돌연변이는 돼지 스트레스 증후군(porcine stress syndrome, PSS)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PSS 유전인자 보유 돼지의 90% 이상은 PSE 돈육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물퇘지 발생과 생산성 하락으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유전적 원인의 PSS 유전자를 검사하여 제거하는 것은 고품질 돼지고기 생산 및 국내 양돈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CR-RFLP 및 PCR-SSCP 기법을 이용하여 PSE 돈육을 생산 하는 PSS 돼지 유전자 진단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국내 종돈 및 교잡 비육돈의 PSS 유전자형 출현빈도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돼지 PSS의 원인이 되는 RYR 유전자의 단일염기 돌연변이 (RYR1 C1843T)를 포함하는 DNA 영역을 PCR로 증폭한 후 RFLP 및 SSCP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동형접합체의 정상 개체(N/N), 이형접합체의 잠재성 개체(N/n)그리고 열성의 돌연변이 유전자를 동형접합체 상태로 갖는 PSS 감수성 개체(n/n)에 각각 특이적인 RFLP 및 SSCP 유전자형이 검출되어 PSS 저항성, 잠재성 및 감수성 개체의 정확한 판별이 가능하였다. 돼지 주요 품종 집단내 PSS유전자형 출현빈도를 조사한 결과 Landrace는 PSS저항성 개체가 57.1%, 잠재성 개체가 35.7%그리고 PSS 감수성 개체의 출현 비율은 7.1%로 분석되었고 L. Yorkshire는 82.5, 15.8 및 1.7%, Duroc은 95.2, 4.8 및 0.0%로 각각 조사되었다. 비육용 교잡돈은 정상 개체가 72.0%, 잠재성 개체가 22.7% 그리고 PSS 감수성 개체는 5.3%였다. 특히, PCR-SSCP 기법을 이용한 RYR1 유전자 돌연변이 검출 방법은 보다 신속 간편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분석비용이 저렴한 정확성이 높은 PSS 돼지 진단기술로서 대규모 돼지집단 검색이나 RFLP 방법으로 판정이 불확실한 시료의 재검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소아 1형 당뇨병에서 종양괴사인자 및 림프독소-α 유전자 다형성 (Tumor Necrosis Factor and Lymphotoxin-α Gene Polymorphism in Korea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 서진순;박소영;정민호;서병규;김태규;이병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8호
    • /
    • pp.871-876
    • /
    • 2005
  • 목 적 : 한국 소아 1형 당뇨병에서 TNF promoter -857T/C와 -1031C/T 및 $LT-{\alpha}$ 유전자 다형성과 질병감수성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형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소아 49명(여아 29명, 남아 20명)과 정상 대조군 94명의 혈액을 채취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에 대하여 allele-specific PCR법을 이용하여 TNF promotor -1031C/T 다형성을, PCR-RFLP법을 이용하여 TNF promotor -857T/C, $LT-{\alpha}$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서 TNF promoter -857T/C, -1031C/T 다형성의 분포는 차이가 없었다.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에 따라 아군(subgroup)으로 분류하였을 때, 진단 시 당뇨병성 케톤산혈증으로 발현한 환자들에서 TNF promoter -1031C/T 다형성의 TT 유전자형의 빈도가 당뇨병성 케톤산혈증으로 발현하지 않은 환자들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다른 임상적 특성들과 이들 유전자 다형성 사이에는 관련성이 없었다. 또 환자와 대조군 사이에 $LT-{\alpha}$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는 차이가 없었으며, 임상적 특성과의 관련성도 없었다. 결 론 : 이 연구를 통하여 TNF promoter -857T/C, $LT-{\alpha}$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 소아에서 1형 당뇨병의 질병감수성과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TNF promoter -1031C/T 다형성은 당뇨병성 케톤산혈증과 같은 1형 당뇨병의 특정 임상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전적 인자로 생각된다.

잡초에서 분리한 3종 Cucumber mosaic virus의 동정과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ree Isolates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Weed Hosts)

  • 이혁근;김성률;전용운;권순배;류기현;최장경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15-20
    • /
    • 2008
  • 산박하(Isodon inflexus)의 Is-CMV, 깽깽이풀(Jeffersonia dubia)의 Jd-CMV 및 파리풀(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의 Pla-CMV 등, 3종의 잡초에서 분리한 Cucumber mosaic virus(CMV)를 공시하여, 기주반응 실험, dsRNA 분석, 혈청학적 성질조사, RT-PCR및 RFLP등의 실험을 통하여 각 바이러스를 동정하고, 특성을 구분하였다. 잡초로부터 분리 한 3종의 CMV는 Nicotiana benthamiana, N. tabacum cv. Xanthi nc, N. glutinosa, Cucubita pepo cv. Black Beauty에는 모두 유사한 모자이크 병징을 발현하였으며, Chenopodium amaranticolr와 Vigna unguiculata cv. Kurotanesanzaku에서는 국부 괴사병반이 발현되었다. 한편 고추(Capsicum anmuum cv. Chungyang)에서는 Jd-CMV와 Pla-CMV는 전형적인 모자이크 증상을 발현하였으나, Is-CMV는 병징이 나타나지 않고 무병징으로 감염되는 특성을 보였다. Is-CMV, Jd-CMV 및 Pla-CMV에 감염된 N. benthamiana로부터 추출한 dsRNA는 모두 약 3.4, 3.2, 2.1 및 1.0kbp의 분자크기를 갖는 4종의 dsRNA 밴드가 검출되었으며, 대조로 이용한 Fny-CMV의 dsRNA 패턴과 같았다. Is-CMV, Jd-CMV 및 Pla-CMV에 감염된 N. benthamiana의 즙액을 항원으로 이용하여 Fny-CMV의 항혈청과 한천겔이중확산법으로 조사한 혈청학적 실험 결과는 모든 항원이 한 종의 뚜렷한 침강선을 형성 하였으며, Fny-CMV의 항원에 의해서 형성된 침강선과 융합함으로서 서브그룹 I에 속하는 계통들로 판단되었다. 또한 Is-CMV, Jd-CMV 및 Pla-CMV에 감염된 N. benthamiana로부터 추출한 RNA를 이용하여 CMV-specific 프라이머를 이용한 외피단백질유전자를 포함하는 RNA3의 3' 영역 에 대한 RT-PCR을 실시한 결과, Fny-CMV와 마찬가지로 약 950bp 크기의 cDNA가 증폭되었다. 증폭된 각각의 cDNA를 EcoRI으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절단되지 않았으며, HindIII, MspI, SalI 그리고 XhoI에서는 2개의 절편으로 절단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Fny-CMV의 절단패턴과 일치하는 것으로 Is-CMV, Jd-CMV 그리고 Pla-CMV는 서브그룹 IA에 속하는 계통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3종의 잡초로부터 CMV가 분리 동정된 것은 이 논문이 처음이다.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Gene Polymorphisms and Breast Cancer Risk in a Chinese Population

  • Luo, Ting;Chen, Long;He, Ping;Hu, Qian-Cheng;Zhong, Xiao-Rong;Sun, Yu;Yang, Yuan-Fu;Tian, Ting-Lun;Zheng, H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4호
    • /
    • pp.2433-2437
    • /
    • 2013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a potent regulator of angiogenesis and thereby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solid tumours. Associations between three VEGF gene polymorphisms (-634 G/C, +936 C/T, and +1612 G/A) and breast cancer risk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but the currently available results are inconclusive. Our aim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three VEGF gene polymorphisms and breast cancer risk in Chinese Han patients. We performed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including 680 female incident breast cancer patients and 680 female age-matched healthy control subjects.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ct the three VEGF gene polymorphisms. We observed that women carriers of +936 TT genotypes [odds ratio (OR) =0.46, 95% confidence interval (CI) = 0.28, 0.76; P=0.002] or 936 T-allele (OR=0.81, 95% CI= 0.68, 0.98; P=0.03) had a protective effect concerning the disease. Our study suggested that the +1612G/A polymorphism was unlikely to be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risk. The -634CC genotyp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tumor aggressiveness [large tumor size (OR=2.63, 95% CI=1.15, 6.02; P=0.02) and high histologic grade (OR=1.47, 95% CI= 1.06, 2.03; P=0.02)]. The genotypes were not related with other tumor characteristics such as regional or distant metastasis, stage at diagnosis, or estrogen or progesterone receptor status. Our study revealed that the VEGF -634 G/C and +936 C/T gene polymorphisms may be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in Chinese Han patients.

MHC-DQB1 Vari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Resistance or Susceptibility to Cystic Echinococcosis in Chinese Merino Sheep

  • Hui, Wenqiao;Shen, Hong;Jiang, Song;Jia, B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2호
    • /
    • pp.1660-1666
    • /
    • 2012
  • Cystic echinococcosis (CE), one of the world's most geographically widespread diseases, still represents a considerable economic and public health significance, although a variety of methods has been used to control the disease.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genetic factors, especially variations in MHC loci, can influence the outcome of CE infection in the human population. The study described here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variation in MHC-DQB1 was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or resistance to CE in sheep. If so, it would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breeding disease resistance sheep in futu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204 Chinese Merino sheep, including 101 CE sheep and 103 healthy controls. The polymorphism of MHC-DQB1 exon 2 was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method, and $x^2$ test was used to compare genotype frequencies between CE sheep and healthy controls. A total of 22 alleles and 42 genotypes were identified in DQB1 exon 2 in Chinese Merino sheep. In addition, $x^2$ test showed that frequencies of DQB1-TaqIaa and DQB1-HaeIIInn genotyp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ealthy group (82.5% and 57.3%, respectively) than that in the CE group (57.4% and 28.9%, respectively) (both p values = 0, OR = 0.286, 0.303,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hese genotypes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CE. Whereas, frequencies of DQB1-TaqIab and DQB1-HaeIIImn genotyp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E group (36.9% and 32.0%,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the healthy group (16.5% and 11.15%, respectively) (p = 0.001, 0.001 and OR = 2.963, 3.629,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se genotypes might be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CE. It is concluded that the genetic polymorphism within MHC-DQB1 might influence immune responses to pathogens, thu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CE or protection against CE in Chinese Merino sheep, which would pave the way for breeding disease resistance sheep in future.

Influence of Genotype and Haplotype of MDR1 (C3435T, G2677A/T, C1236T) on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 a Case-Control Study in Jordan

  • Abuhaliema, Ali M;Yousef, Al-Motassem F;El-Madany, Nirmeen N;Bulatova, Nailya R;Awwad, Nemah M;Yousef, Muhammad A;Al Majdalawi, Khalil Z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호
    • /
    • pp.261-266
    • /
    • 2016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among women and the second in humans worldwide. Many published studies have suggested an association between MDR1 polymorphisms and breast cancer risk. Our aim was to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genetic polymorphism of MDR1 at three sites (C3435T, G2677A/T, and C1236T) and their haplotype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in Jordanian females. Materials and Methods: A case-control study involving 150 breast cancer cases and 150 controls was conducted. Controls were age-matched to cases.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technique and sequencing were performed to analyse genotypes. Results: The distribution of MDR1 C3435T genotypes differed between cases and controls [cases, CC 45.3%, CT 41.3%, and TT 13.3%; controls, CC 13.4%, CT 43.3%, and TT 30.2%, p < 0.001]. Similarly, the distribution of G2677A/T significantly differed [cases, GG 43.1 %, GT+GA 50.9% and AA+TT 6%; controls, GG 29.6 %, GT+GA 50.9%, and AA+TT 19.4%, p = 0.004]. On the other hand, genotype and allelotype distribution of C1236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cases and controls (p=0.56 and 0.26, respectively). The CGC haplotype increased the risk to breast cancer by 2.5-fold compared to others, while TGC and TTC haplotypes carried 2.5- and 5-fold lower risk of breast cancer, respectively. Conclusions: Genetic polymorphisms of MDR1 C3435T and G2677A/T, but not C1236T,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breast cancer. In addition, CGC, TGC and TTC haplotypes have different impacts on the risk of breast cancer. Future, larger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these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