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rption

검색결과 1,414건 처리시간 0.027초

cAMP 길항제와 PKA 억제제 및 Adenylate Cyclase 촉진제의 백서 파골세포에서 Cathepsin K 생성에 대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Camp Antagonist and Pka Inhibitors, and Stimulatory Effect of Adenylate Cyclase Agonist on Cathepsin K Processing in Cultured Mouse Osteoclasts)

  • 심연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
    • /
    • 2006
  • 기계적 자극에 의한 골조직의 개조에서 압박측은 일차적으로 파골세포에 의하여 골기질의 흡수를 위한 유전자 발현에 의하여 기시된다. 그러나 기질을 이루는 유기 단백질의 흡수에 관여하는 단백용해효소의 세포 내 작용 기전은 여전히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파골세포에서 용해용소체효소인 cathepsin k에 주목하여, cAMP 길항제와 PKA 억제제 및 adenylate cyclase 촉진제에 의한 cathepsin k 생성의 촉진 또는 억제 효과의 기전을 해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cAMP 길항제인 Rp-cAMP와 PKA 억제제인 KT5720과 H89는 cathepsin K의 세포 내성숙을 차단하였으며, 대조적으로 adenylate cyclase 촉진제 forskolin은 파골세포에서의 cathepsin K의 생성과 성숙을 유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athepsin K의 생성과 성숙에 관여하는 신호전달이 protein kinase C(PKC)와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백서의 골세포를 PKC의 선택적 억제제인 calphostin C로 처리하였을 때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calphostin C는 파골 세포에 의해 매개된 cathepsin K의 생성과 성숙과는 무관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파골세포에서의 cathepsin K의 성숙은 cAmp-PKA 신호전달 경로에 의해 조절됨을 의미한다. 분비된 전구효소는 M6P 수용체를 통하여 세포 내로 다시 진입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M6P가 존재 또는 결여된 상태에서 cAMP 길항제인 Rp-cAMP와 PKA 억제제인 KT5720 및 H89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 Rp-cAMP, KT5720 또는 H89에 의한 cathepsin K의 M6P용량 비례적 생성 억제가 관찰 되었다. 또한 M6P를 주었을 때 Rp-cAMP, KT5720와 H89의 작용이 증가된을 보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Rp-cAMP, KT5720와 H89의 cathepsin K 생성 방해를 통한 골흡수 억제는 골다공증 또는 관절염의 치료와 같은 골흡수의 억제를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의 임상적응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리튬 디실리케이트-지르코니아 이중도재관과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로 제작된 구치부 고정성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의 전향적 임상연구: 24개월 추적관찰 (A prospective clinical of lithium disilicate pressed zirconia and monolithic zirconia in posterior implant-supported prostheses: A 24-month follow-up)

  • 노경우;전영찬;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소현;양동석;배은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34-141
    • /
    • 2019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리튬 디실리케이트-지르코니아 이중도재관과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로 제작된 구치부 고정성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의 2년간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부산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여 치료받은 총 17명의 환자(남성: 12, 여성: 5)를 대상으로 60개의 구치부 고정성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을 제작하였다(LP. Lithium disilicate pressed zirconia prostheses: n = 30, MZ. Monolithic zirconia prostheses: n = 30) 보철물 제작 후 2년간의 추적 관찰을 통해 임플란트 생존율, 변연골 흡수량, 치주낭 깊이, 치태지수, 출혈지수, 치석지수 및 합병증을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임플란트가 기능적 문제와 동요도 없이 100%의 생존율을 보였다. 변연골 흡수량은 관찰 12개월에 LP군이 MZ군 보다 더 적었으며 (P < .05), 임상 검사시 관찰 12개월의 치주낭 깊이 및 치석 지수는 LP군에서 더 높았다 (P < .05). 주된 합병증으로 MZ군에서 7개에서 1.5 mm 이상의 골흡수가 관찰되었으며, LP군에서 2개의 chipping이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구치부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에서 리튬 디실리케이트가 프레스된 지르코니아 보철물은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과 함께 예지성 있는 치료방법으로 판단된다.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3C형 무시멘트 대퇴 스템을 이용한 고관절 반치환술의 중기 결과 (Midterm Results of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oral Fractures Using a Type 3C Cementless Stem)

  • 정우철;조홍만;김선도;박지연;권기현;이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03-510
    • /
    • 2020
  • 목적: 고령의 환자에게 발생한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성 골절에 대하여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이외의 다른 대안으로 고관절 반치환술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의료 시스템과 기술의 발달로 대퇴골 전자간 골절 후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중장기 이상의 기간을 고려한 대퇴 스템의 선택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이중으로 가늘어 지는 직각 단면의 대퇴 스템(C2 stem)을 이용하여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에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하고 5년 이상 추시한 환자에 대하여 그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성 골절에 대하여 C2 스템으로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한 43명의 환자(43 고관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8.6세(70-84세), 평균 추시 기간은 85.4개월(60-96개월)이었다. 추시 기간 동안 임상적으로는 통증, 보행 능력, 고관절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고, 방사선적으로는 피질골의 골다공증과 골 흡수 등 근위 대퇴골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탈구와 인공 관절 주변 골절 등 추시 기간 중 발생한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통증은 수술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수술 후 4년부터 증가하였고 수술 후 60개월에 보행 능력 평가에서 9예의 환자가 두 단계 보행 능력이 감소하였으며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수술 후 2년부터 3년 사이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방사선적으로 피질골 골다공증은 14예 발생하였는데, 이 중 5예의 환자가 피질골 흡수 현상으로 진행하였다. 피질골 흡수 현상을 보인 5예 중 4예는 전자부 골절편이 불유합 된 경우였고, 3예는 역사상 골절인 경우였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환자에게 발생한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에 3C 형태의 무시멘트 스템을 이용하여 고관절 반치환술을 일차로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건강 상태와 잔여 수명을 고려하여 주의 깊은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 임플란트 수복을 위한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 (Alveolar ridge preservation using granulation tissue for esthetic implant restoration on maxillary anterior tooth)

  • 이창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2
    • /
    • 2023
  •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의 성공에 있어서 심미적인 요소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심미적인 결과를 얻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치주염으로 인해 치조골 소실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라면 더욱 그러합니다. 상악 전치부의 경우, 발치 직후부터 시작되는 치주 조직의 위축이 심미적 수복을 방해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치 즉시 임플란트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치조골 소실이 심한 경우 발치 즉시 식립은 심미적 실패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고, 이런 결과는 돌이킬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그래서 치조제 보존술(Alveolar ridge preservation)을 시행하고 이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으로 접근하기도 합니다. 2019년 JCP에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 시기와 발치와 처치에 대한 유럽치주학회의 consensus가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서도 '심미적으로 중요한 부위에서 순측 치조골의 소실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 치조제 보존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치조제 보존술을 하게 되면 primary closure가 어렵기 때문에 open membrane technique으로 이차치유를 유도하거나 FGG, CT graft를 시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차 치유 과정은 골재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연조직 이식은 환자와 술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치조골 결손이 심한 발치와에 있는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이용하게 되면 연조직 이식 없이도 primary closure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육아 조직에 조직 재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줄기세포가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치조골 및 연조직 결손이 심한 상악 전치부 치아를 육아 조직을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을 통해 임플란트 수복을 시행하였습니다. 결손이 심한 발치와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심미적인 임플란트 수복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난소적출로 유발된 랫트 갱년기 장애에 대한 가감귀비온담탕의 생리활성 효과 평가 (Anti-climacterium Effects of Gagamguibiondam-tang in Ovariectomized Rats)

  • 한상겸;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8-44
    • /
    • 2017
  • 목 적: 이 연구에서는 한의학에서 다양한 부인과 질환에 사용되어온 전통 복합 처방인 귀비탕과 가미온담탕을 합방, 가감한 가감귀비온담탕 열수 추출물의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를 심혈관 장애, 비만, 고지혈증, 골다공증, 장기 지방축적 및 신경정신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사람의 갱년기 장애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난소적출(Ovariectomized, OVX) 랫트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방 법: 난소적출수술 28일 후부터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수율 : 22.03%)을 각각 100, 50 및 25 mg/ml의 농도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체중 kg 당 5 ml의 용량(500, 250 및 125 mg/kg)으로 매일 1회씩 84일(12주 : 3개월)간 경구 투여한 다음, 항비만효과, 항자궁위축효과 및 골다공증 억제 효과의 3가지 생리활성 효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항비만 효과 및 항자궁위축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체중 및 증체량, 혈청중 에스트라디올 함량, 복부 축적 지방 및 자궁의 중량의 변화와 복부 축적 지방의 두께 및 평균 지방세포 직경, 자궁 전체, 상피 및 점막의 두께와 점막내 자궁샘이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를 각각 평가하였다. 또한 골다공증 개선효과, 즉 골 보호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퇴골, 경골 및 요추골의 습, 건조 및 탄화 중량, 골밀도, 골강도, 혈중 osteocalcin 및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bALP) 함량, 골량 및 구조와 골흡수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군(5개군; 군당 8마리의 랫트 사용) 거짓수술 대조군(거짓수술 후, 증류수 투여 대조군) 난소적출 대조군(난소적출 수술 후, 증류수 투여 대조군) GGOT500(난소적출 수술 후,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500 mg/kg 투여 고용량 실험군) GGOT250(난소적출 수술 후,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250 mg/kg 투여 중간용량 실험군) GGOT125(난소적출 수술 후,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125 mg/kg 투여 저용량 실험군) 결 과: 난소적출 대조군에서는 거짓수술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체중 및 증체량, 사료 및 물 섭취량, 축적 복부 지방 중량, 혈청 중 osteocalcin 함량의 증가가 자궁, 대퇴골, 경골 및 L5 중량과 혈중 bALP 및 에스트라디올 함량의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으며, 현저한 복벽 축적 지방 두께의 증가 및 자궁의 위축, 대퇴골, 경골 및 L4의 골량 및 구조의 감소 소견이 골 흡수 지표(Ocn 및 OS/BS)의 현저한 증가와 함께 조직병리학적 및 조직형태계측학적으로 인정되었다. 즉, 전형적인 에스트로겐 결핍성 갱년기 장애가 난소적출에 의해 유발되었다. 한편 이러한 난소적출에 의한 에스트로겐 결핍성 폐경기 관련 갱년기 장애 소견이,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500, 250 및 125 mg/kg의 84일에 걸친 연속 경구 투여에 의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가감귀비온담탕 500, 250 및 125 mg/kg의 경구투여는 난소적출 랫트에서 에스트로겐 결핍성 폐경기 관련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를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감귀비온담탕은 효과적인 갱년기 장애 개선제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에스트로겐 결핍성 비만 및 골다공증의 개선에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가감귀비온담탕은 총 18종의 약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수많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이후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검색과 더불어 다양한 방면으로 기전적인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파골세포 분화에 대한 시금치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Spinach Extract on RANKL-Media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 김동규;김미혜;강민정;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32-539
    • /
    • 2015
  • 파골세포의 분화에 대한 시금치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RANKL을 처리한 RAW264.7 세포에서 세포독성, TRAP(+) 다핵세포의 형성, 파골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 그리고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물과 25, 50, 75 및 100% 에탄올 시금치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들이 $100{\mu}g/mL$ 이하의 농도에서 RAW264.7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TRAP 염색을 통해 TRAP(+) 다핵세포의 수와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분화 억제 및 효소 활성 저해 효과가 있었다. 특히 $100{\mu}g/mL$ 농도의 100% 에탄올 추출물은 RANKL만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해 80%의 유의한 TRAP(+) 다핵세포 숫자 감소와 44%의 TRAP 효소 활성 저해율을 보였다. 시금치 에탄올 추출물은 RANKL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의 지표가 되는 관련유전자인 NFAT, c-FOS, cathepsin K 및 TRAP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단백질 수준에서 시금치 에탄올 추출물은 RANKL에 의해 증가된 NFATc1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또한 c-FOS의 활성화 형태인 인산화된 c-FOS의 발현뿐만 아니라 인산화되지 않은 비활성의 c-FOS 발현도 감소시켰다. 반면 파골세포의 분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MAPK 중 ERK의 활성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시금치 에탄올 추출물은 c-FOS의 활성, 비활성형 전체를 감소시킴으로 파골세포 분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응급센터를 내원한 대퇴골 골절 환자에서 골밀도와 생화학적 표지자들의 의의 (Bone Mineral Bensity and Bone Turnover Markers in Patients with Femur Fracture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 이경미;한승백;김준식;백광제;홍성빈;문경호;강준순;윤승환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8권2호
    • /
    • pp.87-93
    • /
    • 2005
  • Background: The most frequent fracture seen at the emergency department (ED) in the elderly is a femur fracture whereas they do not know the degree of osteoporosis. We analyzed the degree of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femur fractures and compared patients with only femur fractures (FX) to patients with femur and vertebral fractures (VX) by examining the clinical features,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iochemical markers.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4, we enrolled prospectively 30 femur fracture patients who visited the ED. The bone mineral densities of the lumbar spine and the femur were examined. Total calcium, phosphate, alkaline phosphatase, osteocalcin, and serum C-terminal telopeptide (s-CTx) were measured. The patients with femur fracture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vertebral fracture. Results: All BMDs of the FX group showed osteoporosis. The s-CTx levels were higher than normal. The patients in the FX with VX were older than those in the FX only group, and had lower BM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kers between the subgroups, but the incidence of trochanteric fractures was higher in FX with VX group than in the FX only group. Conclusion: Femur fractures in the elderly were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In our study, despite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BMD between patients with femur fractures and those with femur fractures combined with vertebral fractur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biochemical markers on bone formation nor in the those of bone resorption. We will further investigate the biochemical markers and BMD in the popula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So those indicators should be helpful for planning treatment and for prevention of FX in the elderly.

구강악안면 영역의 재건을 위한 경골 근위부 내측 골이식술의 후향적 분석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MEDIOPROXIMAL TIBIAL BONE GRAFT FOR ORAL AND MAXILLOFACIAL RECONSTRUCTION)

  • 백민규;김일규;조현영;장금수;박승훈;박종원;소경모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41-248
    • /
    • 2008
  • Tibial bone grafts provide an adequate volume of cancellous bone with cortical bone, high biologic value of bone, minimal gait disturbance and complications, and no special contraindications, and offer a superior clinical results than any other donor sites. Lateral appoach in tibial bone graft was used to gain large bone volume traditionally, but medial approach provides low morbidity associated with the tibial anatomic structure, simple and safety surgical procedure, and better comfortable to patients recently. We have undertaken clinical and retrospective studies on patients in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ha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2004 to January 2008. 50 patients have maxillofacial bony defect as resection of bening tumor, cyst enucleation, alveolar bone resorption, sinus pneumatization were received the tibial proximal autogenous particulated cancellous bone grafts. They were analyzed sex, age, diagnosis of recipient site, lesion size, dornor site, cortical bone repositioning, complications and we concluded favorable following results. 1. Medial approach for proximal tibia is safer and technically easier than lateral approach, associated with the proximal tibial anatomic structures, and short operative times. 2. Proximal tibia provides an adequate bone volume with predictability for oral and maxillofacial reconstruction. 3. Patients rarely complain of pain, swelling, discomfort and dysfunction such as gait disturbance. In conclusion, medial approach for proximal tibial graft seems to be a valuable tool for oral and maxillofacial reconstruction.

하악 과두 골절에 대한 4년간의 후향적 임상연구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F CONDYLAR FRACTURES OF THE MANDIBLE IN A 4-YEAR PERIOD)

  • 류재영;김현섭;박충열;국민석;박홍주;오희균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3호
    • /
    • pp.388-397
    • /
    • 2008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unction of the mandibl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fracture and treatment methods of condylar fractures of the mandible and help operators in making a treatment plan. Sixty patients (average follow-up period was $7.8{\pm}9.4$ months) who were treated for condylar fracture from June, 2002 to May, 2006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The common causes of the condylar fracture were traffic accident and fall-down (35.0%). In concomitant injuries, laceration was 46.7% and the fracture of the mandibular symphysis was highest incidence (60.0%). The common site of the fracture was the condylar head (47.8%), followed by subcondyle (36.2%) and condylar neck (15.9%). Under 15 years old patients, the closed reduction was performed in 87.5% out of the patients. All of the condylar fragments were fixed to the mandible with titanium miniplates in cases of open reduction. The mean period of intermaxillary fixation (IMF) was $14.2{\pm}6.5$ days in closed reduction and $10.0{\pm}4.2$ days in open reduction. The old patient with bilateral condylar head fractures, who were treated by closed reduction with IMF for 3 weeks, showed the limitation of mandibular movem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results between open reduction and closed reduction with the respect of the Helkimo's mandibular mobility index and clinical dysfunction index (DI). Complications, such as fibrous ankylosis and resorp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were not observed in all pati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ood results can be obtained by closed reduction with proper IMF periods and functional exercise in most condylar fractures of the mandible except severely displaced extracapsular fractures.

방사선조사가 저칼슘식이 백서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PERIODONTAL TISSUES OF RATS WITH THE LOW CALCIUM DIET)

  • 최문철;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22권2호
    • /
    • pp.223-234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eriodontal tissues in the irradiated mandibular bone in rats which were fed normal diet and low calcium diet In order to carry out this experiment, 64 seven-week old Sprague-Dawley strain rats weighing about 150gms were selected and equally divided into one experimental group of 32 rats and one control group with the remainde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then subdivided into two groups when the rats reached the age of 10 weeks, 16 rats were allotted for each subdivided group was composed of 16 rats and exposed to irradiation. The two groups were irradiated a single dose of 20Gy on the only jaw area and irradiated with a cobalt-60 teletherapy unit The rats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serially dissected by fours on the 3rd, the 7th, the 14th, and the 21st day after irradiation. After each dissection, both sides of the dead rat mandibular bodies were removed and fixed with 10% neutral formalin. The specimens sectioned and observed in histopathological. histochemical. and immunocellular chemical method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mandibles of rats with low calcium diet the increased number of fibroblasts of periodontal ligaments. many small capillaries and irregular arrangement of loose collagen fibers were detected and the partial resorption of dentin and cementum could be found by the microscopic studies. 2. In the group of irradiated rats, degenerated periodontal tissues led to the condition of irregular arrangement of collagen fibers and the decreased number of fibroblasts. But this condition was somewhat restored after 21 days of experiment. 3. Periodontal tissues of the irradiated rat group with low calcium diet were destroyed earlier than those of the irradiated rat group with normal diet. Soon this condition was restored and then high cellularity and dense collagen fibers were observed. 4. Many periodontal cells bearing tumor necrosis factor could be clearly observed in the nonirradiated group of rats with normal diet, whereas could not be observed on the 7th day and reappeared on 14th day in the irradiated group of rats with normal diet. A few of them could be observed in the group of rats with low calcium diet, but they could be clearly observed in the both groups after 21 days of experi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