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stance detection

검색결과 558건 처리시간 0.029초

소와 돼지유래 다제내성 Salmonella속 균의 분자유전학적 특성 (Molecular genetic characterization of multiple antimicrobial resistant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pigs and cattle)

  • 이우원;정병열;이강록;이동수;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1-76
    • /
    • 2009
  • At the present study, it was aimed to explore the molecular genetic characterization of multiple antimicrobial resistant Salmonella spp. isolates from pigs and cattle. A total of 138 Salmonella Typhimurium (S. Typhimurium) isolates were typed with phage, among them, 83.3% of S. Typhimurium tested could divide into a 10 phage types. Definitive type 193 (DT193) (25.4%) and DT195 (24.6%) were exhibited as the dominant types. DT104 and U302 were found from pigs and cattle. On the other hand, S. Enteritidis had 6 phage types, of them, phage type 21 (PT21) and PT11b were the popular types. In the plasmid profiles, 135 of S. Typhimurium isolates were exhibited 1 to 6 plasmid bands which molecular weight ranged from 90 to 2kb. 35 isolates (25.4%) harbored a 90kb plasmid which is thought to be the serotype specific virulence plasmid. Two of twenty five S. Enteritidis had common plasmids at 2 and 1.5kb. With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virulence genes (invA and spvC) were detected from all Salmonella spp. from 167 of S. Typhimurium, S. Enteritidis and chloramphenicol resistant S. Schwarzengrund, but some drug resistant genes, such as PSE-1, cml/tetR and flo were not determined but other drug resistant genes, for example TEM and int were found. The detection rates of spvC, TEM and int gene was 35.3%, 29.3% and 72.5%, respectively. The TEM gene was highly popular in S. Typhimurium, which was detected from ampicillin and amoxicillin resistant strains as 95.9%. int gene was able to detect from all the isolates identified as multidrug resistsnt (MDR), particularly DT193 was thought as the most prevalent virulence and multidrug resistance isolate. The major plasmid profile and drug resistance pattern of DT193 were 90, 40, 10.5, 6.3, 3.0kb and ACCbDNaPSSuT, respectively. MDR was commonly found in other phage types, particularly DT104, U302 and DT203.

경기, 강원 지역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특성 및 농업용수 분리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 (Microbiological Quality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E. coli Isolated from Agricultural Water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 황인준;박대수;채효빈;김은선;윤재현;나겐드란 라자린감;최송이;김세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43-351
    • /
    • 2020
  • BACKGROUND: Irrigation water is known to be one of the major sources of bacterial contamina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In addition, anti-microbial resistance (AMR) bacteria in food products possess serious threat to humans.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prevalence of foodborne bacteria in irrigation water and evaluating thei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METHODS AND RESULTS: Surface water (n = 66 sites) and groundwater (n = 40 site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Gyeongi and Gangwon provinces of South Korea during April, July, and October 2019. To evaluate the safety of water, fecal indicators (Escherichia coli) and foodborne pathogen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examined. E. coli isolates from water were further tested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using VITEK2 system. Overall, detection rate of foodborne pathogens in July was highest among three months. The prevalence of pathogenic E. coli (24%), Salmonella (3%), and L. monocytogenes (3%) was higher in surface water, while only one ground water site was contained with pathogenic E. coli (2.5%). Of the 343 E. coli isolates, 22.7% isolates were resistant to one or more antimicrobials (ampicillin (18.7%),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7.0%), and ciprofloxacin (6.7%)). CONCLUSION: To enhance the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it is necessary to frequently monitor the microbial quality of water.

Polyaniline을 이용한 CNT fiber 유연 전극 기반의 비효소적 글루코스 검출 (Enzyme-Free Glucose Sensing with Polyaniline-Decorated Flexible CNT Fiber Electrode)

  • 송민정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6
    • /
    • 2022
  •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유연 전극 소재 개발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센서들은 체온이나 심장 박동, 혈당, 혈중 산소 농도 등 신체 정보들의 실시간·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확한 진단, 검출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고성능 유연 전극 소재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 섬유(carbon nanotube fiber; CNT fiber) 기반의 유연 전극 소재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CNT fiber 위에 전기화학적 중합(electrochemical polymerization) 공정을 통해 polyaniline (PANI) layer를 합성하고, 이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과 비효소적 글루코스(glucose) 검출 특성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PANI/CNT fiber 전극의 표면 분석은 주사전자 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글루코스에 대한 센싱 성능은 시간대전류법(CA)과 순환전압 전류법(CV), 전기화학 임피던스법(EIS)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PANI/CNT fiber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bare CNT fiber 전극에 비해 작은 electron transfer resistance와 낮은 peak separation potential, 증가된 전극 면적을 나타내며, 이런 향상된 특성들 덕분에 글루코스 검출에 대한 센싱 성능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나노구조체를 도입하고 접목을 통해 고성능 CNT fiber 기반의 유연 전극 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Fe에 의해 활성화된 목질계 바이오차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전도성능 (Conductive Performance of Mortar Containing Fe-Activated Biochar )

  • 우진석;김애화;최원창;서수연;윤현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27-34
    • /
    • 2024
  • 본 연구는 시멘트 복합체 기반 변형감지 센서 제조를 위한 전도성 충진재로 Fe 활성화된 목질계 바이오차를 사용하는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Fe에 의해 활성화된 바이오차를 3% 혼입한 시멘트 복합체의 압축강도 및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50×50×50mm3 크기의 입방체 시험체 3개와 40×40×80mm3 크기의 각기둥의 시멘트 복합체 기반 센서 3개를 각각 준비하였다. 시멘트 복합체 기반 센서에는 전기저항 측정의 4탐침 방식이 사용되었다. Fe 활성화된 바이오차를 혼입한 시멘트 복합체 기반 센서의 경우 다양한 함수율 및 반복압축하에서 임피던스와 같은 전기저항과 전도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시멘트 복합체 기반 센서의 직류 회로에서의 전기저항률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고, 저항률의 최대 부분 변화가 900초 동안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함수율 7.5% 구간에서 전도성 충진재로 Fe에 의해 활성화된 바이오차를 3% 혼입한 시멘트 복합체의 전도성이 가장 안정적이지만, 시멘트 복합체 기반 변형감지 센서의 압축변형과 비저항의 변화비(FCR)에서 반복압축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변형감지능력에 있어서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축산식품 중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잔류량 분석 및 실태조사 (Analysis and Monitoring of Residues of Aminoglycoside Antibiotics in Livestock Products)

  • 강영운;주현진;김양선;조유진;김희연;이광호;김미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5
    • /
    • 2011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험법은 고감도를 가지고 선택성이 뛰어난 LC/MS/MS를 이용함으로서 한번의 시료 전처리와 동시 분석을 통하여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5종의 잔류량 분석을 가능케 하였다(15,16). 개발된 시험법은 CODEX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검량선의 직선성, 회수율, 정성한계 및 정량한계, 정확성 및 정밀성 등을 고찰하여 시험법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확립된 시험법을 이용하여 돼지고기, 닭고기, 쇠고기 등 총 250건을 분석한 결과 5건이 검출되었으며 검출율은 2%로서 검출된 양은 모두 각각의 잔류허용기준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나 한 시료에서 겐타마이신과 디하이드로스트렙토마이신이 동시 검출되었다. 이 결과는 여러 종류의 항생제들을 동시에 처방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기기분석을 이용하여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의 잔류량 실태조사 결과 검출율 및 검출량이 낮은 안전한 수준이었다.

Rapid Molecular Diagnosis using Real-time Nucleic Acid Sequence Based Amplification (NASBA) for Detection of Influenza A Virus Subtypes

  • Lim, Jae-Won;Lee, In-Soo;Cho, Yoon-Jung;Jin, Hyun-Woo;Choi, Yeon-Im;Lee, Hye-Young;Kim, Tae-U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7-304
    • /
    • 2011
  • Influenza A virus of the Orthomyxoviridae family is a contagious respiratory pathogen that continues to evolve and burden in the human public health. It is able to spread efficiently from human to human and have the potential to cause pandemics with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It has been estimated that every year about 500 million people are infected with this virus, causing about approximately 0.25 to 0.5 million people deaths worldwide. Influenza A viruses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subtypes by antigenicity based on their hemagglutinin (HA) and neuraminidase (NA) proteins. The sudden emergence of influenza A virus subtypes and access for epidemiological analysis of this subtypes demanded a rapid development of specific diagnostic tools. Also, rapid identification of the subtypes can help to determine the antiviral treatment, because the different subtypes have a different antiviral drug resistance patterns. In this study, our aim is to detect influenza A virus subtypes by using real-time nucleic acid sequence based amplification (NASBA) which has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rough molecular beacon. Real-time NASBA is a method that able to shorten the time compare to other molecular diagnostic tools and is performed by isothermal condition. We selected major pandemic influenza A virus subtypes, H3N2 and H5N1. Three influenza A virus gene fragments such as HA, NA and matrix protein (M) gene were targeted. M gene is distinguished influenza A virus from other influenza virus. We designed specific primers and molecular beacons for HA, NA and M gene, respectively. In brie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ficity of the real-time NASBA was higher than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In addition, time to positivity (TTP) of this method was shorter than real-time PC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apid detection of neo-appearance pandemic influenza A virus using real-time NASBA has the potential to determine the subtypes.

바이오 상변화 Template 위한 전극기판 개발 (Developing the Electrode Board for Bio Phase Change Template)

  • 리학철;윤중림;이동복;김수경;김기범;박영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6호
    • /
    • pp.715-7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DNA 정보를 상변화 물질의 전기저항 변화특성으로 검출할 수 있는 상변화 전극 기판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하는 Al을 사용하여 전극 기판을 제작하였다. 하지만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Al 전극의 단면 상태를 확인해 본 결과 PETEOS(plasma enhanced tetraethyoxysilane) 내에서 보이드(void)가 발생하여 후속공정인 에치백과 세정공정 분위기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심하게 손상되어 전극과 PETEOS 사이에 홀(hole)로 변형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치백 및 세정 공정을 진행하지 않으면서 $Ge_2Sb_2Te_5$(GST) 박막의 단차피복성(stepcoverage)을 좋게 할 수 있고, 열역학적으로 GST 박막과의 반응성을 고려했을 때 안정적이면서 비저항이 낮은 TiN 재료를 사용하여 상변화 전극 기판을 제작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전극의 단면의 상태를 관찰하였으며 TiN 전극과 GST 박막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저항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TiN 상변화 전극 기판 위에 증착된 GST의 비정질과 결정질의 저항을 측정하였고, GST의 비정질과 결정질저항의 차이는 약 1,000배 정도로 신호를 검출하는데 충분함을 확인하였다.

인면역결핍 바이러스 pol 유전자 염기서열 결정에 의한 지도부딘 (ZDV) 내성 돌연변이의 탐지 (Detection of Mutations to Zidovudine in the pol Gene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1 by Direct Sequencing)

  • 조영걸;이희정;성흥섭;김유겸;김영봉;이용진;김미정;김대곤;원영호;조군제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1-281
    • /
    • 1999
  • The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was used to determine the sequences of reverse transcriptase (RT) codons 41, 67, 70, 210, 215 and 219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1 (HIV-1) pol gene. Template DNA was obtained from unculture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from 27 Korean HIV-1 infected patients treated with ZDV and Korean red ginseng. The second PCRs were done for 2 separated regions (RT codons $13{\sim}98$ and $152{\sim}259$) with $5\;{\mu}l$ of the first PCR productNucleotide sequences were determined by direct sequencing. In the 27 patients, CD4+ cell count decreased from $230{\pm}117/{\mu}l$ to $152{\pm}162/{\mu}l$ for $46{\pm}26$ months (Mo), and actual duration of ZDV intake was $72{\pm}16$ Mo. In the 16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ZDV therapy ${\ge}25$ Mo, the incidences of 70R, 215F/Y, and 41L were 61%, 28% and 22%, respectively and those of 67N, 210W and 219Q were 17%. The incidences of 215F/Y were 6.7% for group ${\le}12$ Mo treatment, 22.7% for group with 13 to 24 Mo, and 27.8% for group ${\ge}25$ Mo. There was no mutation in 9 patients. It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interruption of ZDV therapy for more than 6 months in 6 patients. This study shows that the detection of mutation could be useful prognostic marker with other clinical and virological data, and very low mutation rate is dectected compared to overseas reports.

  • PDF

벼 도열병 발생 탐지 및 확산 모니터링을 위한 기상자료, 위성영상, 드론영상의 공동 활용 (Utilization of Weather, Satellite and Drone Data to Detect Rice Blast Disease and Track its Propagation)

  • 류재현;안호용;이경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45-257
    • /
    • 2023
  • 우리나라 대표적인 식량 작물인 벼는 넓은 면적에서 장기간 재배되어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벼 질병 중 하나인 도열병이 대규모로 발생하면 수확량이 감소하여 조기에 병을 발견하고 방제를 하여야 한다. 하지만 농지 중심에서 도열병이 발생 하면 육안으로 병을 발견하기 어렵다. 드론을 이용한 작물 모니터링 기법은 생육 이상을 탐지하는데 유용하나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도열병 발생을 위해 빈번하게 촬영을 하는 것은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 위성과 같은 원격탐사 자료와 기상자료를 공동 활용하여 벼 도열병을 조기에 탐지하는 것이다. 위성영상은 벼 재배 필지를 추출하는데 유용하였다. 식생지수와 수분지수의 특성을 이용하여 관개가 된 논을 효과적으로 탐지하였다. 이후 기온, 상대습도, 강우일수 자료를 활용하여 벼 도열병 발생위험도를 계산하였다. 도열병 발생위험도가 증가하면 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해당 시점에 드론 관측을 수행하였다. 병이 발생한 지점, 병이 발생한 지점과 일반 벼가 혼재되어 있는 지점, 일반 벼 지점에서 분광반사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갈색 병반을 가지는 도열병 특성상 적색과 근적외선 파장대에서 분광반사도의 변화가 급격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열병이 발생한 지점에서는 주변 지점에 비해 식생지수 값이 낮은 군집이 나타났으며, 시계열 드론 영상을 통해 해당 지점으로부터 벼 도열병 확산을 추적하였다. 최종적으로 수확 전 드론 영상을 활용하여 필지별 도열병 발생률에 대한 공간정보를 생산하였다.

Multibit 셀을 이용한 Poly-Fuse OTP IP 설계 (Design of Poly-Fuse OTP IP Using Multibit Cells)

  • 김동섭;리룡화;하판봉;김영희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66-274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아날로그 회로 트리밍과 보정 (calibration)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저면적 32bit PF (Poly-Fuse) OTP IP를 설계하였다. 한 개의 선택 트랜지스터에 2개의 PF를 사용하여 하나의 OTP 셀을 구성하므로 2 비트의 데이터를 프로그램할 수 있는 1셀-2비트의 multibit PF OTP 셀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1셀-2비트 PF OTP 셀의 bitcell 사이즈는 12.69㎛ × 3.48㎛ (=44.161㎛2)의 1/2로 기존 PF OTP 셀의 bitcell 사이즈에 비해 셀 면적을 33% 줄였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multbit 셀의 동작에 맞도록 1행 × 32열 셀 어레이 회로와 코어 회로 (WL 구동회로, BL 구동회로, BL 스위치 회로와 DL sense amplifier 회로)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제안된 multibit 셀을 사용한 32bit OTP IP의 레이아웃 사이즈는 238.47㎛ × 156.52㎛ (=0.0373㎛2)으로 기존 single bitcell을 이용한 32bit PF OTP IP 사이즈인 386.87㎛ × 144.87㎛ (=0.056㎛2)에 비해 면적을 33% 정도 줄였다. 10년의 data retention 시간을 고려하여 설계된 32bit PF OTP IP는 detection read 모드와 read 모드에 서 프로그램된 PF의 최소 센싱 저항은 테스트 칩의 post-layout 모의실험 결과 각각 10.5㏀과 5.3㏀으로 설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