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tilia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주왕산국립공원의 양서.파충류상 (Amphibian and Reptilia Fauna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7-182
    • /
    • 1995
  • 1994년 4월 28일부터 1994년 4월 30일, 1994년 8월 4일부터 1994년 8월 5일 두 차례에 걸쳐 경상북도 청송군, 경상북도 영덕군에 걸쳐있는 주왕산국립공원의 양서 파충류상을 조사한 결과 양서류는 총 5과 5속 7종, 파충류는 3과 6속 7종이 관찰되었다. 양서류의 우점종은 북방산개구리였으며 유혈목이가 파충류의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주왕산국립공원의 개발 이후에 변화될 양서.파충류상을 조사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PDF

관광휴양지 개발이 양서.파충류 분포에 미치는 영향 - 민주지산 일대의 양서ㆍ파충류를 중심으로 - (Amphibia and Reptilia Fauna by Sport and Leisure Complex - Amphibia and Reptilia Fauna in Minjujisan Area, Korea -)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8-73
    • /
    • 1994
  • 최근 일부 계층의 오락을 위한 자연환경 파괴 행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충청북도와 충청북도 영동군은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소재의 물한계곡의 자연생태계 6,000,000평방미터에 스키장, 골프장, 콘도미니엄 등의 대규모 휴양시설을 건설하려는 주식회사 동신레져의 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이 지역 생물종의 심각한 감소가 우려된다. 본 연구는 대규모 위락시설 개발로 결과될 동물생태계 황폐화를 예견하고 그에 따른 경각심을 촉구하고자 현재까지 잘 보존된 민주지산 물한계곡 일대 의 양서ㆍ파충류상을 선행 조사하여 수행하였다. 1994년 6월 24일에서 6월 25일에 걸쳐 민주지산 물한계곡에서 관찰된 양서류는 2목 5과 8종, 파충류는 1목 2과 5종으로 한국 대부분의 국립공원과 유사한 정도로 다양한 양서 파충류상을 나타내었다. 관찰된 8종의 양서류 중4종(도롱뇽, 꼬리치레도롱뇽, 두꺼비, 북방산개구리), 파충류 5종 중 3종(무자치, 능구렁이, 까치살모사)이 특정 야생동물로, 보호대상종의 빈도가 높아 민주지산의 보존가치는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민주지산 일대는 덕유산국립 공원 지역과 함께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연결하는 생물지리 항상 그 중요성이 매우 높은 곳이다. 덕유산국립공원 구역의 무주리조트, 스키장 건설 등으로 이미 자연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되는 이때 민주지산의 대규모 위락시설의 건설 계획은 마땅히 철회되어야 한다. 민주지산의 자연생태계 보존으로 양서 파충류의 보존과 함께 동식물의 이동로를 보존해야 할 것이다.

  • PDF

고속도로 건설과 생태통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High-ways and Ecological corridors)

  • 이관영;정종대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73-78
    • /
    • 2006
  • Constructing a long, linear structure such as a high-way may cause the break-up of the natural ecology by cutting off the trails of animals. We could observe 12 kinds of mammals, 49 kinds of birds and 10 kinds of amphibia and reptilia at the research area. With this research, we were so sure of the necessity of building ecological corridors to prevent the ecological break-up of wild animals that we studied the building and maintaining of 3 types of ecological corridors; tunnel types, over-bridge type and line type.

  • PDF

한국산 도마뱀류의 현황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izards (Reptilia: Squamata))

  • 장민호;송재영;이종남;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2-358
    • /
    • 2006
  • 한반도 도마뱀류의 지리적 분포와 분류학적 현황을 발표된 자료와 채집된 표본을 이용하여 재고찰하였다. 1996년 4월부터 2005년 10월 사이에 채집된 총 138 개체의 형태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한반도 도마뱀류의 목록표와 종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각 종의 채집지를 한반도 지도에 표기하였다. 추가적으로 도마뱀부치(Gekko japonicus)의 분포, 도마뱀속(genus Scincella)의 연구, 장지뱀속(genus Takydromus)의 동종이명(synonym)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특히 한반도산 올디장지뱀(Takydromus tachydromoides oldi)의 서식 여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RAPD를 이용한 한국산 줄장지뱀(Reptilia: Squamata)의 종내 다양성에 관한 연구 (Intraspecific Diversity of Korean Takydromus wolteri(Reptilia: Squamata) Based on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장민호;송재영;정규회
    • 환경생물
    • /
    • 제22권2호
    • /
    • pp.295-299
    • /
    • 2004
  • 한반도 전지역에 줄장지뱀이 서식하고 있지만, 이 종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한반도의 5지역(경기도, 충청북도,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남도)의 한국산 줄장지뱀에 대해 RAPD method를 통한 종내 유전적 차이를 비교하였다. 총 28개의 primer를 사용하였고, 그 중 유의성이 있는 17개의 primer에 대한 결과를 Nei's(1972) genetic distance를 통해 유전적 거리와 UPGMA 방법을 통한 phenogram을 구하였다. 그 결과 총 68개의 밴드를 확인했고,이 중 87%인 59개의 polymorphism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한 phenogram에서는 GG1, GG2, CB1, CB2, JN이 Group 1을 이루었으며,JJ1, JJ2, GN이 Croup 2를 이루었다. 줄장지뱀의 경우 지리적 격리를 통한 집단간의 종내 변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경상남도 지방의 유전적 독립성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다른 분류군인 어류나 양서류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집단에 대한 형태적, 생태적 그리고 다른 유전적 분석 등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Relationship between the nucleolar cycle and chromatoid body formation in the spermatogenesis of $Phrynops$ $geoffroanus$ (Reptilia Testudines)

  • Peruquetti, Rita L.;Taboga, Sebastiao R.;Cabral, Silvia R.;De Oliveira, Classius;Azeredo-Oliveira, Maria T.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2호
    • /
    • pp.104-113
    • /
    • 2012
  • The nucleolus is a distinct nuclear territory involved in the compartmentalization of nuclear functions. There is some evide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nuclear fragmentation during spermatogenesis and chromatoid body (CB) formation. The CB is a typical cytoplasmic organelle of haploid germ cells, and is involved in RNA and protein accumulation for later germ-cell differentiat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describe the nucleolar cycle during the spermatogenesis of $Phrynops$ $geoffroanus$ (Reptilia Testudines), and compare this nucleolar fragmentation with CB formation in this species through the use of cy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showed a fragmentation of the nuclear material after pachytene of the first meiotic division in the primary spermatocytes.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nucleolar cycle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nucleoli and in the size of the nucleolus between spermatogonia and early spermatids. Using ultrastructural analysis, we recorded the beginning of the CB formation process in the cytoplasm of primary spermatocytes at the same time as when nuclear fragmentation occurs. In the cytoplasm of primary spermatocytes, the CB was observed in association with mitochondrial aggregates and the Golgi complex. In the cytoplasm of early spermatids, the CB was observed in association with lipid droplets. In conclusion, our data show that the nucleolus plays a role in the CB formation process. During spermatogenesis of $P.$ $geoffroanus$, the CB is involved in some important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acrosome formation and mitochondrial migration to the spermatozoon tail and middle piece region.

계통발생에 따른 각종 척추동물의 췌장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 세포화학적 연구 II. 파충강, 양서강 및 어강에 관하여 (Immunocytochemical Studies on the Pancreatic Endocrine Cells of Phylogenetically Different Vertebrates ll. Reptilia, Amphibia, and Pisces)

  • 김남중;권혁방최월봉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33-451
    • /
    • 1991
  • 척추동물(7목 23종)의 췌장에서 insulin( B)세포, glucagon(A)세포, somatostatin( D)세포 및 pancreatic polypeptide( PP)세포 등을 면역세포화학법으로 동정하여 이들의 출현율, 분포양상 및 형태 등을 계통별로 비교하였다. 파충강의 거북목, 양서강의 유미목 및 어강의 악상대목 들을 제외한 모든 종에서 췌도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췌도를 구성하는 내분비세포의 크기에는 계통간의 차이가 있었다. B세포는 파충강의 것이 가장 크고, 양서강, 어강의 순이 었으며 A와 PP세포는 양서강, 파충강 및 어강의 순서였다. D세포는 양서강의 것이 가장 윤고, 다음이 어장이었으며, 파충강의 것이 가장 작았다. 이들 세포의 모양은 B세포의 경우 양서강과 어장에서는 원형, 난원형 및 방추형이었으며, 파충강에서는 원추형 및 단기형 등 다양한 모습이었다. A세포는 어강에서는 원헝, 난원형 및 방추형이 고르게 나타났고, 파충강과 양서 강에서는 원주형, 다각형 및 쐐기형이 나타났다. D세포는 모든 동물에서 원형, 난원형 및 방추형이 관찰되었고, 특히 파충강에서는 원추형및 쐐기형도 나타났다. PP세포는 주로 방추형 및 반원형이 대다수이였으며 간혹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모습도 나타났다. 각 내분비세포의 출현율은 파충강 열 어강 들에서는 B, A, D 및 PP세포 순이었으나, 양서 강에서는 B, A, PP 및 D세포 순으로 나타났다. B와 PP세포는 양서강, 어강 및 파충강 순서로 출현하였고, A세포는 파충강, 어강 및 양서강의 순서이었으며 D세포는 어강, 파충강 및 양서강의 순서였다. 췌도 내에서의 세포의 분포 위치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여 B세포의 경우 대다수 동물들에서 중앙부에 균등하게 분포하였으나 A, D및 PP세포는 주로 췌도 주변부에 분포하였고, 어강에서의 D세포는 췌도 중앙부에서도 관찰되었다. 일반적으로 파충강 및 양서 강에서는 외분비 선포조직에서초 내분비세포들이 출현하였으나, 어강에서는 내분비세포가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양서강 및 어강 들의 일부 수에서는 췌관상피에서도 드물게 나타났다.

  • PDF

설악산 국립공원의 양서. 파충류상 (Herpetofauna in Soraksan National Park)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4-190
    • /
    • 1997
  • 1996년 4월 27일부터 4월 28일, 1996년 8월 19일부터 20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설악산 국립공원 외설악 일대의 양서류 및 파충류상을 조사한 결과, 양서류는 총 2목 4과 6종, 파충류는 1목 2과 2종이 관찰되었다. 타 국립공원의 생물상보다 다소 빈약한 결과로 이는 과다한 탐방객과 개발의 결과로 판단된다. 특정야생동물로 보호받는 꼬리치레도룡뇽이 저항령에 집단을 형성하며 분포하였다. 자연휴식년제를 연장해서라도 보호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First Record of Laticauda semifasciata (Reptilia: Squamata: Elapidae: Laticaudinae) from Korea

  • Park, Jaejin;Kim, Il-Hun;Koo, Kyo-Sung;Park, Daesi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2호
    • /
    • pp.148-152
    • /
    • 2016
  • The Chinese sea snake Laticauda semifasciata (Reinwardt in Schlegel, 1837) is newly reported from Korean waters based on three specimens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in August, September, and November 2015. This is the first time that the genus Laticauda and subfamily Laticaudinae has been reported from Korean waters. The subfamily Laticaudinae has ventrals that are four to five times wider than the adjacent dorsals, which are unlike the ventrals that are similar or up to two times wider than adjacent dorsals in the subfamily Hydrophiinae. Laticauda semifasciata is distinct from other species because it has three prefrontals and its rostrals are horizontally divided into two. As the result of this report, four species (L. semifasciata, Hydrophis (Pelamis) platurus, Hydrophis cyanocinctus, and H. melanocephalus) of sea snak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n waters.

Mating behavior of the Mongolian racerunner (Eremias argus; Lacertidae, Reptilia)

  • Kim, Bin-Na;Kim, Ja-Kyeong;Park, Dae-Si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4호
    • /
    • pp.337-342
    • /
    • 2012
  • Information about the mating behaviors of an endangered species is critical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history of the species as well as in situ and ex situ breeding programs designed to rehabilitate field populations. We describe the mating behaviors of the Mongolian racerunner (Eremias argus), an endangered species in South Korea. The mating of this species consists of precopulatory, copulatory, and postcopulatory stages and is composed of 12 different mating behaviors. During the postcopulatory stage, other males or females not involved in mating show more interference behaviors than during the precopulatory and copulatory stages. The male E. argus has an extraordinarily long postcopulatory bite, which may function as a type of mate-guarding behavior.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on the mating behavior of a South Korean rept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