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air patch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34초

발살바동맥류 파열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Ruptured Aneurysm of Sinus of Vasalva)

  • 김정택;장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607-612
    • /
    • 1997
  • 저자들은 1964년부터 1994년까지 발살바동 동맥류파열로 진단받고 수술받은 53례를 분석하고 추적조사 하였다. 파열된 발살바동은 우관상 발살바동이 43례(81%)로 가장 많았고 무관상 발살바동이 7례(13%), 다발성이 2례있었다. 우관상동에서 발생한 파열은 대부분 우심실로 유출되었고(81.4%), 무관상 발살바동에서 발생한 것은 대부분 우심방으로 유출되었다(71.4%). 수술방법으로는 대동맥과 유출된 심장챔버 양측을 절 개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고 41례(77%)에서는 직접봉합을 12례(23%)에서는 청포를 이용하여 봉합하였다. 대동맥판막부전은 26례(49%)에서 동반되었는데 14례에서는 대동맥판 성형술을 10례에서는 대동맥판 치환수술을 하였다. 대동맥판 성형술을 한 14례에서 9년동안 대동맥판쇄부전이 발생하지 않을 빈도는 55%였다. 수술사망은 없었으며 2례에서 만기사망이 발생하여 10년 생존률은 95%였다. 15례에서 만기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대동맥판 부전이 5례, 조직판막의 구조적실패가 3례, 발살바동의 재파열이 2례였다. 10년동안 만기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을 확률은 53%로 비교적 높았고 심내막염 동반이 위험인자로 작용하였다. 결론적 으로 발 移姆옰커\ulcorner\ulcorner외과적 치료는 만족할 만한 단기 및 장기생존율을 보였으나 대동맥판부전 또는 심내 막염과 관련된 경우 만기 합병증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동맥판부전이나 심내막염이 동반되었을 때에는 좀 더 세심한 관찰이 요망된다고 생각된다.

  • PDF

성인의 심방중격 결손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Atrial Septal Defect in Adult Patients)

  • 이동협;이정철;한승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321-326
    • /
    • 1992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85년 6월 부터 1992년 8월까지 35세이상의 성인 심방중격환자를 수술로 치험한 15례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은 11례(73%)에서 인조포편 및 자가심막을 사용하여 봉합하였다. 2. 단락정도와 수축기 폐동맥압과의 관계에서 특이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술전의 뉴욕심장협회 기능분류 II가 6명, III이 8명 이었는데 술후 I이 8명, II가 6명으로 증상의 호전 있었다. 4. 심방세동 4례중 술후 3례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났고 1례에서는 정상리듬으로 돌아왔다. 5. 수술사망율은 없었고 수술결과는 만족하였다.

  • PDF

양대동맥 좌심실기시증의 수술요법 (Surgical Treatment of Double Outlet Left Ventricle)

  • 노준량;김응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635-642
    • /
    • 1985
  • Double outlet left ventricle [DOLV] is a rare cardiac anomaly in which both great arteries arise entirely, or predominantly above the morphologically left ventricle. About 100 cases of DOLV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s by 1984. We have experienced eight cases of DOLV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1981 to July 1905. Ages of the patients were ranged from 12 months to 24 years old, and chief complaints on admission were frequent URI and DOE in 5 cases and cyanosis in other 3 cases. In all eight patients, Cardiac catheterization and cineangiography were performed but pre-operative diagnoses were incorrect except one case [VSD in 2 cases, DORV in 2cases, c-TGA in 2 cases and TOF in one case] We have performed total corrective surgery in seven patients. In case I, patch closure of VSD aligning aorta and pulmonary artery with LV, ligation of proximal pulmonary artery and the use of external valved conduit from RV to PA have been employed. In other 6 cases, intraventricular repair using boomerang shaped Dacron patch with correction of associated anomalies were employed. In remaining one patient who had coexistent PDA and coarctation of aorta, we have performed coarctoplasty and PDA ligation initially and the patient is waiting for subsequent total corrective procedure. In seven patients whom we have performed total corrective surgery, there is one hospital mortality due to right heart failure and one complication of complete heart block necessitating permanent pacemaker implantation. All survivors are doing well in follow up period of 9 months to 4 year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urgical experiences for DOLV in the Korean literature.

  • PDF

심실중격결손 봉합 후 잔류 단락의 추적관찰 (Follow-Up of Residual Shunt after Repair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 정태은;이장훈;김도형;백종현;이동협;이정철;한승세;이영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8호
    • /
    • pp.580-583
    • /
    • 2002
  • 배경: 선천성 심장병 환자들의 교정 수술 후 정확한 형태학적 혹은 혈역학적변화를 아는 것이 술 후 추가적으로 내과적 혹은 외과적인 치료가 필요로 하는가를 결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심실중격결손 봉합술 후 잔류단락의 발생 빈도와 소량의 포편 주위 단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의료원 흉부외과에서 영아기에 단순 심실중격결손으로 포편봉합술을 시행한 4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잔류단락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43례의 환자 중 수술 직후 잔류단락이 관찰된 환자는 11례로 26%에서 잔류단락이 발견되었으나 혈역학적으로 유의한 단락으로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단락의 발생빈도는 심실중격결손의 형태와 봉합을 위해 사용한 포편의 종류와는 무관하였다. 잔류단락이 발견된 환자 중 9명에서 단락의 소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례는 추적관찰에서 탈락하였다. 단락이 소실된 9명의 환자들의 단락이 마지막 확인된 기간은 평균 $4.2{\pm}3.6$개월 이었다. 결론: 수술 직후 포편 주위의 잔류단락은 종종 발견될 수 있으며 혈역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잔류단락은 대부분 6개월 이내에 자연 소실되었다.

승모판막치환술 후 발생한 급성 제1형 좌심실 파열에 대한 심외막적 봉합 - 1예 보고 - (Epicardial Repair of Acute Atrioventricular Groove Disruption Complicating Mitral Valve Replacement - A case report -)

  • 조광리;강재걸;진성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2호
    • /
    • pp.855-858
    • /
    • 2007
  • 승모판막 치환술 후 발생하는 좌심실파열은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30년 전 국외에서 승모판막에 대한 수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54세 여자 환자가 심한 승모판막 협착증과 심한 삼첨판막 폐쇄부전을 주소로 내원하여 승모판막 치환술 및 삼첨판막륜 성형술을 시행받았다. 심폐기 이탈 후 수술장 내에서 발생한 대량출혈로 심폐기 재가동 상태에서 평가한 결과 좌심방으로부터 3 cm 후방부위의 방실 골짜기에서 발생한 급성 제I형 좌심실 파열로 진단하고 심외막 접근법으로 테프론 펠트를 이용한 일차 봉합술, 심막첨포를 이용한 밀봉 봉합술 및 피브린 접착제를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봉합하였으며 환자는 수술 14일째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이에 승모판막 치환술 후 발생하는 제I형 좌심실 파열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TOF 완전교정술후 발생한 심실빈맥의 외과적 절제술 -치험1례보고- (Surgical Treatment of Ventricular Tachycardia After Total Correction of Tetralogy of Fallot- Report of a case)

  • 장병철;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39-645
    • /
    • 1996
  • 14세 남자환자로 최근 3년간 반복된 심계항진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8년전에 TOF로 진단받고 완전교정수술을 받았다. 수술 전 심도자 검사에서 우폐동맥폐쇄와 그에 따른 우심실압력상승을 보였고 전기 생 리학검사에서는 우심실유출로의 중격부위 에서 기 원하는 회귀성 심실빈맥으로 진단되 었다 한 개의 양극성 전극을 이용한 심실외막전기도검사에서 심실빈맥의 회귀성회로는 첩포 원위부 좌측 의 심실중격쪽 심근에서 가장 빨리 나타나 시계방향으로 청포주위를 돌아 우심실유출로 우측 심근을 활 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4채널 심장전기도시스템을 이용한 심실심외막전기도 검사에서는 우심실유출로의 첩 포주위를 )20 msec 주기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귀하는 심실빈맥을 관찰할 수도 있었 다. 수술은 우심실유출로의 첩포와 섬유화된 조직을 제거하고 우심실유출로 상연에서 폐동맥 판막륜까지 절개를 하여 회귀성 회로가 차단되도록 하였다. 폐동맥 판막륜과 심실중격사이 에는 회귀성 회로가 완전히 차단되도록 냉동병소를 만들었다. 우폐동맥이 발달되지 않아 우폐동맥재건술은 하지 못하였다. 수술후 전기생리학 검사에서는 더 이상심 퓟窄팀\ulcorner유발되지 않았다. 본 증례에서는 TOF완전교정수술후 우심실유출로 첩포와 일부 우심실 심근주위에 slow conduction지 대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한 macro-reentry심실빈맥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약물로서 치료되지 않을 때는 catheter ablation이나 외과적 절제를 고려해야 한다. 외과적 절제를 할 때에는 우심실유출로와 폐동 맥 판막륜사이의 심근조직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우심실유출로재건을 하는것이 중요하다.성 거부반응 1례, 크기불일치 에 의한 만성 이식부전증이 1례, 천식 발작에 의한 호흡부전이 1례, 지주막하출혈 1례, 체액 성 거부반응이 의심되는 경우가 1례 였다. 이상의 단기간성적을 통해 심장이식분야에서 더욱 발전을 요하며, 특히 이식공여자 및 수혜자의 선택 이나 술후 감염관리 및 체 액성거부반응치료 등에서 더욱 진전이 있어야 하겠다.07m', 동맥 혈 산소포화도는 83.0$\pm$3.8 % 이었다. 우폐동맥의 지름은 9.0$\pm$ 1.5 mm, 좌폐동맥의 지름은 7.7 $\pm$2.Omm, 폐동맥 지수는 197.3$\pm$57.1 mm2/m2, McGoon 비는 1.76$\pm$0.32 였다 수술후 전 환자에서 폐동맥 압력을 측정하였으며 평균 폐동맥 압은 12.8 $\pm$3.6mmHg이 었다. 환자의 성장에 따라 폐동맥의 지름도 증가하였으나 폐동맥 지수나 McGoon비는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환자의 나이, 술후 동맥혈내 산소포화도의 증가 정도, 혈관 성형술 여부, 수술후 심도자 및 혈큰조 영술까지의 기간 등은 수술후의 폐동맥 지수의 증가에 영향을미치지 못하였으며 단지 수술전의 폐동맥 의 크기가 매우 작을 경우(McGoon 비 1.2 미만)에는 폐동맥 지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수술 \ulcorner 동반된 폐동맥 성형술등의 영향이 있었음을 감안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수술전 폐동맥 크기에 대한 지표로서 폐동맥 지수(PAI)와 McGoon 비(MGR)와는 다음과 같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양성 기관, 기관지 질환에서 확장성 금속 스텐트 사용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expandble metallic stent in benign tracheal & bronchial disease)

  • 이성수;김도형;백효채;이두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21
    • /
    • 2004
  • Background Insertion of tracheal stent in the treatment of benign tracheal & bronchial disease has increa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expandable metallic stent. Material & Methods : Between Jan, 1995 and Feb. 2004, eight patients who had benign tracheo-bronchial disease underwent insertion of expandable metallic tracheal stent. We retrospectively analyzed stent insertion indications, complications, and following the result. Results : Surgical indications were post-intubation tracheal stenosis (1 case), tracheal stenosis following tracheal surgery (2 cases), tracheo-esophageal fistula (2 cases), broncho-pleural fistula(1 case), left main bronchus stenosis following bronchoplasty (1 case), and left main bronchus stenosis due to mediastinal repositioning (1 case). Expandable metallic tracheal stent was inserted in five patients to resolve dyspnea caused by airway obstruction, and to prevent recurrent pneumonia in three patients. The complication developed in 6 patients $75\%$; 3 cases of distal stenosis due to growth of granulation tissue, and one case each of tearing of posterior membrane, aggravation of tracheo-esophageal fistula, and airway partial obstruction due to stent migration. The stent was removed in 5 patients and tracheal surgery (tracheal resection and end to end anastomosis with primary repair of esophagus, pericardial patch tracheo-bronchoplasty, tracheal repair and omental wrapping) was performed in 3 patients. Conclusion Insertion of self expandable metallic stent in benign tracheo-bronchial disease is an effective means of relieving dyspnea for only a short period, and it did not increase the long term survival. Better means of treatment of benign tracheo-bronchial stenosis in necessary.

  • PDF

심실중격결손증의 수술방법이 심실내 전도장애에 미치는 영향 (effect f Technique of repair on the development of intraventricular conduction disturbancees of surgery for ventricular septal defects; Analysis of 218 patients from January 1983 to October 1984)

  • 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9권2호
    • /
    • pp.232-237
    • /
    • 1986
  • The intraventricular conduction disturbances have been documented after correction of ventricular septal defects by any surgical route but debated its etiology. And so the frequency of conduction disturbances following right ventriculotomy, right atriotomy and pulmonary arteriotomy for closur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s was compared in various conditions. The present series consists of 218 patients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s. They had the surgical repair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3 to October 1984. Conduction disturbances were studied with conventional 12 leads electrocardiogram. Of the 218 VSD`s 139 patients were repaired via vertical right ventriculotomy, 45 patients via right atriotomy, 34 patients via pulmonary arteriotomy. 1] Of 218 patients the frequency of RBBB was 26.1% and the frequency of RBBB + LAH was 6.0%. 2]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right ventriculotomy group [30.2%] and right atriotomy group [24.4%]. Bu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ght ventriculotomy group and pulmonary arteriotomy group [11.8%] [P<0.05]. 3] In respect to anatomical classification by Kirklin`s method, the frequency of RBBB was higher in type II [32.1%] than in type I [14.9%]. [P<0.05] But in each anatomical type, there is no influence of the various surgical approach on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RBBB. 4] The frequency of RBBB was 31.8% in patch closure group and 14.3% in direct closure group. [P<0.05] Although the result suggest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arious surgical approaches on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nduction disturbances, it may be reduced by a new-ventricular approach or a limited incision at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in right ventricular approach.

  • PDF

Damus-Kaye-Stansel 술식을 받은 Taussig-Bing 기형의 환자에서 관상동맥 이식을 통한 완전 교정술 - 1예 보고- (Total Repair through Arterial Switch Operation in a Patient with Taussig-Bing Anomaly Undergoing the Modified Damus-Kaye-Stansel Procedure -1 case-)

  • 황여주;한미영;전양빈;박철현;박국양;이창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9호
    • /
    • pp.796-799
    • /
    • 2004
  • 환아는 대동맥 축착을 동반한 Taussig-Bing기형으로 벽속 주행(intramural course)이 의심되는 관상동맥, 대혈관 크기의 현저한 차이, 호전되지 않는 폐렴과 심부전, 잠재적 대동맥하 협착으로 생후 52일에 대동맥궁 재건을 포함한 고식적 Damus-Kaye-Stansel (DKS) 술식을 시행받았다. 생후 45개월에 시행된 완전 교정술은 좌심실에서 폐동맥(신대동맥)으로의 심실중격결손을 폐쇄하고 DKS 술식해체 후관상동맥 전이를 통한 동맥전환술에서 자가 신폐동맥의 판막 기능을 유지한 채 우심실 유출로를 재건하였다. 완전 교정술 후 19개월째 외래 관찰 중으로 심장약은 복용하지 않으며 심초음파 검사에서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 저자들은 DKS 술식을 받은 Taussig-Bing 기형 환자에서 인조 판막도관의 삽입이 필요한 Rastelli 술식을 피하고 DKS 술식해체과 동맥전환술로 양대혈관 판막을 모두 보존하는 완전 교정술을 시행하여 좋은 성적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성인의 선천성 심방중격결손증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Atrial Septal Defect in Adult - Clinical Review of 31 Cases -)

  • 장운하;오태윤;배상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8호
    • /
    • pp.770-775
    • /
    • 1998
  • 배경: 심방중격결손증은 선천성심질환중 가장 흔한 질환중의 하나이며 성인에서 진단되는 선천성 심질환 의 30%를 차지한다. 상당수의 환자들이 성인이 될때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이 잘 지내기도 하고, 40∼50대에 사망 하는 경우가 많지만, 더 오래 사는 경우도 흔히 발견된다. 가장 흔한 사망원인은 주로 우심부전이나 부정맥이다. 대상 및 방법: 강북삼성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88년부터 1997년 6월까지 총33례의 심방중격결손증을 수술 하였으며, 그중 31례가 성인 심방중격결손증이었다. 동반질환은 삼첨판 폐쇄부전이 2례, 폐동맥판 협착증, 승모판 폐쇄부전 및 삼첨판 폐쇄부전, 그리고 관상동맥질환이 각각 1례였다. 결과: 모든환자에서 첩포봉합술이나 직접봉합술을 이용하여 수술하였으며, 수술후 경과는 모두 양호하였다. 수술후 심전도와 혈류역학, 및 심초음파검사상 호전을 보였다. 결론: 성인의 심방중격결손증은 60세이상의 고령일지라도 폐동맥고혈압이나 우심부전, 부정맥등을 예방 하기 위한 적극적인 외과교정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