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ease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339건 처리시간 0.027초

파대가리(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sis H.) 번식기관의 발아특성과 제초제에 대한 반응 (Herbicidal Response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kyllinga(Kyllinga brevifolia var. leiolepsis H.) Propagules)

  • 김진석;박은양;최정섭;최성환;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9-316
    • /
    • 1996
  • 파대가리를 스크리닝 실험재료로 이용하거나 자연조건에서의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고자 번식기관의 발아특성과 제초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1. 파대가리 휴면타파(休眠打破)에는 저온습윤과 고온건조가 효과적이었으며 저온습윤 조건에서는 1-2 개월 저장으로, $40^{\circ}C$ 고온에 저장할 경우는 3개월째 이상의 저장이 필요하였다. 근경(根莖)의 경우는 휴면(休眠)이 없거나 매우 낮았다. 파대가리 종자의 발아최적온도는 $30^{\circ}C$ 내외인 반면에 근경(根莖)의 경우는 16-$20^{\circ}C$ 범위로서 두 번식 기관간에 다른 온도반응을 보였으며 종자의 발아에는 광(光)이 요구되었다. 2. 근경(根莖)이 3cm 깊이에 심겨 있으면 번식정도가 50% 정도 감소되었으며 4cm 에서는 80% 이상 감소되었다. 파종당시에 담수처리(湛水處理)된 번식기관은 전혀 발아되지 못하였다. 생육중에 담수처리(湛水處理)를 할 경우 근경(根莖)으로부터 나온 유묘(幼苗)는 잎이 물속에 담겨 있을지라도 어느 정도 생육이 되었지만 종자로부터 나온 유묘(幼苗)는 더 이상 생육하지 못하였다. 근경(根莖)의 생체중 감소가 50% 이상 될 정도로 건조되면 출아력(出芽力)이 상실되는 경향이었다. 3. 처리된 약제들중 토양처리효과가 비교적 뚜렷한 것은 amitrole, DTP, fluridone, bensulfuron 등이었고, 경엽처리효과가 양호한 것은 fluridone, bentazone, benfuresate, bensulfuron 등이었다.

  • PDF

콘칼로리미터와 적외선분광계(FTIR)를 이용한 폼블럭의 연소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Fire Characterization of Foam block using Cone-calorimeter and FTIR)

  • 한봉훈;서동호;권영희;민세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23-32
    • /
    • 2017
  • 폼블럭은 셀프 인테리어 용품으로 새롭게 유행하고 있는 건축마감재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되고 있어 화재에 취약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폼블럭 2종(일반, 난연)을 KS F ISO 5660-1(연소성능시험)의 기준에 따라 화재시 발생되는 연소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적외선분광계(FTIR)를 이용하여 시편의 연소로 발생하는 가스중 대표적 독성가스를 측정한 후 기존의 독성모델에 적용하였다. 콘칼로리미터 시험 결과 2종의 시편 모두 복사열 차단장치를 제거하자마자 인화 및 불꽃연소가 시작되어, 화재시 화염의 급속한 전파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적외선분광계를 통한 연소가스 분석 결과, 일반적인 연소가스인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뿐만 아니라 인체에 심각한 위해를 주는 아크롤레인, 암모니아 및 시안화수소 등이 다량 검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폼블럭 제품은 착화성과 발열량이 높으며 유해가스가 다량 방출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폼불럭 사용에 따른 재료의 연소특성, 즉 착화성 저감, 최대 열방출률 제한 및 주요 유해가스의 농도를 제한하는 기준마련도 시급히 요구된다.

선박 내 CO2 소화설비에 의한 질식사고 방지 기법 (Method for Preventing Asphyxiation Accidents by a CO2 Extinguishing System on a Ship)

  • 하연철;서정관;황준호;임기창;류상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57-64
    • /
    • 2015
  • 육상 및 해상에서 일어나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가스계 소화설비 중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우수한 성능 및 높은 경제성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고농도 이산화탄소로 인한 질식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안전문제가 항상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선박 내 압축기실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화재 진압 특성을 예측하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로 인한 질식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2중 안전 제어기법을 제시하여,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안전을 도모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로는 4가지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화재발생 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작동으로 인한 열발생률 변화, 온도변화, 이산화탄소 농도변화, 산소 농도변화 및 화재진압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방호구역 내 환기팬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의 위험성 및 적절한 환기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해체·제거 작업 시 석면함유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섬유 및 입자상 물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Generated Fibrous/Particulate Matters from Asbestos-Containing Building Materials(ACBMs))

  • 최성원;장광명;박경훈;김대종;김현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4-193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three aspects: characterizing concentrations of airborne particles by size distributions and asbestos fibers generated by various building material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fibers produced by each simulation and asbestos fibers released from ACBMs; and investigating correlations of airborne asbestos fibers and particles generated and association of particle and asbestos concentrations. Methods: We selected three ACBMs including an insulation board, cement asbestos slate and wallboard. We constructed 4 scenarios; a) crushing with a hammer; b) cutting with a industrial knife; c) brushing with a metal brush; and d) tightening & loosening with a hand drill. We implemented one simulation for 30 seconds followed by 30 seconds resting period. We repeated a total of 5 cycles for 5 minutes. Result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 fibrous matters was from crushing with a hammer in each scenario followed by brushing with a metal brush, cutting with a industrial knife, and tightening & loosening with a hand drill. For ACBMs studied, asbestos concentrations were highest from an insulation board followed by cement asbestos slate, and wallboard. No difference in terms of concentration was found between an insulation board and asbestos slate. Fibers with $5{\sim}20{\mu}m$ in length were included in 76~90% of total fibrous matters. The distribution of the straight form fibers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url form. About 90% of $PM_{Total}$ released from ACBMs was consisted of $PM_{10}$ while only 10% of $PM_{Total}$ was $PM_{2.5}$. Particulate matters like $PM_{2.5}$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ibrous matters($R^2=0.81$). Conclusions: We found ACBMs can significantly release asbestos fibers as well as $PM_{2.5}$. Concentrations of asbestos generated by ACBMs were well correlated with $PM_{2.5}$.

5-Fluorouracil과 그 유도체를 봉입한 Multilamellar Vesicle(MLV)과 Microemulsified Liposome(MEL)의 특성 및 약물방출 거동 (Characteristics and Drug Release Profiles of Multilamellar Vesicle(MLV) and Microemulsified Liposome(MEL) Entrapped 5-Fluorouracil and Its derivatives)

  • 지웅길;박목손;이계원;류연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5권3호
    • /
    • pp.249-264
    • /
    • 1995
  • Although liposome has many advantages as a pharmaceutical dosage form, its application in the industrial field has been limited because of some problems such as preparation method, reproducibility, scale-up, stability and sterilization etc. Liposomes prepared by microemulsification method had defined size, narrow size distribution, reproducibility and high entrapment efficiency. For enhancing the stability, the dry form of liposome was recommended. These types of liposome are proliposome and freeze-dried liposome. The liposome must have some properties for preparing of freeze-dried liposome; small size $(50{\sim}200\;nm)$, narrow size distribution and cryoprotectant. In this experiment, the liposomes containing 5-Fluorouracil(5-FU) and its prodrug(pentyl-5-FU-1-acetate; PFA, hexyl-5-FU-1-acetate; HFA) were made with soybean phosphatidylcholine, cholesterol, stearylamine(SA) and dicetyl phosphate(DCP) employing hydration method or microemulsification method using $Microfluidizer^{TM}$. Both or liposome types were MLV and MEL. After preparation, freeze drying and rehydration wer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freezing, trehalose(Tr) was added as a cryoprotectant. Their evaluation methods were as follows; entrapment efficiency, mean particle size and size distribution, dissolution test, retain of entrapment efficiency and turbidity after freeze-dry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belows. The entrapment efficiency of 5-FU was dependent on total lipid concentration and cholesterol content but that of PFA and HFA was decreased when cholesterol was added. When DCP and SA were added, entrapment efficiency was decreased. As the partition coefficient of drug was increased, entrapment efficiency was increased. Under the same condition, entrapment efficiency of MEL is similar to that of MLV. The mean particle size and size distribution of MEL were smaller than those of MLV. Dissolution rates of drug from both liposome types were comparatively similar. Dissolution rates of drugs with serum and liver homogenate were faster than without these material. After preparation of liposome, free drug was removed efficiency by Dowex 50W-X4. When liposome was freeze-dried and then rehydrated in the presence of Tr, characteristics of liposome were maintained well in MEL than MLV. Tr Was used successfully as a cryoprotectant in the process of freeze drying and the optimal ratio of Tr:Lipid was 4:1(g/g).

  • PDF

TiN/Ti 다층막 코팅된 생체용 Ti-30Ta-xZr 합금의 부식특성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TiN/Ti Multilayer Coated Ti-30Ta-xZr Alloy for Biomaterials)

  • 김영운;조주영;최한철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162-169
    • /
    • 2009
  • Pure titanium and its alloys are drastically used in implant materials due to their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high corrosion resistance and good biocompatibility. However, the widely used Ti-6Al-4V is found to release toxic ions (Al and V) into the body, leading to undesirable long-term effects. Ti-6Al-4V has much higher elastic modulus than cortical bone. Therefore, titanium alloys with low elastic modulus have been developed as biomaterials to minimize stress shielding. For this reason, Ti-30Ta-xZr alloy systems have been studied in this study. The Ti-30Ta containing Zr(5, 10 and 15 wt%) were 10 times melted to improve chemical homogeneity by using a vacuum furnace and then homogenized for 24 hrs at $1000^{\circ}C$. The specimens were cut and polished for corrosion test and Ti coating and then coated with TiN, respectively, by using DC magnetron sputtering method. The analyses of coated surface were carried out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using potentiodynamic (- 1500 mV~+ 2000 mV) and AC impedance spectroscopy(100 kHz~10 mHz) in 0.9% NaCl solution at $36.5{\pm}1^{\circ}C$. The equiaxed structure was changed to needle-like structure with increasing Zr content. The surface defects and structures were covered with TiN/Ti coated layer. From the polarization behavior in 0.9% NaCl solution, The corrosion current density of Ti-30Ta-xZr alloys decreased as Zr content increased, whereas, the corrosion potential of Ti-30Ta-xZr alloys increased as Zr content increased.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iN/Ti-coated Ti-30Ta-xZr alloy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TiN-coated Ti-30Ta-xZr alloys. From the AC impedance in 0.9% NaCl solution, polarization resistance($R_p$) value of TiN/Ti coated Ti-30Ta-xZr alloys showed higher than that of TiN-coated Ti-30Ta-xZr alloys.

암모늄염으로 도포시킨 베니어판의 연소 시에 발생하는 연소가스 평가 (Evaluation of Combustion gas during Fire Tests of Veneers Coated with Ammonium Salts)

  • 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93-99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4종의 암모늄염으로 도포된 베니어 시험편의 연소 특성을 시험하였다. 20 wt%의 암모늄염 수용액으로 각각 베니어 시험편에 3회 붓으로 도포하여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 2)를 사용하여 연소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모노암모늄 포스페이트(MAPP)와 디암모늄 포스페이트(DAPP)로 처리한 시험편은 순수한 베니어 시험편에 비해 평균열방출율($HRR_{mean}$)이 각각 6.7%, 10.0% 낮았다. 반면에 MAPP는 최대 일산화탄소발생속도($CO_{peak}$ production rate)가 순수한 베니어 시험편에 비해 15.7% 높았고 DAPP는 8.2% 낮았다. 황산암모늄(AMSF)으로 도포된 베니어 시험편의 최대 연기발생속도($SPR_{peak}$)는 순수한 베니어 시험편에 비해 9.6% 낮았고 DAPP로 처리된 시험편은 33.3% 낮았다. 또한 DAPP는 최대 연기비감쇠면적($SEA_{peak}$)에 다다르는 시간이 순수한 베니어 시험편에 비해 38.4% 지연되었다. 그러므로 DAPP는 베니어의 연소성질을 억제시키고 연기발생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제제방법별(製劑方法別) 혼합입제(混合粒劑) 농약(農藥)의 특성(特性)과 약효(藥效)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fficacy of Combined Pesticide Granules Formulated by Different Ways)

  • 오병열;박영선;심재완;강창식;이형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1호
    • /
    • pp.90-95
    • /
    • 1986
  • 입제농약(粒劑農藥)의 제제방법(製劑方法)에 따른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과 병해충 방제효과를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습식법(濕式法)과 피복법(被覆法)으로 제조(製造)한 probenazole + carbofuran(6%+3%)입제(粒劑)를 공시약제供試藥劑)로 하여 실내(室內) 및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피복법(被覆法)에 의한 입제(粒劑)는 습식법(濕式法)에 의한 입제(粒劑)보다 주성분(主成分)의 경시안정성(經時安定性)이 양호(良好)하였으며 수중(水中) 주성분(主成分) 용출속도(溶出速度)도 완만(緩慢)하였다. 2. 약제처리초기(藥劑處理初期)의 추청(秋晴)벼 지상부중(地上部中) 농약잔류(農藥殘留) 농도(濃度)는 습동법(濕東法)에 의한 입제(粒劑)가 피복법(被覆法)에서 보다 높게 유지(維持)되었으나, 약제처리(藥劑處理) 8일후(日後)에는 반대(反對)의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3. 도열병(稻熱病)의 방제효과는 입제(粒劑)의 제제방법조간(製劑方法間)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벼멸구의 방제효과는 피복법(被覆法)에 의한 입제(粒劑)가 우수(優秀)하였다. 4. 피복법(被覆法)에 의한 probenazole+carbofuran 입제(粒劑)의 생산비(生産費)는 습식법(濕式法)의 경우(境遇)보다 약(約) 6%의 절감(節減) 효과가 있었다.

  • PDF

민깨알반날개(Oligota kashmirica benefica)의 몇 가지 생태특성: 산란 및 용화장소, 성충 저장온도, 방사효과 (Some Ecological Notes of Oligota kashmirica benefica: Oviposition and Pupation Site, Storage Temperature of Adult, Release Effect)

  • 최덕수;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5-130
    • /
    • 2005
  • 잎응애류의 포식성 천적인 민깨알반날개의 실내사육에 필요한 몇 가지 생태적 특성 즉 산란 습성, 성충우화율, 저장온도 그리고 귤응애의 밀도억제효과를 시험하였다. 민깨알반날개 암컷성충은 유자잎 뒷면에 $95\%$를 산란하였으며, 그중 $91.3\%$를 귤응애의 탈피각이나 배설물로 알 표면을 피복하였다. 과수원 내 밭토양에서는 민깨알반날개의 우화율이 $60\%$였는데, 밭토양 대신 원예용상토를 사용했을 때 $86.7\%$로 향상되었다. 대부분의 유충$(88\%)$은 지면으로부터 2 cm이내 깊이에서 번데기가 되었다. 성충 저장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발육영점온도인 $12^{\circ}C$이며, 저장 10, 20, 30일 후에 생존율은 각각 96.7, 73.3, $70\%$였다. 유자에 발생한 귤응애 방제를 위한 효율적인 방사비율은 150:1 미만으로 방사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이었다.

공간척도 유형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의 민감도 분석 (Exploratory Sensitivity Analysis of Environmental Equity to Spatial to Measures)

  • 전병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08-521
    • /
    • 2006
  • 환경적 형평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어떤 분석방법이 적용되느냐에 따라 많이 다르다. 또한, 경험적 연구에서 연구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정보와 자료도 흔히 불확실하고 부정확하다. 본 연구는 환경적 형평성 분석에 있어서 이러한 방법론적 일관성 결여와 자료의 불확실성을 다루기 위해서 민감도 분석이라는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근접성과 축척이라는 두 개의 공간척도에 대한 환경적 형평성의 민감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두 가지의 실험이 환경적 형평성 분석에 대한 두 개의 공간척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통제 및 실험인자들을 사용하면서 수행되었다. 이러한 실험을 위해서 미국 조지아주 풀톤 가운티가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되었고,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 연구지역의 1990년 인구센서스 자료와 유독물질 배출목록(TRI) 데이터베이스가 지리정보시스템으로 통합되었다. 독립표본 t-test와 편재계수를 이용한 통계분석이 연구지역에서 환경적 행평성을 결정하고 공간척도의 유형에 따른 인구의 사회경제적인 특성의 상대적 변이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지역에서 환경적 형평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TRI 시설들의 영향권을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된 버퍼거리에 약간 민감하지만, 분석에 사용된 지리적 축척에는 민감하지 않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본 연구는 환경적 형평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어떤 공간척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공간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통계적인 측면에서 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