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ve submergenc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담수(湛水)에 의한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 변화(變化)와 수도수량(水稻收量)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due to Submergence and Paddy Rice Yield)

  • 안윤수;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4-200
    • /
    • 1985
  • 담수(湛水)에 의한 토양화학성분(土壤化學成分) 함량변화(含量變化)와 수도수량(水稻收量)과의 관계(關係)를 밝히고져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이 상이(相異)한 9개 토양통(土壤統)으로 실내(室內) 및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포장시험(圃場試驗) 결과(結果) 토양간(土壤間)의 무비구수량(無肥區收量)과 최고수량(最高收量)은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相關)이 있었지만 상대수량(相對收量)은 54~76으로서 토양간(土壤間) 차이(差異)가 컸다. 무비구(無肥區) 수량(收量)과 토양화학성분(土壤化學成分)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는 담수무처리(湛水無處理)의 암모니아태 질소(窒素)에서만 상관(相關)이 있었다. 담수항온시험(湛水恒溫試驗) 결과(結果) pH에서 무비구(無肥區) 수량(收量)이 높았던 부용(芙蓉), 사촌(沙村), 지산통(芝山統) 담수(湛水) 5~25일까지의 건토(乾土)에 대한 pH상승폭(上昇幅)이 다른 토양(土壤)보다 컸고 담수(湛水) 70일까지 건토(乾土)의 pH가(價) 수준(水準)을 유지(維持)하였다. 토양별(土壤別) 암모니아태 질소함량(窒素含量)은 건토(乾土)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관련(關聯)이 적었고 무처리담수구(無處理湛水區)와 삼요소담수구(三要素湛水區)의 함량(含量) 차이(差異)가 컸던 토양(土壤)들이 시비효율(施肥效率)이 높은 편(便)이었다. 건토(乾土)의 유효인산(有效燐酸) 및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낮고 점토함량(粘土含量)이 높은 전북(全北), 대정(大靜), 췌동통(萃東統)은 담수(湛水)에 의한 인산유효화량(燐酸有效化量)이 적고 포장시험(圃場試驗)에서의 인산시비효율(燐酸施肥效率)이 컸다. 점토함량(粘土含量)이 낮은 사촌(沙村), 용지(龍池), 예천통(醴泉統)은 그 반대(反對)였다. 대체로 담수(湛水)에 의해서 유효규산함량(有效珪酸含量)은 증가(增加)하였지만 건토(乾土)의 유효규산함량(有效珪酸含量)이 극히 높은 전북(全北), 대정(大靜), 췌동통(萃東統)은 담수무처리(湛水無處理)에서 건토(乾土)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감소(減少)하였다.

  • PDF

염해와 동해를 받는 콘크리트의 내구성 평가실험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Durability of Concrete under Freezing & Thawing Action and Salt attack)

  • 이준구;박광수;조영권;김명원;김관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봄학술 발표회 논문집(II)
    • /
    • pp.213-216
    • /
    • 2005
  • Salt attack and freezing & thawing test, one of the combined deterioration test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mechanism of concrete structure deterioration under marine environment. Simple submerging test was proceeded to draw out its diffusion factor with salt water at the same time. Some of the mechanisms were driven with using three types of cements and four kinds of salt water concentrations. $\circ$ TBC was more durable than OPC or SRC for freezing and thawing action $\circ$ The higher chloride concentration of salt water was, the faster relative dynamic elastic modulus decreased and the higher the loss of weight was. $\circ$ The diffusion factor of TBC was smaller than those of TBC or SRC at simple submergence of concrete specimens into salt water.

  • PDF

식생하천의 현장자료를 이용한 조도계수 관계식 유도 (Deriv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Relationships Using Field Data in Vegetated Rivers)

  • 이종석;;김재훈;이태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2호
    • /
    • pp.137-149
    • /
    • 2012
  • 본 연구는 흐름 저항에 대한 분석을 위해 초본 281개, 관목 150개, 교목 308개의 현장실측 자료로 구성된 739개 식생하천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실측자료의 Manning 조도계수 분포는 초본자료에서 0.015~0.250, 관목자료에서 0.016~0.250, 교목자료에서 0.018~0.310의 범위를 갖는다. 이들 조도계수의 중요한 분포경향은 Darcy-Weisbach (또는 Manning의 조도계수)와 유량, 마찰경사 및 상대 잠수비에 대한 관계식으로 제시하였다. 식생하천에서 Darcy-Weisbach와 Manning 조도계수에 관한 회귀 방정식은 $f_{veg}=0.436Q^{-0.363}$, $f_{veg}=3.305S_f^{0.508}$$n_{veg}=0.061Q^{-0.124}$, $n_{veg}=0.144S_f^{0.199}$$V=5.3(h/d_{50})^{1/8.3}{\sqrt{ghS_f}}$, $\sqrt{8/f}(=V/u_*)=5.75log(5h/d_{50})$로 유도되었다. 이들 반 경험적 관계식은 수공 실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1999년에 발생한 기상재해 유형별 벼 수량반응조사 연구 (Yield Response of Rice Affected by Adverse Weather Conditions Occurred in 1999)

  • 주영철;임갑준;한상욱;박중수;조영철;김순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
    • /
    • 2000
  • 본 연구는 변색립, 수발아를 유발시킨 기상환경을 구명하고 출수기의 변색립, 등숙 중 .후기의 수발아, 생식생장기의 침관수, 황숙기의 도복에 타른 수량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피해를 받은 농가 포장 및 경기도농업기술원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벼 출수시기에 영화변색 발생시의 기상조건은 평균 기온은 21.3-26.4$^{\circ}C$, 상대습도는 75.2-98.4%, 증발계수는 19.3, 풍속은 10.8-13.m/sec.이였으며, 영화변색비율이 63.2-65.7%, 38.3-45.2%일 때 임실비율과 등숙비율 저하로 수량이 각각 26-27%. 10-17%감소하였다. 벼 등숙 중.후기에 포장에서 연속강우에 의한 수발아 발생 기상조건은 7일간 연속강우로 상대습도가 96% 이상이였고 7일간의 평균기온은 18.9$^{\circ}C$, 최고기온은 21.9$^{\circ}C$, 최저기온은 16.8$^{\circ}C$이였으며, 수발아율이 높은 품종은 주안벼(45.5%), 진부벼(14.5%). 봉광벼(14.2%), 오봉벼(12.6%) 등 이였다. 벼 생식생장기 관수시 곁가지는 1.5-2m 수심에 1일간 관수부터 발생하였고, 3-4m 수심에 2-3일간 관수시는 m$^2$당 269-571개 발생하여 전체수량에 32-52%기여하였다. 벼 황숙기 도복시 일으켜 세움과 방치시 수량 차는 대차없었으나 방치시 미숙립 증가로 완전미비율이 세움에 비하여 중묘기계이앙답은 9.1%, 건답직파답은 12.5% 낮아졌다.

  • PDF

저수지 댐 붕괴 지점에 따른 침수 양상 비교 (Comparison of Flood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llapse of Dam body)

  • 류단쉰;이길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61-470
    • /
    • 2022
  • When an agricultural soil dam collapses, the extent of inundation and the rate of diffusion vary depending on where the collapse occurs in the dam body. In this study, a dam collapse scenario was established and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FLO-2D was used to closely examine the inundation pattern of the downstream residential area according to the dam collapse point.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a flood risk map showing the changes and patterns of the extent of inundation spread. The flood level and the time to reach the maximum water level vary depending on the point of collapse, and the inundation of the downstream area proceeds rapidly in the order of the midpoint, left point, and right point collapse. In the left collapse point, the submergence appeared about 0.5 hour slower than the middle point, and the right collapse point appeared about 1 hour slower than the middle point. Since the relative damage patter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am collapse point, insurance and disaster countermeasures will have to be established differently.

자연하천 현장자료를 이용한 저항계수의 결정 (Determination of Resistance Coefficients Using Field Measurements in Natural Rivers)

  • 이종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2B호
    • /
    • pp.139-147
    • /
    • 2012
  • 본 연구는 자연하천의 모래 179개, 자갈 992개, 조약돌 651개, 호박돌 53개 수로로 구성된 현장실측 1,875개 하천자료를 사용하여 흐름 저항에 대한 Darcy-Weisbach 마찰계수와 Manning의 조도계수 및 무차원 유속의 관계식을 각각 유도하였다. 멱함수 형의 이들 관계식은 유량, 수로경사 및 상대 잠수비에 대한 함수식으로 회귀분석과 반 경험적 방법에 의해 제안하였다. Box-Whisker 분석에 의한 Manning 조도계수의 실측치 분포는 각각 모래자료에서 0.004~0.151, 자갈자료에서 0.008~0.250, 조약돌 자료에서 0.015~0.327 및 호박돌 자료에서 0.023~0.444로 나타났다. 이들 반 경험적 관계식과 저항계수는 수공분야의 정보제공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k-𝜔 SST 모형을 이용한 수중도수와 잠긴흐름의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submerged jump and washed-out jump using the k-𝜔 SST model)

  • 최성욱;최성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1호
    • /
    • pp.1011-101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방 형태의 보를 월류하는 수중도수와 잠긴흐름을 수치모의 하였다. 수치모의를 위하여 URANS 방정식을 해석하였으며, 난류폐합식으로 k-𝜔 모형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수치모형을 검증하였는데, 모의된 롤러의 형상, 자유수면, 그리고 평균유속분포가 실험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중도수와 잠긴흐름에서 물의 체적비 분포를 비교하였으며, 각 흐름에 대한 2중 평균된 체적비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수치모의를 이용하여 보의 길이, 유량, 그리고 하류 수위에 따라 수중도수에서 잠긴흐름으로 천이되는 조건을 검토하였으며, 천이가 발생할 때의 상대 월류수심을 침수비의 함수로 제시하였다.

옥수수(Zea mays) 원뿌리의 통기조직 발달에 미치는 에틸렌 전구체, 옥신, 메틸자스몬산의 효과 (Effects of Ethylene Precursor, Auxin and Methyl Jasmonate on the Aerenchyma Formation in the Primary Root of Maize (Zea mays))

  • 호종윤;맹소현;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3
    • /
    • 2015
  • 옥수수(Zea mays) 원뿌리에서 에틸렌 전구체인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CC), indole-3-acetic acid (IAA) 그리고 methyl jasmonate (MeJA)가 통기조직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물호르몬 처리는 원뿌리의 종단 구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control과 호르몬 처리된 뿌리의 비교 가능한 위치를 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하여 원뿌리의 정단을 PR0, 기부를 PR100이라 정의하고 이 두 지점 사이를 길이에 비례하여 PR25, PR50, PR75로 구분하였다. 대조군 뿌리의 PR25와 PR50 부분에서는 통기조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PR75 부분에서는 드물게 통기조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PR75 부위의 통기조직 면적은 ACC 또는 IAA가 존재할 때 증가하였다. 반면, MeJA는 옥수수 원뿌리가 침수되지 않았을 때와 침수되었을 때 서로 다른 차등 효과를 나타내었다. 뿌리가 침수되지 않았을 때 MeJA는 통기조직의 발달을 억제하였다. 반면, 뿌리를 침수 시키면 통기조직의 면적이 증가하는데 그 면적은 MeJA에 의하여 더욱 증가되었다. 한편, 곁뿌리 원기는 그 주변 피층세포의 통기조직 발달에 수반되는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곁뿌리 원기에 의해 억제되는 통기조직의 발달은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통기조직의 발달을 촉진하는 세 가지 호르몬들에 의해서도 회복되지 않았다. 이는 발달하는 곁뿌리 원기가 억제하는 통기조직 발달 조절의 세부 단계는 식물호르몬들이 작용한 이후 단계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사질답토양(砂質畓土壤)에 수종(數種) 개량제(改良劑) 시용(施用)이 양분용탈(養分溶脫)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il-ameliorator mixtures on nutrient leaching in sandy paddy soil)

  • 안상배;박준규;연병열;육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1-138
    • /
    • 1987
  • 객토실시(客土實施)가 곤란(困難)한 사질답토양(砂質畓土壤)에 객토대체효과(客土代替效果)가 기대(期待)되는 수종(數種)의 개량제(改良劑)를 시용(施用)한 후(後) 투수용액중(透水溶液中)에 나오는 이들 양(量)을 정량(定量)함으로써 시용(施用된 성분(成分)이 토양(土壤)에 흡착(吸着) 또는 용탈(溶脫)되는 양상(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실내시험(室內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가. 객토(客土)와 퇴비시용(堆肥施用)으로 토양(土壤)의 투수성(透水性) 감소효과(減少效果)는 현저(顯著)하였으며 퇴비(堆肥)+slag+객토(客土)>퇴비(堆肥)+객토(客土)>퇴비(堆肥)>객토(客土)>퇴비(堆肥)+slag>slag>대조구(對照區) 등(等)으로 투수속도(透水速度)가 저하(低下)되었다. 나. 퇴비(堆肥)에 slag나 객토병용처리(客土倂用處理)에서 투수용액중(透水溶液中) $NH_4-N$$SiO_2$의 농도(濃度)나 용탈량(溶脫量)이 많고 시험후(試驗後) 잔존량(殘存量)도 본답토(本畓土)나 객토(客土)보다 많았다. 다. 이와같은 경향(傾向)은 양(陽) ion 中 K, Ca 및 Mg 등(等)도 같은 양상(樣相)이며 특(特)히 K는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서 투수중(透水中) 용탈량(溶脫量)이나 토양중(土壤中) 잔존량(殘存量)도 대조구(對照區)나 객토처리(客土處理) 보다 차이(差異)가 현저(顯著)하였다. 라. 투수용액중(透水溶液中) $Fe^{{+}{+}}$의 농도(濃度)와 용탈량(溶脫量)은 본답토(本畓土)에서 퇴비(堆肥)나 slag 처리(處理)보다 훨씬 많고 담수(湛水) 12일경(日頃)에 최고(最高)값을 보이다가 감소(減少)하였으며 $Mn^{{+}{+}}$은 오히려 본답토(本畓土)에서 가장 적었다. 마. 투수용액중(透水溶液中) $NH_4-N$ 농도총량(濃度總量)은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서 많으나 시험후(試驗後) 토양중(土壤中)에 잔존량(殘存量)은 이와 반대경향(反對傾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