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inforced earth wall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5초

현장계측을 통한 보강재 침하형 보강토 옹벽의 거동특성 (Behavior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Permitting Reinforcement to Subside with Monitoring)

  • 정진혁;오종근;이송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5-15
    • /
    • 2009
  • 기존의 블록식 보강토옹벽의 경우 블록과 보강재 연결을 핀, 커텍터 등으로 연결하므로 전면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블록의 균열이나 보강재 파단파괴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강재의 침하를 허용하는 새로운 연결시스템을 개발하여 연구대상지역에 일반형 블록식 보강토옹벽 구간과 보강재 침하형 보강토옹벽 구간으로 나누어 시험시공을 실시하였다. 시공과정 및 이후의 현장계측결과 전면블록에 인접한 부분에서 최대인장력으로부터 구한 인장력비가 일반형 보다 침하형이 전면블록 전면부의 음력집중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힘홈이 형성된 띠형 섬유보강재를 사용한 패널식 보강토옹벽의 현장계측 연구 (Field Monitoring of Panel-type Reinforced Earth Walls Using Geosynthetic Strip Reinforcement with Folding Grooves)

  • 이광우;조삼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79-18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패널식 보강토옹벽에 대한 현장 적용성 및 구조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두 개소 현장에서 현장계측을 수행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패널식 보강토옹벽은 접힘홈이 형성된 띠형 섬유보강재를 패널식 전면벽체에 매립된 C형 삽입구를 통해 직접 연결함으로써 보다 일체화된 구조를 형성시킨 보강토옹벽이다. 현장계측에서는 보강토옹벽의 시공 중 및 완료 후에 발생하는 전면벽체의 수평변위와 띠형 섬유보강재의 인장변형, 전면벽체에 작용하는 수평토압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보강토옹벽 시공 완료 후에 전면벽체에 작용하는 최대 수평토압은 Rankine 토압의 2/3 이하 수준이고, 전면벽체에 발생된 최대 수평변위는 보강토옹벽 높이의 0.5% 이하 수준이며, 보강재에 유발된 최대 인장변형률은 1.0% 이하로 나타나 두 현장의 보강토옹벽이 모두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강토옹벽의 최적 보강길이비 산정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for Optimum Reinforcement Length Ratio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박춘식;안우종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2호
    • /
    • pp.5-14
    • /
    • 2018
  • 최근 국내에 사용되고 있는 보강토옹벽 공법은 전면체의 재질, 보강재, 축조방법, 축조경사에 따라 수많은 종류가 제안되었으나 각 공법에 따른 설계방법이나 상세검토항목 등의 규정이 명확하지 않으며 집중호우에 따른 붕괴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보강토옹벽의 설계에 있어서 좀 더 안정된 기술적 접근을 위해 설치높이별 단면을 가정하고 단일 강도의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옹벽의 인발파괴와 높이별 최적의 보강재 조합을 산정하고 산정된 각 단면에 대해서 보강길이비(L/H)에 따른 안전율 변화를 통하여 보강재의 최적 설계와 다단식 보강토옹벽의 최적 설계 그리고 보강재인 토목섬유의 재질에 따른 최적 길이비를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원심모형실험에 의한 침하자유형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Stability for Settlement Fre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y Centrifuge Model Tests)

  • 안광국;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6호
    • /
    • pp.23-3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보강재의 침하를 허용하는 침하형 보강토 옹벽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연결부의 침하를 허용하지 않는 일반형 보강토옹벽에 대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침하형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모형실험에서 전면판은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였으며, 보강재는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하였으며, 뒤채움지반은 화강풍화토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침하자유형 보강토옹벽은 80g의 중력수준에서 완전한 파괴상태에 도달하였으며, 일반형 보강토 옹벽이 69g의 중력수준에서 파괴된 것을 감안하면 침하자유형 보강토 옹벽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69g에서 침하자유형 보강토옹벽 저면에서의 수직토압이 일반형에 비해 16% 정도 크게 측정되었다.

  • PDF

블록식 보강토 옹벽 설계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Program for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이충원;유지훈;민연식;장동수;임현택;문용배;김승태;김용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75-84
    • /
    • 201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program for design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this purpose, the external stability such as overturning, sliding and bearing capacity and the internal stability such as pull-out failure and tensile rupture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with the reinforcement spacing and the backfill inclina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alculated results from the developed program were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simulated results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contributes to effective design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ASE STUDY ON SEVERELY-DAMAGED REINFORCED EARTH WALL WITH GEO-TEXTILE IN HYOGO, JAPAN Part II: Numerical simulation into causes and countermeasures

  • Hur, Jin-Suk;Kawajiri, Shunzo;Jung, Min-Su;Shibuya, Satoru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3차
    • /
    • pp.11-17
    • /
    • 2010
  •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imulate the development of the large deformation that took place on the reinforced earth wall, a part of the Tottori expressway planned to pass Hyogo, Japan. Since this reinforced earth wall had experienced unexpected deformation of the wall during construction, the wall was re-constructed twice. However, the wall deformation showed no sign to cease even at the final stage of the construction. Countermeasures to re-stabilize the wall were demanded. In part I of this paper, it was manifested that subsidence of a 3-meter weak soil due to seepage flow was responsible for the large deformation. A part of concrete panel wall was severely damaged due to extremely large pulling force of geotextile induced by the hammock state. As for the countermeasures, "grouting with slag system" was applied to fill voids of the backfill, and also to prevent further development of settlement in the weak soil layer. "Ground anchor" was also considered to achieve the prescribed factor of safety.

  • PDF

체인 보강토 옹벽의 현장 인발실험 (A In-Situ Pullout Experiment of Chain Reinforced Earth Wall)

  • 유찬;김상수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57-360
    • /
    • 2002
  • A in-situ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ullout resistance capacity of chains which is used as a reinforcement of reinforced earth wall. It was also considered that chain was combined with a bar or L-type steel angle by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member in the experiment. As a result of experiment, it is expected that chain can be safely used as reinforcements of reinforced earth wall, although it is concerned that a theoretical estimation of the pullout resistance capability of chain is too conservative.

  • PDF

현장사례를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파괴원인 및 안정성 분석 (Analysis on Failure Causes and Stability of Reinforced Earth Wall Based on a Field Case)

  • 홍기권;한중근;이종영;박재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09-11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집중강우에 의해 파괴가 발생한 보강토옹벽의 현장사례를 바탕으로 강우가 보강토옹벽의 안정성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침투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침투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전체사면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침투해석 결과, 본 연구대상 현장에 형성되는 지하수위는 강우의 영향이 민감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보강토옹벽에 대한 전체사면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보강토옹벽의 최초 파괴 당시의 안전율이 0.476으로 나타났다. 즉, 보강토옹벽의 전체사면에 대한 활동파괴는 지속적인 강우 및 집중강우로 인하여 과도한 지표수 유입에 따른 급속한 지하수위 상승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보강토옹벽의 설계 및 시공 시, 최근 발생하고 있는 집중강우를 대비한 설계 및 이를 고려한 다양한 안정해석을 통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염해로 인한 교대부 보강토옹벽 손상 원인 분석 연구 (A Study on Cause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of Chloride Attack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Installed on Bridge Abutment)

  • 도종남;김낙영;조남훈;유광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2호
    • /
    • pp.59-64
    • /
    • 2018
  • 보강토옹벽에 발생되는 손상은 전면벽체부, 기초부, 배수로, 상부사면으로 구분하여 발생되고 있다. 보강토옹벽의 손상은 주로 배수문제로 인한 손상이 현장에서 많이 발생되는데, 이 중 제설염에 의한 손상이 최근에 사례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겨울철에 사용되어지는 제설염의 양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 제설염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열화시키는데, 여기서 보강토옹벽도 예외는 아니다. 배수통로를 통해 뒤채움부로 유입된 염해 성분이 보강토옹벽의 전면벽체를 열화시키는 사례가 최근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교대부에 시공된 보강토옹벽의 손상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에 대한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량 교대부의 신축이음장치나 상부 구조에서 집수된 배수계통을 통해 유입된 염해 성분이 보강토옹벽 뒤채움부로 유입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수체계를 개선하고 전면벽체의 강성을 회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