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ular worker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6초

Association between Work-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Use during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toms in Wage Workers

  • Min-Sun Kim;Shin-Goo Park;Hwan-Cheol Kim;Sang-Hee Hwa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5권1호
    • /
    • pp.73-79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use during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toms in wage workers. Methods: Data from 50,538 workers aged 15 years or older who had participated in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KWCS) were used. The final sample was 32,994 wage workers. The questionnaire asked the respondents how often they used communication devices for work during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WHO-5 Well-Being Index.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work-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use during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and depressive symptoms. Results: The rate of depressive symptoms was highest among workers who did not use work-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during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and work-related factors, the odds ratio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workers who used communication devices when working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was 1.20 (95% CI: 1.09-1.32); the odds ratio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group not using communication devices for free-time work was 1.66 (95% CI: 1.37-2.00),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group, that is, workers who did not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Regardless of whether work-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are used, working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increases depressive symptoms. The use of work-related communication devices during work outside of regular working hours can reduce the rate of depressive symptoms.

외국인 근로자들의 건강 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f Actual Conditions of the Health for the Foreign Workers)

  • 조현태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4-22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oreign worker's health problem.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and analyzed by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 The most frequent health problem was 'diarrhea' and the next, 'cold' and 'dental car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problem by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problem, regular health checkup between legal workers and illegal workers. Conclusion: Judging from this study result, health program for foreign worker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whether they are male or female and whether they are legal or illegal immigrants.

  • PDF

소규모사업장에서의 근로자 금연프로그램 적용 효과 (Effects of the Program for Smoking Cessation of Workers in Small Workplace)

  • 최정명;김은경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6-132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program for smoking cessation of workers in small workplace. Method: The study cases were seventy worker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above program and they were from small workplace (under fifty employees) at Yonugdeungpo-gu, Seoul. This program was composed of individual health education and distributing guide books and video. Nurses visited the workplace for the program once two weeks. Result: Nine works (12.9%) succeed and 10 worker(14.3%) failed in smoking cessation. Number of cigarettes smoked a day and level of nicotine dependency of fifty-one(72.9%) workers de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e program was successful for workers at small workplace. The continual management by nurses' regular visit was the moat important thing for successful program.

  • PDF

비정규직 외래간호사의 근무경험에 대한 융합적 접근 (Integrated approach to the working experience of non-regular outpatient nurse)

  • 이혜진;이도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11-120
    • /
    • 2016
  • 본 논문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외래간호사가 겪는 경험 세계를 주관적이고 총체적으로 통찰하여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로 자신의 경험을 풍부히 나타낼 수 있는 종합병원 비정규직 외래간호사 7명을 임의 표출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4개의 주제 묶음과 8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비정규직 외래간호사는 계약직이라는 특수한 고용방법으로 인해 표면적으로는 근무환경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면에는 보상이나 발전에 대한 불만이라는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비정규직 외래간호사들의 근무경험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해 비정규직 외래간호사들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고 접근할 수 있는 근거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대학병원 비정규직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 among Non-regular workers in University Hospitals)

  • 양종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293-30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병원 비정규직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설문대상은 전국 7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292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분석을 위해 ANOVA, t-검정을 하였으며,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환경불공정성, 고용불안정성, 차별경험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력을 보였고, 직무만족과 나이, 고용형태는 유의한 음(-)의 영향력이 있었다. 특히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는 의료시장에서 병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이 높고, 이직의도가 높은 것은 장기적으로 병원경영과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부는 적극적으로 비정규직을 위한 정책을 수립과 지원이 필요하고, 병원들은 비정규직을 위한 복지, 임금, 근무환경 등에서 실질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국내 임금근로자에서 고용형태에 따른 hs-CRP level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hs-CRP Level in Korean Wage Workers)

  • 주재한;이준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27
    • /
    • 2021
  • Objectives: We aimed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hs-CRP level among Korean wage workers using the 2016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KNHANE, revise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937 daytime wage workers over the age of 19 and within a normal weight range (18.5≤BMI≺25). Regular workers were defined as those granted an employment guarantee until reaching retirement age, and non-regular workers were defined as temporary, non-typical, dispatched, short-term workers and contractors. For hs-CRP, three divisions were classified as recommended by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and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with less than 1.0 mg/L indicating low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bove 1.0 mg/L and below 3.0 mg/L considered moderate risk, and more than 3.0 mg/L indicating high risk.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type and hs-CRP level in Korean wage worker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For non-regular workers, the odds ratio of the cardiovascular moderate-risk group and cardiovascular high-risk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regular workers. After adjusting for factors such as gender, age, subjective health status, income, education, smoking, and physical labor, the odds ratio of the cardiovascular high-risk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non-regular workers and high hs-CRP level was examined. Based on this, institutional strategies should be pursued to prevent and manage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non-regular workers.

정규직 노동자의 연대의식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제적 이해관계, 동일시, 공감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Solidarity of Korean Unionists and Its Determinants : Focusing on Economic Interests, Worker Identification and Empathy)

  • 남규승;신은종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3호
    • /
    • pp.143-178
    • /
    • 2018
  • 한국노동조합운동은 연대성 위기에 빠진지 오래다. 대공장 중심의 노동조합운동이 정규직 조합원만의 이익을 위한 협소한 경제적 이익대표체로 전락하면서 노동대 중을 위한 넓은 연대의 구심으로 역할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는 연대성 위기의 주요 원인을 시장극단주의의 확산, 노동조합운동의 전략적 역량부족 등에서 찾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개별 노동자의 연대 인식에 대한 탐구를 결여하고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연대에 대한 이론적 탐색에 기초해 정규직 노동자의 비정규직에 대한 연대의식을 분석한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경제적 이해관계, 동일시, 공감 등 연대의 세 가지 원천을 도출하고 이를 기초로 실증분석을 시도한다. 분석 자료는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조합이 조직된 사업장에 소속된 노동자 476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다. 연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노동조합 가입유무, 상급단체, 노조조직 형태, 비정규직에 대한 개방성 등을 고려했다.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이해관계 차원에서의 연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정규직 조합원은 비조합원에 비해 차별화된 연대의식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개혁적 노조운동을 지향하는 민주노총 역시 협조주의 노선을 취하는 한국노총에 비해 비정규직에 대한 조합원의 연대의식을 고취하는데 적절한 역할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조직형태와 비정규직에 대한 개방성 변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거니와 산별조직에 속하거나 비정규직에 가입자격을 부여한 노동조합에 속한 정규직 조합원일수록 비정규직과의 경제적 연대에 대한 열망이 높다는 점이 발견됐다. 둘째, 동일시 차원에서의 연대는 정규직 조합원이 비조합원에 비해 높은 동일시 의식을 보유한 것으로 분석됐다. 상급단체 변수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한국노총에 비해 민주노총에 소속된 정규직 조합원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일시 의식(비정규에 대한 의식)을 보였다. 셋째, 공감 차원의 연대의식을 분석한 결과, 노동조합 가입유무나 민주노총 변수는 정규직 조합원의 공감 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한국노동조합이 연대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별 조합원의 연대의식 함양이 긴요한 과제임을 드러낸다. 특히, 산별노조의 건설은 경제적 연대의식과 동일시에 기초한 연대감을 높이는 주요 요인인 만큼 노동조합의 전략적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노동자 연대의 새로운 측면을 제시하는 유용성이 있으나 표본의 제한, 역인과관계의 존재가능성 등에 따른 한계가 존재한다.

일부 생산직 근로자와 사무직 근로자간의 노동능력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Pilot Study for the Assessment of Work Ability of Manufacturing Workers and Managerial Workers)

  • 이영하;김성희;김상우;신혜련;진병원;우극현;한구웅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2호
    • /
    • pp.497-510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work ability of manufacturing workers and managerial workers. Subjects were 446 manufacturing workers and 278 managerial workers employed in Gumi industrial complex and the observation period was for 1 month(February to March), 1995. In this study, as a questionnaire for the assessment of work ability, we used the Work Ability Index(WAI) which was developed by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 in Finland.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WAI was poor in lower economic condition, shift work, irregular diet group(p<0.05). There were no evident trends of WAS in sex, educational level, obesity index, exercise,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In the groups of sensitive to perception of stress, other industrial classification except textile and electronics, the more than 9 hours work, the evident trends of poor WAS were observed(p<0.01). In the groups of $30\sim39$ years old, $40\sim49$ years old, unmarried, high school, shift work, standard body weight, and regular .diet, WAI between manufacturing workers and managerial work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p<0.01) and WAI of managerial worker was worse than that of manufacturing worker.

  • PDF

데이터 매칭을 이용한 비정규직의 임금격차 분석 (Wage Differentials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 김선애;김진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34권2호
    • /
    • pp.53-77
    • /
    • 2011
  • 최근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고용형태 차이에 관한 연구, 특히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고용형태별 임금격차를 추정하기 위해 선형회귀 방법 등을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추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데이터 매칭(matching)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정규직 근로자와 동일한 특성을 지닌 것으로 보이는 정규직 근로자를 매치하여 양자의 임금격차를 분석한 결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차이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PDF

병원 비정규직 사무직의 차별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Non-regular Office Workers in Hospitals)

  • 양종현;장동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49-256
    • /
    • 2019
  • 본 연구는 병원의 비정규직 사무직을 대상으로 차별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017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전국의 7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사무직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별경험, 직무만족 차이분석을 위한 t-검정, ANOVA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환경불공정성, 지위불공정성 및 고용불안정성이 유의한 음(-)의 영향력을 보였고, 일반적 특성은 성별, 교육, 소득이 유의한 음(-)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병원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차별이 높고, 직무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병원에서는 비정규직 여성을 위한 친화적 직장 분위기를 만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