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industry

검색결과 1,575건 처리시간 0.026초

지역 물류산업의 특화도와 지역경제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Regional Specialization and Value-added Contribution of Local Logistics Industry)

  • 박선율;박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7-108
    • /
    • 2020
  • 우리나라 물류산업은 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하였으며, 물류산업의 발전은 기업비용을 절감하고, 물가 상승을 억제하여 지역민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물류산업은 국가와 지역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부에서는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인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물류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물류산업의 지역경제 부가가치 기여도를 분석하여 지역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입지계수를 분석하여 지역별 육상운송, 수상운송, 항공운송,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의 특화도를 분석하고, 지역산업연관표에서 부가가치율, 지역내총생산(GRDP) 기여도, 부가가치유발계수, 부가가치 순이입을 분석하여 지역 물류산업이 지역경제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물류산업은 산업별로 일부 지역에서 부가가치 순이입이 있고,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 물류산업의 입지계수와 부가가치 기여도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존재하지는 않았다. 우리나라 물류산업은 산업별로 서울, 인천, 경기, 부산, 제주 등을 중심으로 지역에 따라 다른 산업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물류 인프라가 잘 발전된 지역과 육성이 필요한 지역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물류산업이 발전한 지역은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며, 육성이 미비한 지역은 지역 수요에 맞는 인력과 자본을 투입하여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지역협력형 지역개발 모델의 평가방법론 연구 -산학관 협력체계에 관한 의견조사와 현황분석을 중심으로- (Improvement on the Existing Valuation Method of the Government, University and Industry Cooperativ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 백기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9-138
    • /
    • 1998
  • 1980년대 선진국에서 대두된 내생적 지역재발정책에 따라 우리 나라에서 1990년대 이후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산학연지역컨소시엄사업, 지역협력연구센타사업 등 주요 지역협력형 지역개발사업의 효과여부에 대한 평가방법을 탐색하고자 한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현대과학기술의 협력연구 필요성과 지역개발의 방향을 접목시켜 지역협력형 지역개발의 개념정립을 시도하고, 주요 사업의 현황을 검토하고 그러한 사업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협력연구의 유형, 대학과 기업, 관청사이의 협력연구 현황과 문제점 인식의 차이 등을 도출하여 평가의 일환으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협력사업을 주 대상으로 평가체계와 평가요소를 정리하고자 하였으며 현행 주요사업의 평가방법과 의식조사 내역을 바탕으로 평가방법의 향후방향을 고찰하였다.

  • PDF

충남지역 전략산업 지원사업의 투자우선순위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Decision Making Model of Prioritization of Supporting Policies for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nam)

  • 이보형;경종수;서상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196-3203
    • /
    • 2010
  • 지역산업 지원사업은 지역환경의 여건과 제도적 변화와 더불어 지난 10년 동안 꾸준히 확대되어 왔다. 특히 정부주도의 산업정책에서 지역주도의 산업정책으로 패러다임이 변모하면서 지역 전략산업 및 특화산업 육성, 기술지원, 기업지원 사업 등 지역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그동안 지역 내에서 다양하게 전개된 지역산업 지원사업의 성과와 효율성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지역전략산업 육성정책을 중심으로 통합적 관점의 종합발전계획과 사업추진전략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지역산업 지원사업의 총체적인 맥락에서 중복사업의 조정과 핵심역량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수요자 중심의 지원체계에 대한 프레임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과중심의 자율적 지역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지역 전략산업의 특성 및 지원사업 유형에 따른 지역산업 육성 투자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의사결정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충남전략산업 지원사업의 투자우선순위 의사결정을 위해 충남지역의 전략산업 및 지역산업 지원사업을 대상으로 AHP분석을 통해 전략산업과 지원사업유형별 투자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전략산업 및 사업유형에 따른 중요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사업유형의 우선순위가 전략산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때 획일화된 기업지원 정책에서 벗어나 전략산업이나 기업규모에 따른 차별화된 기업지원 정책의 다양성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체계적인 정책수립 및 지원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략산업을 집중육성하고 차별화된 지원정책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지역전략산업 연계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효율성 개선방안 (A Study of Business Support Policy for Small-Medium Enterprises in Regional Strategic Industry)

  • 경종수;이보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30-2037
    • /
    • 2010
  • 본 연구는 지역전략산업과 연계되어 추진되고 있는 중소기업지원정책의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전략산업 내 중소기업의 기업지원수요를 바탕으로 맞춤형 기업지원 정책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정책의사결정(지역사업의 사업포트폴리오전략, 효율적 사업비 배분, 중점추진과제 등)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243개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략산업별 참여기업들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맞춤형 정책창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중앙정부 주도의 지역산업 정책기조와 산업현장의 정책수요를 반영하여 지역산업정책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시사점이 될 것이다.

지역자원기반산업의 가치사슬 상의 기업활동 네트워크 -순창 장류산업을 사례로- (Firm-activity Networks in the Context of the Value Chain of Regional Resource-based Industries: A Case Study of Fermented Soy Product Industry in Sunchang)

  • 이경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51-365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자원기반산업의 지역경제공간의 형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업 네트워크 분석방법과 가치사슬의 개념을 통합하는 연구틀을 고안하였다. 주활동으로 원료구매에서 생산, 판매에 이르는 기업활동 네트워크를 살펴보았으며, 지원활동으로 연구개발과 기업지원서비스 네트워크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틀을 기반으로 지역자원기반산업을 유형화하고 이 유형들을 종합하여 살펴봄으로써, 지역자원기반산업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연구틀을 소개하고 한국 대표적인 지역자원기반산업인 장류제조업에 적용하여, 장류산업의 기업활동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지역자원기반산업의 역동성을 살펴보았다.

The Impact of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on Intra-Industry Trade: An Empirical Analysis Using a Panel Vector Autoregressive Model

  • Guofeng Zhao;Cheol-Ju Mun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7권3호
    • /
    • pp.103-118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mpacted by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and the level of intra-industry trade among member states, with the ultimate objective of deducing the short- and long-term effects of RCEP on trade. Design/methodology - This study focuses on tariffs, GDP growth rates, and the proportion of regional FDI to total FDI as research variables, and employs a panel vector autoregression model and GMM-style estimator to investigat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RCEP and intra-industry trade among member countries. Findings - The study finds that the level of intra-industry trade between member states is positively impacted by both tariffs and intra-regional FDI. The impulse response graph shows that tariffs and FDI within the region can promote intra-industry trade among member countries, with a quick response. However, the contribution rates of tariffs and intra-regional FDI are not particularly high at approximately 1.5% and 1.4%,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contribution rate of GDP growth can reach around 8.5%. This implies that the influence of economic growth rate on intra-regional trade in industries is not only long-term but also more powerful than that of tariffs and intra-regional FDI. Originality/value - The originality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a new approach to investigating the potential impact of RCEP while avoiding th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the GTAP model. Additionally, this study addresses existing gaps within the research, further contributing to the research merit of the study.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충청지역 산업분석 (Industry Analysis of Chungchong area Using Regional Inter-Industry Table)

  • 임응순;정군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361-1368
    • /
    • 2009
  • 본 연구는 충청지역를 대상으로 하여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산업선정과 투자우선순위 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RAS기법을 이용하여 2005년 전국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2006년 전국산업연관표를 작성한 후에, 입지계수법을 이용하여 2006년 충청지역산업연관표를 작성하여, 충청지역의 각종 파급효과들을 분석하였다.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분석결과는 제조업부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취업유발효과의 경우 음식점 및 숙박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감응도계수는 광업, 영향력계수는 제조업부문에서 높게 분석되었다.

SW산업의 지역동반 성장을 위한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ggestions for Progress of SW Industry in company with Regional Economy)

  • 김동민;장정환;이두용;장청윤;조용철;김정환;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03-311
    • /
    • 2012
  • Recently SW is the key industry which leads the HW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but market size of SW is only 0.9% of GDP. It is necessary systematic and strategic support to create new SW market through SW convergence and to secure the global competitiveness. This paper deals with some strategic suggestions for progress of SW industry in company with regional economy. We survey and analyze the many SW support projects by government and take professional advice from some specialists of regional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agency. We draw 10 strategic suggestions for support of SW industry. Also we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10 strategic suggestions by AHP analysis.

혁신도시와 연계한 지역산업 육성전략 : 경북 혁신도시를 사례로 (Promotion Strategies for Regional Industries in Relation to a New Innovation City in Korea : A Case Study on the Gyeongbuk Innovation City)

  • 윤칠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37-553
    • /
    • 2009
  • 혁신도시 건설이 자립형 지방화를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방향성에서 지역전략산업 중심의 연계방안 마련이 핵심적 과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북 혁신도시를 사례로 혁신도시와 연계한 경북의 지역전략산업 중심의 산학연계 구축방안 모색을 통하여 지역산업 육성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전공공기관과 지역산업간 연계분석과 지역전략산업 중심의 혁신도시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계방안에서는 경북의 전략 및 선도산업인 전자정보기기, 신소재부품, 생물한방 문화관광, 친환경에너지 등의 산업별 특성에 기반한 클러스터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IT BT산업과 같이 기술발전 속도가 빠른 산업분야의 경우 구미 혁신클러스터 추진단 및 경북지역 주요 혁신지원기관과 연계한 관련 주체간 지리적 인접을 통한 상호 연계협력이 필요하며, 자동차부품 기계 철강산업과 같은 성숙 기술분야는 기존 클러스터의 육성을 위한 교통 물류지원 등 인프라 강화가 핵심과제이다. 경제권의 광역화와 광역클러스터화에 따른 광역경제권 단위의 산업클러스터 육성도 새로운 과제이다.

  • PDF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블루오션전략 수립 : 래프팅산업에의 적용 사례 (Formulating Blue Ocean Strategy to Revitalize a Regional Industry : A Case of Rafting Industry in Korea)

  • 박경민
    • 경영과학
    • /
    • 제26권1호
    • /
    • pp.7-20
    • /
    • 2009
  • The framework of "blue ocean strategy (Kim and Mauborgne, 2005)" applies to not only business firm level but also region or regional industry level. The paper suggests an approach of survey-based blue ocean strategy formulation. The result from survey on customer group and non-customer group gives information on positions of value curves for regions on strategy canvas and hints on how to reposition the focal region's value curve for both increases in value for customers and decreases in cost for local government, i.e., value innovation. In the context of rafting industry in Korea, this study shows the process how blue ocean strategy can be formulated with results from the survey on customers and business people in rafting industry. Relative positions of value curves on strategy canvas and importance scores for strategy elements provides the local government in region A with implications on which elements to raise or to reduce to create "blue ocean" in rafting industry under fierce inter-region compet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