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on thinking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자아성찰, 비판적 사고성향 및 다문화 경험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Muti Cultural Experience and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박소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45-355
    • /
    • 2016
  • 다문화 사회에서 문화적 역량은 간호제공자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으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성찰, 비판적 사고성향 및 다문화 경험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일개 간호대학생 148명이며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아성찰, 비판적 사고성향 및 다문화 경험과 문화적 역량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비판적 사고성향(${\beta}=0.27$, p=.005)과 자아성찰(${\beta}=0.21$, p=.040)이 문화적 역량에 주요한 영향 요인으로 문화적 역량의 26%를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해서 자아성찰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과 방법들을 융합적으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 시 포함할 것과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좀 더 탐색하여 이론적 모델을 수립하는 연구 수행을 제언하고자 한다.

CSCA 환경에서 성찰루브릭이 비판적 사고와 협력적 논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flection Rubric on Critical Thinking and Collaboration Argumentation in CSCA environment)

  • 김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559-5569
    • /
    • 2013
  • 본 연구는 CSCA 환경에서 성찰 루브릭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평가하고 타인의 의견을 평가하는 것이 비판적 사고의 빈도와 내용, 협력적 논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강생 60명을 대상으로 4주동안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성찰 루브릭 제공이 비판적 사고의 빈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용 및 협력적 논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찰 루브릭이 협력적 논증 학습 환경에서는 한 쪽으로 치우친 추론을 방지하고 양쪽 입장을 모두 고려하는 합리적인 주장과 근거를 제시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협력적 논증의 궁극적인 목적인 '협력적 지식구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CSCA 환경에서 효과적인 논증협력학습활동을 위한 전략 제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 Narrative Inquiry int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s Presented in Microteaching Lessons

  • Chung, Choong-Duk;Kang, Kyung-He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05-1416
    • /
    • 2012
  •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s presented during the microteaching proc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 students who attended a lecture course on science teaching methods offered by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t a national university. The simulated lessons that were performed during the microteaching process went through peer assessment and self-assessment. Then, the next set of lesson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After the first set of simulated lessons, th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 at the routine and technical levels was most remarkable in the focus dimension. In the inquiry and change dimensions, technical reflection stood out. Dialogic or transformative reflection was rarely presented. In addition,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displayed mingling patterns of reflection levels in all of the three dimen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prove that microteaching has a high level of applicability in terms of reflective thinking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subsequent studies to create a new model that can encourag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by structuralizing peer and self-assessment during the process of microteaching.

일반물리학실험에 나타난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 특징 분석 (Analysis of Reflective Thinking Characteristic of College Students in General Physics Experiment)

  • 김희정;최규리;오윤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225-239
    • /
    • 2020
  • 이 연구는 일반물리학실험 수업 중 일어나는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32명의 대학생들로 10개의 일반 물리학 실험 보고서와 함께 반성적 사고와 관련된 검사 문항을 서술하여 제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형 문항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실험에서 대체로 반성적으로 사고한다고 스스로를 평가하였으며. 그 수준은 실천적 반성, 기술적 반성, 비판적 반성 순이었다. 또한 학생들은 실험과 관련된 지식 등은 능동적으로 받아들이지만 당일 실험을 통해 얻은 새로운 지식 및 경험을 이전의 것과 연결하거나 새로운 질문을 형성하는 데는 소극적이었다. 둘째,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는 실험 목표의 이해와 선지식과 관련된 실험, 쉽게 수용할 수 있는 과정의 실험일수록 상관관계가 높았다. 셋째, 개방형 문항의 분석을 통하여 개인평가에서는 기술적 반성이, 모둠평가에서는 실천적 반성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개선점 제안에서는 실천적 반성, 기술적 반성, 비판적 반성의 순으로 동시에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는 기능적 측면이 주를 이루며 피상적이었던 반면, 실험을 통하여 학습 내용과 실험 과정을 검토하면서 개인과 모둠의 실천을 반성하여 학습의 의미를 재고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개념적 정의와 유형: 예비 과학교사를 중심으로 (Conceptual Definition and Types of Reflective Thinking on Science Teaching: Focus on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박미화;이진석;이경호;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0-83
    • /
    • 2007
  • 교육에서 교사의 중요성은 수많은 연구를 통해 강조되어 왔다. 이는 교육의 수준과 질이 교사의 전문성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기 때문이다.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 중 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많은 교사교육 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반성에 대한 개념은 주로 Dewey와 $Sch\ddot{o}n$에 의해 정의된 것이 받아들여져 왔으나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그러한 개념적 정의에 비추어 구체적으로 알아보기에는 모호하고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란 과학수업 상황에서 자신의 기존 지식, 신념, 그리고 실천 행위와 이에 모순되는 내 외적 요소들 간의 갈등을 인식하거나,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새로운 대안을 고려하는 사고과정을 의미한다."로 정의하였다. 또한, 이를 기술적, 전문적, 비판적 반성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구체적인 분류 기준틀을 개발하였다. 기술적 반성은 자신의 교육학적 신념이나 지식 그리고 교사 교육과정에서 학습한 기성의 교육학 이론이 교사의 실천, 외부 환경 또는 외부의 교육적인 지식과 갈등을 일으키며 교사의 새로운 실천과 지식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전문적 반성은 교사자신의 교육학적 지식과 신념 그리고 실천이 외부의 교육학적 지식이나 환경 등과 모순을 일으킬 때 자신의 지식과 신념에 의문을 가지고 새로운 대안을 고려하게 되며, 이때 기존의 것과 새로운 대안 사이에 교육적 가치갈등의 과정을 거치는 사고 과정을 의미한다. 비판적 반성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회문화적 지식과 신념 및 실천이 외부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갈등을 일으키며, 자신의 지식, 신념, 그리고 실천을 새롭게 형성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각 반성적 사고의 과정과 함께 각각의 특성과 교사가 자신에게 물었을 때 각 유형의 반성적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몇 가지 질문들을 초점으로 정리하여 '반성적 사고의 유형 분류 기준틀'을 개발하였다. 이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준틀을 적용하여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분석해 본 결과, 세 가지 유형의 반성적 사고를 실제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반성적 사고의 세 가지 유형 중 특히 기술적 반성을 많이 하고 있었으며, 비판적 반성의 사례는 극히 드물었다.

성찰일지를 활용한 PBL 기반 초등학교 프로그래밍 교육 교수·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Strategy for PBL-based Programming Education Using Reflection Journal in Elementary School)

  • 서정현;김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65-474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학습 과정에서 구조화된 성찰일지 작성 활동이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성찰일지 작성 전후 논리적 사고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59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고 실험집단에는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학습 단계별로 내용, 과정, 비판적 성찰일지 작성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학습 단계별로 비구조화된 성찰일지 작성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구조화된 성찰일지 작성 전후의 논리적 사고력 차이를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학습효과가 있음을 확인했고 통제집단과 논리적 사고력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학습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구조화된 성찰일지 작성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임부간호교육에서 성찰일지를 이용한 팀 기반학습의 효과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using Reflection Journal on Pregnancy Nursing Course for Nursing Students)

  • 김진영;이미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4-413
    • /
    • 2018
  • Purpos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a team-based learning using reflection journal in Women's Health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ha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rticipants were 140 third-yea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n=70) received twice team-based learning using reflection journal about pregnancy nursing course while the control group (n=70) received only team-based learning.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23.0 program.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critical thinking (t=2.03, p=.044). Problem-solving, self-leadership, or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eam-based learning using reflection journal is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성찰질문과 글쓰기를 이용한 디브리핑의 효과 - 복부수술 후 환자 간호에서 (The Effect of Debriefing using Reflective Questions and Writing in Simulation Training - Post Operative Care of Abdominal Surgery)

  • 방설영;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63-47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s of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ebriefing using reflection questions and writing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fficacy, and clinical judgement ability in simulation of post-operative care of abdominal surgery. Methods: The research method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synchronized design. The study period was from August 22 to 30, 2016.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34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6 in the control group. In a simulation session for post-operative care of abdominal surgery, the treat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to debrief for 30 minutes using Lasater's reflection questions and writing. For the control group, a typical debriefing was conducted in the same environment. Resul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fficacy, and clinical judge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o enhanc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fficacy, and clinical judgement of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 it is recommended to debrief using reflection questions and writing.

반성방법의 차이가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flective Thinking Methods on Improvement of Pre-service Geography Teacher's Teaching Knowledge)

  • 이소영;오정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9-476
    • /
    • 2011
  • 본 연구는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차 모의수업 결과를 토대로 통일한 수준에 있는 데 명의 예비교사들을 선정한 후, 각각 상이한 반성을 거쳐 2차 모의수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 때 각각의 수업에 대한 동료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지식 구비정도를 파악했고, 1차 및 2차 수업 간의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수업전문지식의 변화 양상을 파악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와 2차 모의수업을 비교해본 결과 모든 예비교사의 평균점수가 상승했지만, 반성하지 않거나 자기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 비해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의 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다음으로 자기반성을 통해 반성적 성찰지를 작성한 예비교사의 경우 반성적 사고는 가능했지만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지는 데에는 한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내용지식의 향상은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게만 나타났다. 특히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에서 유의미한 통계 값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내용이나 상황영역 부문은 예비교사 스스로의 자기반성 및 반복적 수업 실연을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지만,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은 조력자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