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ed cul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3초

옥신 처리 농도 및 시기에 따른 갈대 지상경 삽목 효율 (Cutting Efficiency Using Phragmites australis Culms According to Content and Timing of Indole-acetic Acid Treatment)

  • 홍문기;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갈대 지상경 채취시기와 관련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을에 채취한 갈대에 생장조절 식물호르몬인 옥신(IAA)을 다양한 농도($10^{-3}$ M, $10^{-6}$ M, $10^{-9}$ M, $10^{-12}$ M)로 처리하였다. 2012년 9월 5일, 상당 부분 경화가 진행된 산지 습지 갈대에 옥신을 처리한 결과 240개의 절편으로부터 총 19개의 경엽부 출현이 확인되었으며, $10^{-6}$ M에서 옥신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산지 습지로부터 이식하여 서울대학교에서 1년간 생육시켜온 갈대의 경우 약 2주 가량 늦게(2012년 9월 19일) 실험을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0^{-6}$ M의 옥신 처리 후 60개의 삽목 절편으로부터 총 50개의 경엽부가 출현하였다. 하지만 동일한 방법으로 약 40일 가량 더 경과한 시점인 10월 29일 삽목 실험 결과 60개의 절편으로부터 오직 2개의 경엽부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선 두 실험 시 서울의 기온이 $20^{\circ}C$ 안팎이었던데 반해 세 번째 실험시엔 $10^{\circ}C$ 수준으로 부정아 형성이 이뤄지기엔 다소 낮은 기온이 그 원인으로 보여 진다. 삽목 절편의 직경이 두꺼울수록 출현 경엽부의 직경도 두꺼웠으며(경엽부의 직경은 삽목한 절편 직경의 약 20% 수준이었다.), 이는 더 큰 초고 생장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되도록 두꺼운 갈대 절편을 삽목에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세 갈대 개체군의 절단 부위별 삽목 생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utting Culms Sec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from Three Reed Populations)

  • 홍문기;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3-62
    • /
    • 2012
  • Culm cutting is very effective and convenient method for asexual propagation and even much less destructive than the other ways such as excavation of rhizomes. Despite that culm cutting is such a useful method, only few investigations for raising its efficiency have been carried out. We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geographical populations and cutting sections on the shoot emergence, biomass production and its allocation in terms of cutting efficiency. Culms were sampled from three environmentally distinct wetlands : riparian marsh, salt marsh and montane fen and then they were cut separately into four sections from the bottom to the top part. Both factors of different population and section affected the shoot emergence together. Middle parts on the culm always showed more shoot emergence irrespective of different population. On the other hand, first section from salt marsh and fourth section from the montane fen did not exhibit any shoot emergenc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rease of shoot emergence between different sections during investigation period was confirmed only from salt marsh population. Not only different population but also appropriate cutting section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for better efficiency in cutting of reed culms.

유전 형질, 환경 인자, 식재 방법 차이에 따른 갈대 지상경 삽목 효율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utting efficiency using culms of reed with genetic, environmental and methodological differences)

  • 홍문기;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03-611
    • /
    • 2011
  • 갈대 지상경 삽목 효율성 제고를 위해 지상경 채취 지역, 매질, 식재 방법 그리고 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부위별 삽목 갈대 구분 등 다양한 방법들을 적용한 삽목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와 더불어 더 나은 삽목법을 다양한 환경의 여러 가지 갈대 생태형에 적용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 생태형, 채취 지역, 매질 등의 차이는 지상경에서의 새로운 경엽부 출현과 생육에 미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식재 방법과 갈대 지상경 중 삽목 부위 차이는 삽목 효율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갈대의 지상경 삽목 시 삽목에 필요한 지상경 채취에 앞서 삽목을 통해 증식시킨 갈대를 도입시킬 습지의 환경적, 생태적 특성을 먼저 고려하여 채취 장소를 선정해야 함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위도나 고도에 따른 기후 조건 등을 고려한 갈대의 연중 생육특성도 함께 파악하여 적절한 시기에 지상경을 채취하고 채취한 갈대의 중간 정도 부위를 선택적으로 삽목에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와 더불어 습지에서 갈대를 채취할 경우 활발한 확장이 이뤄지고 있는 확장부에서 삽목을 위한 지상경을 채취하는 것이 나으며 삽목을 위한 매질의 경우 상토보다는 통기성이 좋은 모래가 효율적이었다. 삽목 식재 방법의 경우 갈대 지상경이 지면에 수평 방향이 되도록 식재하게 되는 수평법이 지면에 수직으로 식재하는 수직법에 비해 훨씬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상경 삽목 효율 제고를 위해선 위 조건들뿐만 아니라 진딧물과 같은 병해충들로부터 갈대 삽목체가 피해 받지 않도록 하는 차원에서의 관리 방안 또한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Effects of different day length and wind conditions to the seedling growth performance of Phragmites australis

  • Hong, Mun Gi;Nam, Bo Eun;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2호
    • /
    • pp.78-87
    • /
    • 2021
  • Background: To understand shade and wind effects on seedling traits of common reed (Phragmites australis), we conducted a mesocosm experiment manipulating day length (10 h daytime a day as open canopy conditions or 6 h daytime a day as partially closed canopy conditions) and wind speed (0 m/s as windless conditions or 4 m/s as windy conditions). Results: Most values of functional traits of leaf blades, culms, and biomass production of P. australis were higher under long day length. In particular, we found sole positive effects of long day length in several functional traits such as internode and leaf blade lengths and the values of above-ground dry weight (DW), rhizome DW, and total DW. Wind-induced effects on functional trai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functional traits. Wind contributed to relatively low values of chlorophyll contents, angles between leaf blades, mean culm height, and maximum culm height. In contrast, wind contributed to relatively high values of culm density and below-ground DW. Conclusions: Although wind appeared to inhibit the vertical growth of P. australis through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leaf blades, it seemed that P. australis might compensate the inhibited vertical growth with increased horizontal growth such as more numerous culms, indicating a highly adaptive characteristic of P. australis in terms of phenotypic plasticity under windy environments.

Differences in functional traits of leaf blade and culm of common reed in four habitat types

  • Hong, Mun Gi;Nam, Bo Eun;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2호
    • /
    • pp.98-103
    • /
    • 2019
  • We compared the functional traits of leaf blades and culms of common reed (Phragmites australis) in four habitat types of distinguished environments such as temperature, precipitation, water characteristics, and indices related to biomass production (montane fen, MF; riparian marsh, RM; lagoon, LG; and salt marsh, SM). We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unctional traits within and among populations. Four population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traits of leaf blades and culms. MF and RM had relatively tall (> 300 cm) and thick (> 8 mm) culms bearing long leaf blades (> 40 cm), whereas LG and SM had relatively shorter and thinner culms bearing shorter leaf blades than MF and RM. Some relationships between the functional traits of leaf blades and culms showed negative or not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in the population, whereas mos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unctional trai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particularly when all the data from four populations was included into the correlation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