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d list

Search Result 16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지기산(홍성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of Mt. Jigisan in Hongseong-gun, Korea)

  • 박환준;김중현;김진석;안지홍;이경의;황요섭;이병윤;남기흠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6호
    • /
    • pp.521-547
    • /
    • 2018
  • 본 연구는 식물자원 및 생태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지기산 일대를 대상으로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자연환경 평가 및 기초자료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다. 현지조사 결과, 낙엽활엽수 및 침활혼효림을 이루는 지역으로서 관속식물은 96과 286속 391종 7아종 40변종 3품종 2교잡종 등44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은사시나무, 개나리, 만리화, 넓은잎각시붓꽃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은 6분류군으로 취약종(VU)에 만리화, 관심대상종(LC)에 이팝나무, 물잔디, 보춘화, 미평가종(NE)에 인삼, 푸른하늘지기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27분류군으로, V등급에 2분류군, IV등급에 3분류군, III등급에 6분류군, II등급에 4분류군, I등급에 1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특이분포식물은 27분류군으로 북방계식물이 4분류군, 남방계식물이 12분류군, 격리분포식물이 10분류군이었으며, 최근 학계에 보고된 흰들제비꽃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67분류군으로 귀화율(NI) 15.12%, 도시화지수(UI) 20.9%로 나타났다.

최정산(대구)의 관속식물상 연구 (Flora of Mt. Choejeong (Daegu))

  • 전민지;이은미;박선미;배종우;나명우;황유진;최수미;박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0-200
    • /
    • 2019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가창면 최정산의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7년 3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총 22회에 걸쳐 조사가 수행되었고,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104과, 297속, 495종, 4아종, 51변종, 11품종을 포함하여 560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특산식물 15분류군, 희귀식물 5분류군; 취약종(Vulnerable) 1분류군, 약관심종(Least concern) 4분류군, 적색목록식물 5분류군; 취약종(Vulnerable) 1분류군, 관심대상종(Least Concern) 3분류군, 미평가종(Not Evaluated)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54분류군; V등급종 1분류군, IV등급종 5분류군, III등급종 10분류군, II등급종 12분류군, I등급종 26분류군, 귀화식물 3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 36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최정산 총 출현 종 수 대비 각 특이종의 비율은 앞의 표로 나타내었다(Table 3). 용도별 구성은 식용식물 246분류군(29.2%), 약용식물이 228분류군(27.1%), 관상용물 164분류군(19.5%), 목재용식물 61분류군(7.2%), 목초용식물 28분류군(3.3%), 공업용식물 13분류군(1.5%), 그리고 섬유용식물 8분류군(0.9%)으로 나타났다. Oh (1971)의 선행연구와 귀화식물 목록 비교 결과 28분류군이 추가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산악자전거 도로 등으로 과거에 비해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짐으로서 귀화식물의 유입이 더 잦아진 결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현재 자생하고 있는 식물들의 서식지에 위협이 될 우려가 있다.

비금·도초도의 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of Bigeumdo and Dochodo Island)

  • 장영종;정수영;강은수;이강협;이정심;손동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14-640
    • /
    • 2022
  •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비금도와 도초도의 관속식물상을 연구하였다. 2021년 6월과 9월 총 4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한 결과, 113과 332속 452종 6아종 27변종 3품종으로 총 490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비금도에서는 84과 189속 220종 4아종 8변종 4품종으로 총 232분류군이, 도초도에서는 107과 305속 397종 5아종 23변종 3품종으로 총 428분류군이 각각 관찰되었다. 이들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7분류군, 환경부에서 지정한 법정보호종은 II급 2분류군이, IUCN Red List 위협범주에 속하는 식물은 위기종(EN) 1분류군, 취약종(VU) 3분류군, 준위협종(NT) 1분류군으로 총 5분류군이,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1분류군, IV등급 5분류군, III등급 28분류군으로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분포가 독특한 분류군으로 지네발란 등 3분류군은 비금도와 도초도가 국내에서 분포 북한계지임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58분류군이 보고되었다.

남한산성(경기도 광주시)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Namhansanseong (Gwangju-si, Gyeonggi-do) in Korea)

  • 권석우;김중현;김태성;박성애;윤창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41-563
    • /
    • 2022
  • 본 연구는 남한산성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파악하였다. 2019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총 30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7과 335속 513종 10아종 40변종 3품종 2교잡종으로 총 5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17분류군, 멸종위기식물은 백부자 1분류군, 지역적색목록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63분류군으로 V등급에 1분류군, IV등급에 7분류군, III등급에 12분류군, II등급에 14분류군, I등급에 29분류군이 포함되었다. 북방계 식물은 66분류군, 외래식물은 총 61분류군으로 귀화율은 10.7%, 도시화지수는 9.8%로 산출되었다. 기존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해 66과 161속 187종3아종19변종1품종2교잡종의 총 213분류군이 본 조사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성덕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Seongdeok (Ganghwa-gun) in Korea)

  • 김중현;박성애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615-630
    • /
    • 2022
  • 본 연구는 성덕산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20년 3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3과 273속 397종 9아종 35변종 2품종 2교잡종의 총 44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성덕산은 온대 중부지역에 속하고 침엽수와 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소나무류-참나무류가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멸종위기식물은 1분류군, 지역적색목록은 2분류군이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5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27분류군으로 V등급에 1분류군, III등급에 4분류군, II등급에 7분류군, I등급에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북방계 식물은 43분류군, 외래식물은 46분류군이며, 귀화율 10.3%, 도시화지수 11.7%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관속식물의 분포 자료로써 식물다양성 및 분포변화의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손죽도(여수시)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Sonjukdo Island(Yeosu-si), Korea)

  • 김중현;권석우;박성애;윤나래;남보미
    • 환경생물
    • /
    • 제42권1호
    • /
    • pp.28-45
    • /
    • 2024
  • 본 연구는 손죽도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23년 4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9과 322속 440종 7아종 35변종 1교잡종의 총 483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 가운데 249분류군은 본 조사에서 새롭게 기록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4분류군, 지역적색목록은 4분류군, 기후변화 지표식물은 22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99분류군으로 IV등급에 2분류군, III등급에 41분류군, II등급에 10분류군, I등급에 4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54분류군이며, 귀화율 11.2%, 도시화지수 13.8%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식물은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의 식물상은 한반도 식물구계의 남해안아구에 속한다. 본 연구는 관속식물의 분포 자료로써 식물 종 다양성 및 분포변화의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해양식물플랑크톤의 주요종과 분포에 대한 조사 (A List of Important Species and Distribution of Marine Phytoplankton in Korea)

  • 문성기;최철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7호
    • /
    • pp.725-733
    • /
    • 2003
  • 문헌 32편에서 조사된 출현종수는 최저 43종에서 최고 200종까지 기록되고, 그 중에서 주요종수는 최저 2종에서 최고 27종까지로 종수의 기록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본 조사에서 기록한 주요종의 목록은 모두 50속 116종이었고, 규조류 34속 89종(76.6%), 와편모조류 11속 22종(18.9%), 황갈색조류 2속 2종(1.7%), 남조류, 라피도조류, 유글레나조류가 각각 1속 1종(0.9%)이었다. 생태적 특성을 반영하는 주요 종으로는 우점종이 Actinoptychus seranius를 비롯하여 79종, 출현빈번종이 Coscinodiscus centralis를 비롯하여 50종, 적조원인종이 Cochlodinium polykrikoides를 비롯한 36종이었다. 또한 3가지의 주요 특성을 모두 지닌 종은 Prorocentrum micans를 비롯한 11종이었다. 여러 문헌에서 주요종으로 언급했던 종은 규조류인 Skeletonema costatum이었고 단일 속(genus)으로서 18종의 많은 종이 조사된 속은 Chaetoceros속이었다.

New Record of some red algal species (Rhodophyta) from Korea

  • Jeong, So Young;Won, Boo Yeon;Kang, Pil Joon;Kang, Jeong Chan;Kim, Myung Sook;Nam, Ki Wan;Cho, Tae Oh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439-448
    • /
    • 2013
  • Rhodophyta is one of major groups in the number of species and diversity of the marine algal flora. The occurrence of Korean 5 red algal species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on the list of Korean marine algal flora based on morphology: Ceramium pacificum, Cumathanmnion serrulatum, Gayliella fimbriata, Leptofauchea rhodymenioides, Sorella pulchra. Ceramium pacificum from Korea is recognized by complete cortication, many adventitious branches in a radial arrangement, 7-8 periaxial cells, and plant length of 1-2 cm. Cumathanmnion serrulatum is characterized by cartilaginous single main axis with a prominent midrib, serrulate blade, many higher orders of bladelets on each blade, and tetrasporagia produced near the midrib acropetally and then outwardly. Gayliella fimbriata is featured by clavate gland cell and 5-7 periaxial cells. Leptofauchea rhodymenioides is characterized by erect with flattened, dichotomously branched fronds, 1-2 cortical cells loosely arranged, 2-3 cell medullar layers with large colourless cells. Sorella pulchrais recognized by short branches produced alternately pinnate manner from margins of axial, mostly polystromatic frond, and tetrasporangial sori on the center of branches.

보건소의 국가 암 검진사업 실태 (A Survey of the Implication of the Cancer Screening Program in Health District Centers)

  • 황인영;이원철;백희정;김남초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9-240
    • /
    • 2005
  • Purpose: To evaluate every step of the cancer screening program. Method: 146 of 233 health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mailing questionnaires between December 2002 and January 2003. The response rate was 65.5%. Result: The government cancer screening program was directed by a variety of departments of the health centers. 41.1% of persons in charges were nurses. 41.3% of the health centers received a list of the appropriate person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operation within one or two months. 26.1% of health centers received ??? after five month from when the program started. All the health centers advertised their services, and most of them used mail and mass media 56.4%, used other institute's materials, and 72.2% of them used the government's materials. 76.7% of the heath centers recommended secondary health screening to the persons who had positive results at the first screening. 71.6% of the health centers ascertained the patients with cancer who were diagnosed at secondary screenings. 67.9% of the health centers had registered home-based cancer patients at the health center. 137 out of 146 health centers had a local institute for cancer screening; an average of 4.9 institutes had cancer screening. 80.1% of the persons in charge of the programs felt they needed this program, but 80.8% of them thought the program should be modified. Conclusion: Organized and standardized programs are needed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 PDF

THE NEW ECLIPSING POST COMMON-ENVELOPE BINARY SDSS J074548.63+263123.4

  • HEMHA, NIWAT;SANGUANSAK, NUANWAN;IRAWATI, PUJI;DHILLON, VIK;MARSH, TOM R.
    • 천문학논총
    • /
    • 제30권2호
    • /
    • pp.201-204
    • /
    • 2015
  • The common-envelope process is a complicated phase in binary evolution. A lot of effort has been dedicated to study the common-envelope stage, but many questions related to this process are yet to be answered. If one member of the binary survives the common-envelope phase, the binary will emerge as a white dwarf accompanied by a low-mass main sequence star in close orbit, often referred as a post common-envelope binary (PCEB). SDSS J0745+2631 is among the list of newly found PCEBs from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SDSS). This star is proposed to be a strong eclipsing system candidate due to the ellipsoidal modulation in its light curve. In this work, we aim to confirm the eclipsing nature of SDSS J0745+2631 and to determine the stellar and orbital parameters using the software Binary Maker 3.0 (BM3.0). We detected the primary eclipse in the light curve of SDSS J0745+2631 in our follow-up observation from January 2014 using the ULTRASPEC instrument at the Thai National Observatory. The data obtained on 7th and 8th January 2014 in g filter show an evident drop in brightness during the eclipse of the white dwarf, but this eclipse is less prominent in the data taken on the next night using a clear filter. According to our preliminary model, we find that SDSS J0745+2631 hosts a rather hot white dwarf with an effective temperature of 11500K. The companion star is a red dwarf star with a temperature of 3800K and radius of 0.3100 $R_{\odot}$. The red dwarf star almost fills its Roche lobe, causing a large ellipsoidal modulation. The mass ratio of the binary given by the Binary Maker 3.0 (BM3.0) model is M2/M1 = 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