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s on localit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Event Archives)

  • 임지훈;오효정;김수정
    • 기록학연구
    • /
    • 제51호
    • /
    • pp.175-208
    • /
    • 2017
  • 본 연구는 특정 사건을 중심으로 기록을 수집 관리하는 '사건 아카이브'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고려사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건 아카이브의 정의를 내린 후, 사건 아카이브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민간 기록물 아카이빙 연구방법인 공동체 아카이브와 로컬리티 도큐멘테이션과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건 아카이브는 인물, 공간, 시간으로 구성되며, 다른 연구방법과 비교하여 시간적 요소를 특히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을 축으로 나머지 요소를 접목한 팽이 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세 가지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건 발생 시기에 따라 사건 아카이브의 구축 방법을 다르게 제시하였다. 둘째, 사건 아카이브의 세 요소인 인물, 공간, 시간에 따라 기록 수집 및 관리 영역을 제안하였다. 셋째, 오픈 아카이브로 발전하기 위해 디지털 아카이브를 지향할 것을 제안하였다.

지역 음식문화의 기록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명시 자연마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ocumenting of Local Food Culture : Focused on the Natural Village of Gwangmyeong City)

  • 조해영;이영학
    • 기록학연구
    • /
    • 제60호
    • /
    • pp.195-237
    • /
    • 2019
  • 지역의 음식문화는 지역 고유의 특성과 지역 구성원의 삶의 모습 및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어 지역성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영역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음식문화는 음식과 관련된 기억 및 풍습 등 무형의 형태를 지니는 특성이 있으므로, 기록하여 보존하지 않으면 소멸될 가능성이 큰 영역이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 음식문화의 기록화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수집 생산된 기록을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였다. 따라서 지역 음식문화 기록화 방안과 기록화된 지역의 문화적 자원을 관리하고 학술적 문화적 방면에서의 활용방향을 제시하였다.

오픈소스를 이용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 (Digital Image Archiving Methodology on the Port of Busan: A Case Study Using an Open-Source Archiving Software)

  • 송정숙;허정숙;이예린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27-151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항구도시 부산'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한 부산항은 부산의 대표적인 로컬리티 공간이므로 부산항과 인근지역의 경관에 관한 사진, 엽서 등 이미지 기록을 중심으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과정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로컬리티의 재현방법론을 확산하고 공유하고자 한다. 사진, 엽서 등 이미지 기록, 즉 사진기록의 특성을 문자 위주의 텍스트 기록과 비교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이미지 기록의 대중 친화적인 특성에 주목하여 부산항에 관한 사진, 엽서 등의 이미지 기록을 수집하여 오픈소스 기록관리 소프트웨어 가운데 사진의 전시에 적합한 오메카(Omeka)를 이용하여 사진 아카이브를 실험적으로 구축해 보았다. 그 과정과 방법을 보면, 먼저 아카이브 구축 목적에 따른 개발 원칙을 세우고, 기록 수집을 위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산항 관련 기록 소장기관과 개인소장가 등의 저작권 동의를 얻어서 원본 또는 파일을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한 기록은 더블린코어에 따라 기술하였으며, 시기에 따른 컬렉션을 구성하고 기록을 정리하였다. 부산항의 공간적 성격을 교통공간, 역사공간, 산업공간, 생활공간으로 구분하고, 11개 전시주제를 구상하였다. 전시의 보기로 교통공간의 부관연락선을 제시하였다.

근대 부산의 교통 발달과 기록 - 기차와 전차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i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of Busan in the Modern Age and Its Records: Focused on Trains and Trams)

  • 김동철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271
    • /
    • 2011
  • 근대는 시공간의 압축 시대다. 근대 부산의 시간을 압축시킨 중심축은 기차와 전차다. 기차와 전차 등 근대교통의 발달은 근대도시의 시공간적 성격을 변화시켰다. 근대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기차와 전차를 통해 근대도시 부산의 로컬리티를 찾으려고 하였다. 근대도시 부산의 발달은 근대성과 식민지 수탈성을 담보하고 있다. 로컬리티 기록은 로컬과 관련된 인간의 경험을 읽어낼 수 있는 자료이다. 근대교통과 관련된 '로컬리티의 기록화'는 근대도시 부산의 로컬리티를 읽어내기 위한 작업이다. 교통이 지역사회, 지역사람들의 일상, 공간변화와 어떻게 상호 연관을 가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것을 위한 작은 시도다.

A Taxonomic Review of the Sword-tailed Cricket Subfamily Trigonidiinae (Orthoptera: Ensifera: Gryllidae) from Korea

  • Kim, Tae-W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9권1호
    • /
    • pp.74-83
    • /
    • 2013
  • The Korean population of the sword-tailed cricket subfamily Trigonidiinae is reviewed for the first time. Four members of the crickets are confirmed based on the examined material, those are Metioche japonica (Ichikawa, 2001), Svistella bifasciata (Shiraki, 1911), Homoeoxipha obliterata (Caudell, 1927) and Natula matsuurai Sugimoto, 2001, each of them belonging to a different genera. Among them, the former two are reconfirmed since earlier records, and latter two are newly recognized genera and species from the far southern provinces Jeollanam-do and Jeju-do Island in Korea. The type locality of both crickets is Japan, and are also only previously referred to in Japan, but their distributional ranges include neighboring South Korea. A key to the species, descriptions, photographs, figures, and oscillograms of male's calling sounds are provided to aid their identification.

도시기록화 사례연구 :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의 근현대 선교사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Urban Documentation : Centers on the modern missionary of Yangrim-dong area in Nam-gu, Gwangju)

  • 여진원;장우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387-416
    • /
    • 2016
  •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의 도시기록화를 위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기록화 대상 대한 이론적 고찰과 도시재생 측면에서 양림동에 관련된 기록물들을 수집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광주광역시 남구 방림동지역의 역사 문화적 사실을 배경으로 '선교'를 주제로 설정하여 기록화 사례를 제시하였다.

V. L. Komarov의 북한(北韓) 채집지명(採集地名)에 대한 연구(硏究) (II) - T. Nakai의 Flora Koreana vol. II를 중심으로 - (Reexamination on V. L. Komarov's collection sites in North Korea (II) - mainly based on Nakai's Flora Koreana vol. II -)

  • 장진성;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7-41
    • /
    • 2004
  • T. Nakai는 1911년 Flora Koreana vol. II에 러시아 식물분류학자인 V. L. Komarov의 1897년 북한 채집 표본을 120여점 인용하였다. Nakai가 언급한 북한의 지명은 약 65개로서 Komarov의 채집지명의 상당 부분에 해당된다. Nakai가 언급한 지명은 러시아발음에 근간을 두고 로마자로 표기하였는데 최근 혹은 과거 지도에서 정확한 채집지명을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는 Flora Koreana II에 기재된 채집지명을 과거 발표된 러시아와 일본 번역서인 만주식물지와 표본레이블 등의 자료를 근간으로 Nakai가 언급한 원명과, 한자 지명, 현재 지명의 로마자표기, 위도와 경도, 출처의 페이지 등을 도표로 제시하여 정리하였다.

On Schmarda's lost earthworm and some newly found New Zealand species (Oligochaeta: Megadrilacea: Lumbricidae, Acanthodrilidae, Octochaetidae, & Megascolecidae s. stricto)

  • Blakemore, Robert J.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105-132
    • /
    • 2012
  • The saga of Megascolides orthostichon (Schmarda, 1861)-the first native worm described from Australasia-continues as its type-locality is unequivocally returned from Hobart, Tasmania to Mt Wellington, Auckland where a brief survey failed to unearth it. Since it has not been seen for 150 yrs, it may qualify under NZTCS or IUCN classification as 'Nationally Critical' if not 'Extinct'. New reports are for exotic Megascolecidae Anisochaeta kiwi sp. nov. and A. kiwi mihi sub-sp. nov. plus addition to the NZ faunal list of Australian Anisochaeta macleayi (Fletcher, 1889) that, due to its wide distribution in Australia and now New Zealand, may be a candidate model-species suitably resilient for eco-toxicological culture and monitoring. For holarctic Lumbricidae, new records are of Dendrobaena attemsi (Michaelsen, 1903) and the Murchieona muldali (Omodeo, 1956) morph or subspecies of M. minuscula (Rosa, 1906), neither lumbricid previously uncovered in Asia/Australasia. Also found for the first time outside its East Asian homeland is Eisenia japonica (Michaelsen, 1892) (which is compared to Japanese E. japonica hiramoto sub-sp. nov. and to E. anzac Blakemore, 2011). Records of these exotics plus recent new native species described by the author-including two, Rhododrilus mangamingi and Deinodrilus orcus spp. novae, herein-raise the numbers of megadriles known from New Zealand to 228 (sub-)species in five families. Preliminary mtDNA COI sequence barcodes are presented. Genus Tokea Benham, 1904 is revived on its lack of dorsal pores, losing or gaining some species with Megascolides M'Coy, 1878. An updated checklist of all 228 New Zealand taxa is appended.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 부산 산복도로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 (Acquisition Strategy for Constructing Local Archives: The Case of Busan Sanbokdoro Archives)

  • 김화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3-16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마을 아카이브 구축시 고려해야 하는 수집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부산 산복도로의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수립한 수집전략을 소개하였다. 먼저 마을 아카이브의 역할을 정의하고 산복도로 아카이브의 비전 및 목표를 정리하였다. 비전에 따라 산복도로 아카이브에서 지역과 주민들의 삶을 아카이빙하기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과정과 수집방안을 소개하였다. 산복도로 아카이브는 특정한 주제, 사건, 장소 등에 대한 구체적인 수집을 위해 수집연표를 통한 자료수집, 장소정보 수집, 개인이야기 수집의 전략수립 방안과 아카이브 개관 후 운영프로그램을 통한 수집활동인 일반수집으로 구분하여 수집방안을 수립하였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온라인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지역 아카이브의 검색서비스 평가요소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s for Digital Archives Online Service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Search Service Evaluation Factors in Local Digital Archives)

  • 하은미;설보연;김현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3-102
    • /
    • 2022
  • 본 연구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온라인 서비스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로써 지역 아카이브의 검색서비스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함께 국내 지역 아카이브에서 제공하고 있는 검색도구와 기록콘텐츠 및 컬렉션을 분석하여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개발된 평가요소 및 항목의 검증을 위해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요소 및 고려사항을 통해 기관의 검색서비스를 객관화하여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실무자들이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검색서비스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