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eliminary Study on Event Archives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 임지훈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오효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 김수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Received : 2017.12.28
  • Accepted : 2017.01.17
  • Published : 2017.01.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definition of "event archive," which collects and manages records that focus on a specific event, in order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to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private records. As such, this study defines "event archive" and then identifies its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it with community archives and locality archives. An event archive consists of person, spatiality, and temporality. As it puts an emphasis on tempora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a spiral model, which grafts person and spatiality onto a time axis.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three consider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n event archive. First, it presents different construction methods for different types of event archives depending on the time an event occurred. Second, it suggests records collection and management areas considering the three components of an event archive-person, spatiality, and temporality. Third, it supports a digital archive for an event archive to become an open archive.

본 연구는 특정 사건을 중심으로 기록을 수집 관리하는 '사건 아카이브'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고려사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건 아카이브의 정의를 내린 후, 사건 아카이브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민간 기록물 아카이빙 연구방법인 공동체 아카이브와 로컬리티 도큐멘테이션과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건 아카이브는 인물, 공간, 시간으로 구성되며, 다른 연구방법과 비교하여 시간적 요소를 특히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을 축으로 나머지 요소를 접목한 팽이 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세 가지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건 발생 시기에 따라 사건 아카이브의 구축 방법을 다르게 제시하였다. 둘째, 사건 아카이브의 세 요소인 인물, 공간, 시간에 따라 기록 수집 및 관리 영역을 제안하였다. 셋째, 오픈 아카이브로 발전하기 위해 디지털 아카이브를 지향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연, 노형관, 남연화, 김용. 2015. 5.18 민주화 운동 기록물을 활용한 PBL모형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3), 29-54.
  2. 곽건홍. 2011.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 29, 3-33.
  3. 권명숙. 2007. 구술기록의 수집 절차에 관한 연구-민간인학살사건 다큐멘테이션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기록학 전공.
  4. 김영, 설문원. 2015. 구술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사회운동참여의 맥락: 밀양 765kV 송전탑건설반대운동에 참여한 여성주민들의 구술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4, 101-151.
  5. 김유승, 류반디. 2015. 노근리사건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예비 분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73-194.
  6. 김익한. 2014. '세월호 기억 저장소'를 만들자. 역사비평, 107, 12-24.
  7. 김지현. 2014. 미국, 캐나다, 호주 주립기록관의 민간기록물 수집정책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05-126.
  8. 김진성. 2015. 세월호 참사에 관한 기록정보관리 분야의 사회적 역할. 기록학연구, 44, 199-215.
  9. 김화경. 2012.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부산 산복도로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43-161.
  10. 박규택. 2009. 로컬의 공간성 이해를 위한 이론적 틀: 사회.역사 구성주의 관점. 한국민족문화, 33, 159-183.
  11. 박규택, 이상률. 1999. 공간, 시간, 사회/자연의 상호관계성에 의한 지역이해. 한국지역지리학회지, 5(2), 15-27.
  12. 박지애, 임진희. 2015. 디지털기록유산 평가.수집 모형에 대한 연구: 캐나다 'Wholeof-Society 접근법'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4, 51-99.
  13. 설문원. 2011.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07-230.
  14. 설문원. 2014.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기록학연구, 42, 287-326.
  15. 설문원, 최이랑, 김슬기. 2014. 오픈소스를 활용한 사건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7-36.
  16. 손동유, 이경준. 2013.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기록학연구, 35, 161-206.
  17. 심성보. 2014. 4.16 세월호 참사 기록, 어떻게 할 것인가?. 내일을 여는 역사, 57, 14-26.
  18. 안병우. 2015. 세월호 사건 기록화의 과정과 의의. 기록학연구, 44, 217-241.
  19. 오명진. 2012. 공공영역의 2004년 대통령 탄핵사건 기록. 기록학연구, 32, 45-78.
  20. 윤은하. 2011. 북미 기록학의 동향과 전망: 패러다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77-94.
  21.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22. 윤은하. 2016.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에 대한 재고찰. 기록학연구, 47, 131-159.
  23. 윤은하, 김유승. 2016.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57-79.
  24. 이건. 1994. 사건사 분석(Event History Data Analysis)의 개요: 와이불(Weibull)모델을 중심으로. 동국사회연구, 3, 139-157.
  25. 이경래. 2013. 북미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논의와 비판적 독해. 기록학연구, 38, 225-264.
  26. 이경래, 이광석. 2013.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기록학연구, 37, 3-39.
  27. 이미영. 2009. 재해 지역의 기록화 사례 연구: 한신, 아와지 대지진 기록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21, 85-116.
  28. 이영남. 2014. 기록의 전회: <포스트 1999>를 전망하며(2). 기록학연구, 40, 225-277.
  29. 이정우. 2011. 사건의 철학: 삶, 죽음, 운명. 서울: (주)그린비출판사.
  30. 이주영. 2011. 구술기록을 통한 민간인학살사건의 역사화. 기록학연구, 29, 79-127.
  31. 이현정. 2014.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월가점령운동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2, 213-243.
  32. 차철욱. 2015. 로컬시간을 고민한다. 로컬리티의 인문학, 42, 6-7.
  33. 채오병. 2009. 사건사의 인식론과 방법론. 사회와 역사, 83, 157-185.
  34. 최재희. 2013. 영국의 마이너리티 역사교육과 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 확대 연구. 기록학연구, 36, 121-152.
  35. Cook, T. 2004. Macro-appraisal and Functional Analysis: Documenting governance rather than government.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5(1), 5-18. https://doi.org/10.1080/0037981042000199106
  36. Cox, R. J. 1996. Documenting Localities: a Practical Model for American Archivists and Manuscript Curators. London: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and the Scarecrow Press.
  37. Giddens, A. 1984. The Constitution of Society: Outline of the Theory of Structuration.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8. Josias, A. 2011. Toward an Understanding of Archives as a Feature of Collective Memory. Archival Science, 11, 95-112. https://doi.org/10.1007/s10502-011-9136-3
  39. Leitner, H., Sheppard, E. & Sziarto, K. M. 2008. The Spatialities of Contentious Politics.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3(2), 157-172. https://doi.org/10.1111/j.1475-5661.2008.00293.x
  40. Sewell, W. Jr. 1996. Three Temporalities: Toward an Eventful Sociology. in McDonald, T. (Eds.), The Historic Turn in the Human Sciences (pp.245-280).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Ann Arbor.
  41. Trubowitz, P. 1998. Defining the National Interest: Conflict and Change in American Foreign Policy. Chicago &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ited by

  1.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
  2. 기억, 기록, 아카이브 정의(正義) vol.89,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9.59.277
  3. 일상생활과 기록 vol.63,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20.63.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