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gnition of teacher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7초

무리지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오류 (A study on the in-service teacher's recognition and fallacy for irrational exponent)

  • 이헌수;김영철;박영용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83-6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무리지수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인식과 오류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K 광역시 관내에 있는 중 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무리지수에 대한 인식과 오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무리지수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직교사의 정답률은 문제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현직교사들은 논리적으로 판단하기 보다는 직관에 의존하여 판단하였다. 셋째, 현직교사들의 판단의 근거는 밑의 형태보다는 지수의 형태에 의존하여 판단하였다.

  • PDF

학교 장면에서 교사의 게임 인식 유형과 학생 게임 이용 수용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game recognition types and the acceptance of student game use in school)

  • 도영임;김지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71-82
    • /
    • 2017
  • 이 연구는 학교 장면에서 교사들의 게임 인식 유형과 학생 게임 이용 수용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초 중 고등학교 교사와 상담교사 및 전문 상담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네가지 게임 인식 유형은 성별, 연령, 게임 경험 유무, 게임에 대한 태도, 게임에 대한 대응, 게임이 학생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인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게임 인식 유형에 따라 학생 게임 이용 수용도를 비교한 결과 '관리/감독의 필요성', '적극 활용의사', '관심과 확인', '부적응 대체활동으로 인정' 에서 유형간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수용 효능감'에서는 모든 유형이 낮은 수준을 보였다. 끝으로 학교 현장에서 학생 게임 이용에 대한 교사의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 어떠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지 논의하였다.

일본에서의 지속가능 발전교육(ESD)에 관한 교사, 대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에 과한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of Teachers, Students and PTA about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 Japan)

  • 유영억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3호
    • /
    • pp.115-125
    • /
    • 2010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recognition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 Teacher Association(PTA)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April to October, 2008. It confirmed a couple of facts, whi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eight educational areas including Environmental Education, Energy Education, Gender Education, World Heritage Education, Multi-cultural Coexistence Education, Peace Education, Education for human rights, and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at UNESCO had offered, this study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a relatively important area comparing with others. Second, 54.4% of the respondents have agree with the need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middle school and the high school, and 54.1% of them show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ird, because 49.2% of the respondents chose 'important' on the question of 'how important the field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education are', it looked like most of them agreed with the importance of the field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education. Fourth, because 61.1% of the responded teachers chose 'need' on the question of 'if it needs relationship with other studies', it looked like most of them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relationship with other studies. Fifth, 62.5% of the respondents chose 'no' on the question of 'if they conduct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ven if some wante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ost of them would not do it in the regular curriculum, but in the special activity class or teacher's discretional time. Sixth, most respondents indicated the teacher's class burden and the teacher's lack of knowledge as the problem i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ould be conducted. This result implied that in order to vitalize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teacher's class burden should be reduced and the teacher train program is necessary. Finally, urgent requested studies could improve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communities and schools, because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education, natural observation learning, and visiting ecological parks as important elements.

  • PDF

유아교육기관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인식과 수행에 따른 예비교사의 갈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s affected by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um)

  • 김선혜;김규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3-23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s affected by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u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s in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s in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4 pairs of cooperating teachers who taught preservice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and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 instrument and analyzed by t-test and ANOVA using SPSS 14.0 software.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s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Third,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s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s affected by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um.

한국 청소년과 학부모의 성역할인지와 성교육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The Study of the Recognition of Sexual Roles and the Demand of Sexual Education by the Korean Junior Students and their Parents)

  • 김영혜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권
    • /
    • pp.31-55
    • /
    • 1998
  • The study was attempted to survey the recognition of sexual roles and the demand of sexual education. The period was May 1st through June 15th, 1998 and the subjects were 377 junior students and 251 parents in Pusan. This study was based on questionnaire which focused on the Han and Lee's inquiry.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executed by using SPSS/P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point as to the 12 items of recognition of sexual roles regarding the occupational functions by the boys was 2.92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irls(1.85). The average point as to the 14 items of recognition of sexual roles regarding the attitudes by the boys was 2.91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irls(2.13). The average point as to the 14 items of recognition of sexual roles regarding the abilities by the boys was 2.93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irls(1.96). The point as to the item of androgyny among the demand of sexual education by the girls was 3.17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the boys(2.93). (2) The parents showed the higher recognition toward androcentrism than the students and the parents showed the higher demand of the overall sexual education than the students. (3) 15.7% of the students was engaged in the masturbation. Th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ir parents had known the masturbation by their children were 16.9%. The 59 masturbaters consisted of the boys(91.5%) and the girls(8.5%), and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opinions about the well-qualified teacher of sexual education by the subjects were studied as under: 16.7% of the parents supported the nurse-teacher, meanwhile 24.7% of the students supported the nurse-teacher.

  • PDF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Role Recognition)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5-2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 교사의 역할 인식과 역할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9학년도 K 대학교 중등교원연수원 사서 교사 1급 자격연수에 참여한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 교사의 기대 역할과 실행 역할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서 교사는 교수자로서 정보활용교육을 지도하고, 교수 파트너로서 도서관 활용수업과 협동수업을 운영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역할은 독서교육과 도서관이용교육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 교사는 그 원인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부재와 학교도서관에 두는 전문 인력의 역할 모호성과 같은 제도적 한계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동료 교사의 사서 교사에 대한 인식과 파트너십 부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사서 교사의 변인 중에서는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동료 교사가 본인을 교수 파트너로 여긴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사서 교사의 교수자, 교수 파트너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정보활용교육의 범교과 학습주제 포함, 직무 분석 실시, 장학 체계 확립, 동료장학 활성화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hild Care Teacher Aptitude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Efficacy of Child Car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배문조;박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85-494
    • /
    • 2013
  •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을 파악하고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적성 중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에서 남녀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다른 영역에서 차이가 없음을 보여 보육교사의 성보다는 보육교사직에 대한 소망과 자질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보육교사적성 중 업무에 대한 소명감이 보육교사전문성 인식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고, 창의성과 자기계발,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 수용성과 민감성, 안전관리능력이 보육효능감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자기계발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으로 밝혀져 예비보육교사가 창의성을 가지고 자신을 계발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다문화교수역량을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편성·운영 실태 (Recogniti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Thi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eachers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 Care Centrer)

  • 김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89-396
    • /
    • 2016
  • 본 연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적용과 운영의 실제 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보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편성 운영 실태는 어떠한지와 영역별 실행정도는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에 관한 질문지를 구성하고 경상남도의 보육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총 3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267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t 검증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적절히 편성 및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모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영역별로 실행하고 있었지만 영역별 실행도는 차이가 있었다.

동작 인식을 위한 교사-학생 구조 기반 CNN (Teacher-Student Architecture Based CNN for Action Recognition)

  • ;이효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3호
    • /
    • pp.99-104
    • /
    • 2022
  • 대부분 첨단 동작 인식 컨볼루션 네트워크는 RGB 스트림과 광학 흐름 스트림, 양 스트림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RGB 프레임 스트림은 모양 특성을 나타내고 광학 흐름 스트림은 동작 특성을 해석한다. 그러나 광학 흐름은 계산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동작 인식 시간에 지연을 초래한다. 이에 양 스트림 네트워크와 교사-학생 아키텍처에서 영감을 받아 행동 인식을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제안 신경망은 두 개의 하위 네트워크로 구성되어있다. 즉, 교사 역할을 하는 광학 흐름 하위 네트워크와 학생 역할을 하는 RGB 프레임 하위 네트워크를 연결하였다. 훈련 단계에서 광학 흐름의 특징을 추출하고 교사 서브 네트워크를 훈련시킨 다음 그 특징을 학생 서브 네트워크를 훈련시키기 위한 기준선으로 지정하여 학생 서브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테스트 단계에서는 광학 흐름을 계산하지 않고 대기 시간이 줄어들도록 학생 네트워크만 사용한다. 제안 네트워크는 실험을 통하여 정확도 면에서 일반 이중 스트림 아키텍처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Promoting Early Reading Ability through an Explicit High-frequency Sight Word Instruction

  • Huh, Keun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1호
    • /
    • pp.17-3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an explicit word instruction for EFL beginning readers and their perception on the learning experience. Data were attained from 16 fourth graders who took English class as a development activity. Data include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 of high frequency sight word recognition, oral reading ability, students' survey responses, and teacher observation. Th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obtained for the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The findings from the student survey and teacher observation were also provided and interpreted to better understand the result of project and students' perception on the learning experienc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word recognition ability of the students was dramatically improved after the project.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overall learning experience perceiving it as helpful and fun learning. They expressed that the explicit word instruction helped their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ability. The results also supported that the confidence of students on their reading ability were heightened.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for teachers and researchers on the word instruction for young EFL learners who are beginning read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