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ionale for curriculum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Identification of Guideline-Based Components for Innovative Science Curricula

  • Son, Yeon-A;Pottenger III, Francis M.;Lee, Yang-Rak;Young, Donald B.;Pak, Sung-Jae;Choi, Don-Hyung;Chung, Wan-Ho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67-892
    • /
    • 2001
  • In both Korea and the U.S., science education leaders and specialists insist that there is a shortage of curricula to address the new national science education guidelines in support of reform. This paper addresses development of new curricula for science education reform in the hopes of facilitating further development of guideline-based curricula. We examine Korean and U.S. thematic-based (Korean Science Field Trip at Cultural Sites Program and U.S. Graduate Teaching Fellows in K-12 Education) and project-centered (Korean Teachers for Exciting Science and U.S. Foundational Approaches in Science Teaching Program) programs. Using the criteria of rationale for curriculum, content and scope, processes of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strategies, we identify the curricular components that are common across four successful secondary science programs and determine which of these components address the national guidelines. Our findings indicate that common components of these four programs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science guidelines being used to revamp scie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Therefore, these programs not only engage secondary students and teachers in practicing successful science education, but also lead to successful science education practices that can be incorporated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 to support secondary science reform.

  • PDF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f NCS-based Curriculum)

  • 고경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69-82
    • /
    • 2015
  •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교육학 이론의 관점에서, 특히 Tyler의 과학적 교육과정과 이를 둘러싼 논쟁을 검토하여 최근 전문대학교에 전면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NCS 기반 교육과정이 가진 한계와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은 산업체 인력수요와 대학 인재양성 간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능력중심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국정과제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둘째, 청년실업의 확대, 산업인력의 고령화, 학력차별의 구조적인 문제 등을 갖고 있는 고용시장에서 인력수요 불일치 문제가 전문대학의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으로 해결될 수 있을지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셋째, NCS 기반 교육과정이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있는 Tyler의 과학적 교육과정개발 절차와 핵심요소를 둘러싼 정당성과 이데올로기에 대해 많은 논쟁이 이루어졌고, 그 한계가 지적되어 새로운 교육과정 패러다임으로 대체되고 있다는 점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넷째, 다양한 한계 내에서도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력수요의 불일치 문제와 관련한 사회 경제 정치적 관계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해결점을 찾아야하고, 직무 능력과 표준에 대한 규정의 주체 문제, 창의적 융복합 시대에서 NCS의 사회적 유효성 문제,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 및 실천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한다.

초등학생들의 세계에 대한 인지 특성과 세계지리 교육과정 구성의 전제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a Rationale for a World Geography Curriculum)

  • 송언근;김재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64-37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세계지리 교육과정 구성의 전제 조건을 살피는 것이다. 초등 학생들은 주로 TV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 각 나라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 이로 인해 다른 나라에 대해 막연한 문화적 동경을 갖거나, 때로 의견이나 편견에 의해 다른 나라들을 이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나라의 삶을 그들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균형잡힌 인식의 틀을 육성시킬 필요성이 있다. 한편, 나라별 호오(好惡)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판단 근거는 장소의 상징성과 생활과 관련된 일차적 조건, 즉 기후, 음식, 주거지 등이며, 우리나라와 세계 다른 나라와의 관계에 대한 판단은 정시적 요인이 주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자신들의 삶의 터전(지방)과 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동심원적 구성에 따른 교육과정상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3, 4 학년 향토 학습에서부터 지방과 세계를 연계하는 교육과정이 구성되어야한다.

  • PDF

학생들의 탐구 학습을 돕기 위한 교사의 과학적 개념 설명 방식: 초등학교 5, 6학년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tific Explanation to Support Students' Inquiry: Focusing on 5th and 6th Grade Earth Science Curriculum)

  • 서예원;고현덕;박경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2호
    • /
    • pp.161-177
    • /
    • 2009
  •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eachers construct scientific explanation during instructional practices to help students' scientific inquiry. Before investigating teachers' classroom practices,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was examined to identify scientific concepts, particularly in earth science. Then, a total of six teachers' scientific explanation in actual teaching practices was analysed focusing on a) explanation of scientific concepts; b) rationale for scientific explanation; c) connection between scientific explanation and everyday explan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curriculum provides $1{\sim}2$ main scientific concepts per unit, which are mostly appeared in the unit title. Those concepts and sub-concepts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but embedded in students' inquiry activities. Second, the teachers explain scientific concepts and discuss the rationale behind the scientific explanation, but rarely connect scientific explanation to everyday explanation. Also, the level of scientific explanations is low remaining level 1 or 2, not reaching 3, the highest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a) teachers need to provide explicit and clear explanations about scientific concepts; b) teachers are required to connect scientific explanation and everyday explanation; c) the level of teachers scientific explanation should be elevated by using an evidence, reasoning and claim,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explanation as well as introducing new scientific concepts and inquiry activities.

  • PDF

우리나라 정보학 교육의 회고와 FIABID에 기초한 정보학 교육의 전망 (Reflection of the Early Curricular Transformation in Library Science and Future Prespect Based on FLABID)

  • 현규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23
    • /
    • 1990
  • 1960년대중반부터 한국의 도서관학 교육은 정보 검색론, 색인 및 초록 작성법을 도 입함으로서 정보학을 수용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에 도서관학의 명칭 개정 논의는 본격 적인 정보학의 융합을 시도하려는 표현이었으며 1975년경에는 정보학 개론, 도서관 자동화 론, 정보 검색론이 모든 대학의 도서관학과에서 공통적으로 설강 되는 학과목이 되었다. 이 와 함께 1980년도에 들어서면서 도서관학의 학문 명칭을 문헌정보학으로 변경하는 경향이 나타나며 한국정보관리학회도 창설되는등 변화 양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모든 변화를 논리 적으로 존립시켜 주었던 주요 저작과 논문이 제현상과 결부되어 분석되었다. 1990년대를 위 한 정보학의 방향을 FIABID curriculum과(독일의 사례) 정보 시스템학과(미국 케리포니어 주립대학의 사례)를 들어 제시하였다.

  • PDF

대학의 UCC 프로젝트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University's the UCC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 권명순;간진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937-957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UCC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the rationale which are applicable effectively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Firstly, we have designed the rationale based on the research of documents and preceding researches about teaching method models. Secondly, we have developed the UCC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UCC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the rationale was assessed by the professional formative evaluation group and tested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n advance and thereafter. It was finally rectified and supplemented. Particularly, any corrections were to be made repeatedly in the stage of developing of the UCC project. And also, during the assessment and arrangement process, it was designed for the study participants to feel a sense of achievement as learners who combin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participants'subjects of the curriculum and professional vocational skills by performing the nursing science training scene which could happen in the field. Thirdly, the final version of the UCC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verified in its effectiveness by being applied in the field of the nursing science education in the $2^{nd}$ step. As a result, we noticed that learners diverse abilities were improved through systemic process and performing elements such as teaching plan which was needed for designing the UCC project in the field, making storyboard and skills for making video contents. We hope that the UCC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this study will be used by the students for designing, developing and utilizing educational UCCs which are necessary in industrial fields and it will contribute for training university students as professionals having the practical skills in the field.

등속도 운동에서 일차함수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관점을 기반으로 (A Case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Linear Function in Constant Velocity Movement: Focus on Integrated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Science)

  • 신은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419-44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수학과 과학의 연결성을 고려한 수학학습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에, 중 고등학교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수학과의 목표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또한 외국의 통합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근간하여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유형, 수학과 과학의 간교과형 통합교육 방법을 논의하였다. 문헌연구에 기반을 두고 수학과 과학에서 공통이 되는 개념, 원리, 기능을 중심으로 한 간교과형 통합교육 방법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이를 수학 시간에 활용할 것을 권하였다. 그 후에 수학과 과학의 간교과형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연구도구로 활용하여 사례연구를 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학생들은 등속운동을 탐구하면서 일차함수가 발생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시간과 속도_. 시간과 이동거리의 관계식과 그래프를 개발하고, 이 식과 그래프를 연결하여 기울기의 실제적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었다.

  • PDF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용 가능성 (How to use Board Gam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 김태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47-15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중심, 놀이 중심 활동과 관련하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보드게임 활용의 적절성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고, 영역별 활동사례를 통해 유아용 보드게임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용의 이론적 근거로서 첫째,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근거하여 구체물을 사용한 놀이활동으로써의 가치, 둘째,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인 경쟁과 보상을 통한 유아의 자발적 참여와 몰입, 셋째, 누리과정 전 영역에 걸친 통합적 경험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용 보드게임의 통합적 활동사례를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의 영역별로 살펴보고, 활동과정에서 나타난 장단점과 유의점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드게임을 활용한 놀이활동의 가능성과 시행 방향에 대해 논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동 구성 및 새로운 보드게임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 논리로서의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cientific Literacy and Core Competence Discourses as Rationales for the 21st Century Science Curriculum Reform)

  • 이경건;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8
    • /
    • 2022
  • 오늘날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의 두 논리는 핵심 역량 및 과학적 소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양자 간의 관계는 아직 면밀히 규명되지 않고 모호하게 남아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가 교육과정 총론 수준의 혁신적 교육과정 구성 논리와 과학 교과의 고유한 교육과정 구성 논리가 조화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 논리로서의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을 비교하여, 향후 과학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이에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들을 구성해온 주요 연구 문헌들과 정책 보고서들을 두루 참조하였다. II장에서는 먼저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들이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 역사적 경로를 돌아본다. 이 과정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각 담론의 전개양상을 모양지운 OECD의 역할에 주목할 것이다. 그리고 국내에서 해당 담론들이 어떻게 수용되어왔는가 또한 살펴본다. III장과 IV장에서는 과학적 소양과 핵심 역량 담론의 교차를 살펴본다. III장에서는 양자 모두가 학생 위기 레토릭에 힘입어 성장하였다는 점, 개인 차원, 공동체 차원, 지구적 차원을 고려하는 다층적 의미를 지닌다는 점, 교과 내용 조직 및 학습 방법의 논리가 유사하다는 점, 고부담 평가가 교육과정 개혁을 촉구한다는 점이 제시된다. IV장에서는 과학적 소양과 핵심 역량 담론 각각이 과학 교육과정 개혁에 대하여 제공할 수 있는 차별화된 강점과 함께 약점 역시 비교한다. V장에서는 후기 Wittgenstein 및 Kuhn의 관점에서, 과학적 소양과 핵심 역량을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 논리로서의 가족유사성을 지니는 언어로 이해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개발에서 반복되곤 하는 '총론과 각론의 괴리' 문제를 해소할 이론적 실마리와 함께,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비롯한 향후 과학 교육과정 담론이 위기 레토릭을 넘어 희망적인 목소리를 담아야 함을 제안한다.

중등학교 과학교육의 내실화 방안에 대한 연구:과학교육과정 (A study on the Program for Substantial Scienc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Science Curriculum)

  • 조희형;이문원;조영신;한인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6
    • /
    • 1988
  • Secondary schools in Korea have been faced with several critical problems in their science education. Among them the most fundamental are the problems which involve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cience curricula. This study had, therefore, its objective to develop the suggestions for sabstantial science curricula of secondary schools. Actually the objectives are trifold as following specific description. ${\circ}$Analysis of the rationale and theory of science curricula. ${\circ}$Status survey of secondary science curricula and identification of the problems i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n foreign and Korean secondary schools. ${\circ}$Development of suggestions for substantial science curriculam of secondary school. In order to attain these objectives the methods of literauare survey. questionaire and interview were used. Through these methods several problems are found and identified. The major findings and problems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circ}$aims, goals, and objectives of science education are not dfferentiated. ${\circ}$the curricula show discipline-centered selee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ontent:neglect the relationship of science-technology-society and life-world context. ${\circ}$shortage of weekly instructional hours for science subjects. Other findings and problems ar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s of the suggestions for substantial curricula are followed at the end of this pap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