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fall interceptio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19초

테다소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의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 및 차단손실우량(遮斷損失雨量) (Throughfall, Stemflow and Interception Loss at Pinus taeda and Pinus densiflora stands)

  • 민홍진;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502-516
    • /
    • 1995
  • 30년생 테다소나무(Pinus taeda)림과 30년생 소나무(Pinus densiflora)림 시험구에서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 차단손실우량(遮斷損失雨量) 및 임내강우량(林內降雨量)을 산정(算定)하고 이것에 관여하는 인자(因子)와의 관계(關係)를 밝힌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험기간(試驗期間)의 총강우량(總降雨量)은 3,107.6mm로, 연평균(年平均) 1,035.9mm였으며 시험기간(試驗期間)동안 조사된 일단위우량(日單位雨量)의 강우강도빈도(降雨强度頻度)는 30mm 이하가 전체의 90%(1992년), 81%(1993년), 88%(1994년)였다. 2. 선정(選定)된 총(總) 85회(回)의 단위강우(單位降雨)에 대한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 차단손실우량(遮斷損失雨量)은 임외강우량(林外降雨量)과 직선관계(直線關係)를 보였다.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은 테다소나무림에서 2,432.5mm(78.3%), 소나무림은 2,699.6mm(86.9%)였으며, 회귀식(回歸式)에 대한 단위 강우당 차단저류능(遮斷貯留能)은 각각 1.1mm와 1.3mm로 추정(推定)되었다. 3. 수관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은 테다소나무림에서 227.3mm(7.3%), 소나무림에서 62.7mm(2.0%)로 나타났으며, 회귀식(回歸式)을 이용하여 추정(推定)된 단위 강우당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의 발생강우량(發生降雨量)은 각각 약 7.2mm와 1.9mm로 추정(推定)되었다. 4. 차단손실우량(遮斷損失雨量)은 임외강우량(林外降雨量)에서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과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을 제(除)하여 산정(算定)하였으며, 테다소나무림에서 447.8mm(14.4%), 소나무림에서 345.3mm(11.1%)로 산정(算定)되었다. 5.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과 수간유하우량(樹幹流下雨量)의 합(合)으로 나타나는 임내강우량(林內降雨量)은 태다소나무림에서 2,659.8mm(85.6%)였고, 소나무림에서 2,762.3mm(88.9%)였다. 6. 수관통과(樹冠通過) 및 수간유하율(樹幹流下率)은 강우량(降雨量)이 증가(增加)할수록 급증(急增)하다가 각각 30mm, 50mm 이상의 강우(降雨)에서 일정(一定)하게 유지되었고, 차단손실율(遮斷損失率)은 강우량(降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급감(急減)하다가 50mm 이상의 강우(降雨)에서 일정(一定)하게 유지되었다.

  • PDF

Influence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to Agricultural Products Due to Rain During a Nuclear Accident

  • Won Tae Hwang;Eun Han Kim;Kyung Suk Suh;Moon Hee Han;Han Soo L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5호
    • /
    • pp.415-420
    • /
    • 2002
  • The previous dynamic food chain model was improved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to agricultural products due to rain during the environmental releases of radionuclides in a nuclear accident Wet interception coefficients for the agricultural plants were derived as a function of radionuclide and rainfall amount, and mathematical formulations of the previous model were modified. As a result, rain during accidental releases was influential in agricultural contamination. The contamination level of agricultural products decreased dramatically according to increasing rainfall amount. It means that predictive concentrations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the previous model, in which dry interception to the agricultural plants is only considered, can be overestimated. The influence of rainfall in agricultural contamination was the most sensitive for $^{131}$ I, and the least sensitive for $^{90}$ Sr among the radionuclides considered in this study.

복분자 비가림 하우스 토양 중 염류집적 요인과 물리적 제염효과 (Salt Accumulation and Desalinization of Rainfall Interception Culture Soils of Rubus sp. in Gochang-gun, Jeollabuk-do)

  • 정병엽;이강수;김명곤;최영희;김무기;조재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10-317
    • /
    • 2008
  • 포화추출액중 전기전도도는 $1.0\sim28.4dS\;m^{-1}$의 범위로 평균 $4.8dS\;m^{-1}$를 나타내어 매우 높은 농도로 염류가 집적되고 있었다. 전기전도도 $4dS\;m^{-1}$ (포화추출액 조건으로 환산)를 초과한 경우가 전체의 55%를 차지하고 있었다. 복분자 비가림하우스 재배토양 중 전기전도도와 각각의 무기이온과의 단순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전기전도도와 염소 ($r=0.85^{**}$), 질산 ($r=0.94^{**}$), 인산 ($r=0.88^{**}$), 황산 ($r=0.84^{**}$) 이온과 같은 음이온과 고도의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마그네슘 ($r=0.41^*$), 칼슘 ($r=0.38^*$), 칼리 ($r=0.47^*$) 이온과 같은 양이온과는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비가림 하우스형 복분자 재배토양 중에 함유되어 있는 염류집적 유발물질을 제거하는데 있어 작업의 편이성, 농업용수의 절감 및 처리시간 등을 고려하였을 때 용탈법보다 수세법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저류지 LID 시설의 강우유출수 처리비 산정 (Estimation of Stormwater Interception Rate for Bio-retention LID Facility)

  • 최정현;이옥정;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63-571
    • /
    • 2017
  • Because of the rapid progress of urbanization in recent decades, the proportion of impervious areas in cities has increased. As a result, hydrological properties of urban streams have changed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have increased, that have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human life and ecosystems. To manage these situations, application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and LID facilities are expanding recently. In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if rainfall interception rate used in design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can be applied to design of LID facilities. For this purpose, EPA SWMM is constructed for part of Noks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rea wherein long-term observed storm water data can be obtained and storm water interception rates for various design capacities of a bio-retention LID facility reservoirs are estimated. While sensitivity of storm water interception rate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of bio-retention facility is not large, sensitivity of storm water interception rate according to regional rainfall characteristics is relatively large. As a result of comparing present rainfall interception rate estimation method with the one proposed in this study, the present method is highly likely to overestimate performance of the bio-retention facility. Finally, a new storm water interception rate formula for bio-retention LID facility is proposed.

혼효림(混淆林)에서 강우량(降雨量)이 유출량(流出量) 및 수관차단률(樹冠遮斷率)에 미치는 영향 (Relation of Run- off and Canopy Interception to Rainfall in a Mixed Forest)

  • 이상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6-38
    • /
    • 1977
  • 물오리나무와 소나무의 혼효림으로 구성된 혼효림(混淆林)에서 1975면(年) 1년간(年間) 강우량(降雨量)에서 수관차단(樹冠遮斷)과 유출특성(流出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강우량(降雨量) 1072.7mm에 대해 수관차단율(樹冠遮斷率)은 192.3%이고 그 량(量)은 년강우량(年降雨量) 1072.7mm 중(中) 20.7mm이었다. 2. 강우량(降雨量)이 적은 봄과 초여름에는 수관(樹冠)에 의한 차단율(遮斷率)추은 20~50%이고 강우기(降雨期)인 여름에는 15% 이내(以內)로 되었다. 3. 매(每) 강우량(降雨量)이 10mm 전후(前後)일 경우에는 강우량(降雨量)이 약 50%가 수관(樹冠)에 의해 차단(遮斷)되고 20mm가 넘을 경우는 약 20% 정도가 차단되는 경향이 있었다. 4. 년간(年間) 평균(平均) 유출율(流出率)은 24.9%이고 유출량(流出量)은 $1000m^2$당 2,666.4l이었으며 강우량(降雨量)과 유출량(流出量)과의 관계(關係)는 그림 1과 같았다.

  • PDF

인공강우실험에 의한 활엽수 부후낙엽층의 강우차단손실량 추정 (Estimating Rainfall Interception Loss of Decomposed Floor in a Deciduous Forest Using Rainfall Simulation Experiments)

  • 안병규;최형태;이기문;임상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1-187
    • /
    • 2014
  • 부후균에 의해 낙엽이 잘 분해되어 있는 부후낙엽층은 수목의 생장에 필요한 양분과 토양미생물의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강우를 차단하여 저류한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강우실험을 통해 부후낙엽층의 강우차단 및 저류기능을 평가하였다. 부후균을 활엽수 낙엽 시료에 인공배양하여 부후균의 균사를 발달시켜 실험에 이용하였다. 강우를 중단한 직후에 측정한 활엽수 부후낙엽의 최대 강우차단 손실량은 단위면적당 $4.22mm{\cdot}kg^{-1}{\cdot}m^2$로 조사되었으며, 강우를 중단하고 자연배수를 완료한 후에 측정한 최소 강우차단 손실량은 $1.62mm{\cdot}kg^{-1}{\cdot}m^2$에서 $2.41mm{\cdot}kg^{-1}{\cdot}m^2$의 범위를 가지며, 평균 $1.87mm{\cdot}kg^{-1}{\cdot}m^2$로 나타났다. Mann-Whitney 검정 결과, 낙엽층에 존재하는 부후균은 강우차단 및 증발 손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인공강우실험에 의하면 부후균은 낙엽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균사를 넓게 발달시키고, 부후균의 발수기능에 의해 강우를 차단하고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낙엽층에 의한 강우차단손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유역의 초과우량 추정 모형 (Rainfall Excess Model for Forest Watersheds)

  • 남선우;최은호
    • 물과 미래
    • /
    • 제23권3호
    • /
    • pp.351-361
    • /
    • 1990
  • 식생계로 피복되고 투수성 토양을 갖는 산지유역에서의 점유출량 결정을 위해 초과우량 추정모형을 유도하였다. 산림에 의한 canopy차단 및 풀, 낙엽, 농작물 등에 의한 지표피복차단저축을 고려하고, 유역 포화시의 증발산량을 계산하여 관측강우로부터 지표 흙에 도달되는 순강우량을 결정하였다. 부정강우사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된 Green-Ampt모형으로부터 침투율을 결정하여 초과우량을 산정하였고, IHP 대표시험유역 가운데 장평유역의 실제호우사상에 적용하여 손실율, 유출율 및 유출발생시간 등을 결정, 적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 PDF

활엽수 낙엽의 수분저류 특성에 대한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in the Litter of Different Deciduous Trees)

  • ;최형태;이은재;임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3-93
    • /
    • 2016
  •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floor litter in deciduous forests. Water holding capacity(WHC) and interception storage capacity of Alnus hirsuta Turcz. ex Rupr., Quercus acutissima, Quercus mongolica litters were experimentally estimate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itters were also obtain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water-retention capacity and litter characteristics. Experiments showed that WHC increases with specific volume of litter, varying 244.4% to 416.8% of its dry mass. Interception storage have estimated with rainfall simulation experiments. Maximum interception storage ($C_{max}$) and minimum interception storage ($C_{min}$) of litters were 220% and 138% of dry mass in Alnus hirsuta Turcz. ex Rupr., 218% and 137% in Quercus acutissima, and 240% and 156% in Quercus mongolica. Both $C_{max}$ and $C_{min}$ increased linearly with litter mass, and the values of $C_{min}$ in broadleaf litters have also linear relation to leaf area.

광릉(光陵) 활엽수(闊葉樹) 천연노령림(天然老齡林)과 침엽수(針葉樹) 인공유령림(人工幼齡林) 그리고 양주(楊洲) 사방지(砂防地) 혼효유령림(混淆幼齡林)의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수간유하량(樹幹流下量) 그리고 차단손실량(遮斷損失量)에 관하여(I) - 실험적(實驗的) 측정결과(測定結果)를 중심(中心)으로 - (Throughfall, Stemflow and Interception Loss of the Natural Old-growth Deciduous and Planted Young Coniferous in Gwangneung and the Rehabilitated Young Mixed Forest in Yangju, Gyeonggido(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the Results of Measurement -)

  • 김경하;전재홍;유재윤;정용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88-495
    • /
    • 2005
  •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운용하는 경기도 광릉시험림 내 활엽수 천연노령림과 침엽수 인공유령림 그리고 양주 사방지 혼효유령림의 수관통과우량, 수간유하량, 그리고 차단손실량을 조사하여 앞으로 임상변화가 임내우 및 차단손실량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전산모델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 대상유역인 활엽수 천연노령림은 활엽수 천연림을 대표할 수 있으며, 잣나무와 전나무림으로 구성된 침엽수 인공유령림은 1976년 조림지로서 침엽수 인공림을 대표할 수 있다. 또한 양주 사방지 혼효유령림은 1974년 사방공사를 실시한 후 현재까지 보전되어 온 임분으로 사방림을 대표할 수 있다. 조사는 2003년 3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실시하였으며, 겨울에는 측정을 중지하였다. 임외장우량은 전도형 자기우설량계로 측정하였으며, 임내우량은 임분 내에 $10m{\times}10m$의 표준구를 설정하고 수관통과우량과 수간유하량을 전도형 측정기와 CR10X 데이터 로거를 이용하여 30분 단위로 측정하였다. 약 2년간 자료를 종합한 결과, 임외강우량에서 수관통과우량과 수간유하량을 뺀 차단손실량은 잣나무림이 임외강우량(1,629.5 mm)의 37.2%인 606.6 mm로 가장 많았으며, 혼효림이 임외강우량(1,363.5 mm)의 22.6%인 308.6 mm로 가장 적었다. 수간유하량은 혼효림이 임외강우량의 10.7%로 가장 많았으며, 잣나무림이 2.4%로 가장 적었다. 임외강우량과 수관통과우량 간의 관계는 모든 조사구에서 직선회귀식으로 나타났다. 직선회귀식의 기울기인 평균 수관통과율은 수관울폐도에 따라 66%에서 77%까지 분포하였다. 임외강우량과 수간유하량은 수관통과우량에 비해 편차가 크긴 하지만 모든 조사구에서 직선회귀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임외강우량이 수간유하량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잣나무림이 2%로 가장 낮았고 혼효림이 12%로 가장 높았다. 수간저류능은 활엽수림이 0.21 mm로 가장 높은 반면에 잣나무림이 0.003 mm로 가장 낮았다. 대체로 수간유하량은 침엽수림보다 활엽수림에서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임분구조에서 활엽수림이 수피가 매끄럽고 가지의 각도가 가파르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차단손실량은 임외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조사구에서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활엽수림과 혼효림의 경우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 비해 차단손실량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활엽수림과 혼효림이 계절적으로 낙엽에 의해 엽면적지수가 변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임분구조에 따라 임내우인 수관통과우량과 수간유하량, 그리고 차단손실량이 큰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차단손실량을 산정하기 위한 전산모델은 임분구조에 따른 차단손실량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임상별 특성과 엽면적지수 등을 매개변수로 한 모델이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창지역 복분자 비가림하우스 토양과 노지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ainfall Interception Culture and Open Field Culture Soils of Rubus sp. In Gochang-gun, Jeollabuk-do)

  • 정병엽;이강수;김명곤;최영희;김무기;조재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03-309
    • /
    • 2008
  • 전라북도 고창군 복분자 재배형태별 토성은 비가림하우스 재배지에서는 미사질양토 (silt loam, Si) 74%, 양토 (loam, L) 16%, 식토 (clay, C) 10%로 나타난 반면, 노지 재배지에서는 미사질양토 64%, 양토 35%, 식토 1%로 나타났다. 토양입단의 발달정도는 비가림 하우스 재배지에서는 55.84%, 노지재배지에서는 60.06%를 나타내어 강우가 차단되어 있는 비가림 하우스 재배지 보다 노지재배지가 토양입단화에는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입단의 크기별 가중평균지름 (mean weight diameter, MWD)을 조사한 결과 대립단 (> 2.0 mm)의 경우에는 노지재배지에서 더 높았고, 소립단 (< 0.25 mm)의 경우에는 비가림 하우스 재배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비가림 하우스 재배지 토양의 pH는 3.9 ~ 7.4 (평균: 5.5)를 나타내었고, 노지 재배지는 4.1 ~ 8.4 (평균: 5.5)를 나타내어 복분자 재배형태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가림 하우스 재배지 토양의 전기전도도는 $0.209\sim5.670dS\;m^{-1}$ (평균: 1.619)를 나타내었고, 노지재배지는 $0.265\sim1.056dS\;m^{-1}$ (평균: 1.056)를 나타내어 노지재배에 비해 비가림 하우스 재배지에서 전기전도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비가림 하우스 재배지가 노지 재배지 보다 치환성 마그네슘, 칼슘 그리고 칼리의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토양 중에서 칼슘과 마그네슘 및 칼리의 이상적인 당량비율은 5 : 2: 1인데 (Jung et al., 1998), 본 복분자 재배지 토양에서는 칼리의 비율이 2 ~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칼리 비료의 과다시비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는 바 양이온의 이상적인 당량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합리적인 시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 음이온의 함량은 평균값으로 질산이온 > 황산이온 > 인산이온 > 염소이온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가림 하우스 재배지가 노지 재배지에 비해 약 2 ~ 3배 이상 수용성 음이온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