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inone reductase(QR)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7초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n Anticarcinogenic Marker Enzyme, by Medicinal Herb Extracts

  • Kwon, Chong-Suk;Kim, Ji-Hyeon;Son, Kun-Ho;Kim, Young-Kyoon;Lee, Jeong-Soon;Lim, Jin-Kyu;Kim, Jong-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358-366
    • /
    • 2002
  • To search for novel cancer preventive agents, we assessed the quinone reductase (QR)-inducing activities of medicinal herb extracts in cultured murine hepatoma cells (hepalclc7 cells). Among 216 herb extracts tested in this study, 8 kinds of herbal extracts were found to induce QR activity in hepalclc7 cells by more than 2-fold when used at the concentration of 25 $\mu\textrm{g}$/$m\ell$. The methanol extracts of Aster koraiensis NK and Pulsatilla koreana Nakai induced QR by 252 and 223 % , respectively, at the concentration of 25 $\mu\textrm{g}$/$m\ell$. Most of the herbal extracts with QR inducing-activity increased the enzyme activity in a typical dose-dependent manner. The QR activity in BP$^{r}$ cl cells was induced move than 50 % by the extracts of Pulsatilla koreana Nakai, Inula helenium,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ers) Makino,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va, Auemisia keiskeana Miquel, Chfsanthemum boreale Makino. In conclusion, hlsatilla koreana Nakai, Aster koraiensis N.K, and Chfsanthemum zawadskii var. iatilobum Kitamura, which showed relatively high QR induction, merit further animal study to evaluate their potential as cancer preventive agents.

들깨의 볶음처리와 산가수분해에 의한 세포모델계 Quinone Reductase 활성유도능의 변화 (Modulation of Cellulalr Quinone Reductase Inducibility by Roasting Treatment and Acid Hydrolysis of Perilla)

  • 홍은영;강희정;권정숙;남영중;서명자;김정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6-192
    • /
    • 1997
  • 발암물질의 해독에 관여하는 2상 효소계의 지표효소인 QR을 활성화시키는 암예방성분의 존재여부를 탐색한 이전의 연구에서 들깨박의 메탄올 추출물이 hepa1c1c7 cell에서 높은 QR 유도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탈지공정에 앞서 실시되는 볶음과정에서 비활성상태로 존재하던 QR inducer가 활성상태로 유리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산가수분해와 볶음처리를 한 후, 각각의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QR 유도활성을 측정하였다. $100^{\circ}C$에서 30, 60, 120분간 산가수분해시킨 날들깨박의 메탄올 추출액은 가수분해시간이 증가할수록 세포의 QR 활성유도능이 증가하는것으로 나타났다. $180^{\circ}C$$200^{\circ}C$에서 5, 10, 20분간 볶은 들깨박의 경우, QR유도 활성은 날들깨박에 비해 높았으며, 묶음시간이 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볶은 들깨박의 메탄올 추출액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QR 효소 활성을 증가시켰다. 탈지들깨박이 동물조직의 QR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생쥐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볶은 들깨박의 메탄올 추출물은 QR 효소활성을 간과 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시켰고, 날들깨박은 간과 폐에서 유의적으로 효소활성을 증가시켰다. 이렇듯 들깨박은 동물의 여러기관에서 암예방의 지표효소인 QR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발암 물질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참외 추출물의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 및 간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Quinone Reductase Inductive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Hepatoma Cell of Oriental Melon Extract)

  • 김혜숙;구강모;서전규;강영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8-4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참외 추출물의 항암활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참외를 부위별로 나누어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과 다양한 간암세포에서의 증식 억제활성을 조사하였다. 참외 꼭지와 참외 줄기 잎 부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QR 유도활성이 증가하였고, $200{\mu}g/mL$ 농도에서는 각각 3.9, 1.5배의 유도활성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사멸 활성 측정법을 통한 항암활성 평가 실험에서 마우스 유래의 간암세포인 Hepa1c1c7 세포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꼭지와 줄기 잎 부위에서 높은 암세포 독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인체유래의 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유래 간암 세포주인 HepG2에 대한 세포 증식 억제활성을 농도별로 조사하였다. 꼭지와 줄기 잎 부위 모두 인체유래 간암 세포에 대해 증식 억제효과를 보여주었지만, 특히 꼭지 부위는 최고농도에서 60.3%의 높은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마우스 유래의 간암세포에 대한 활성보다 인체유래 간암세포에 대한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참외의 꼭지 추출물에서 QR 유도활성과 항암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참외 비가식 부위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by Obtusafuran from Dalbergiae Lignum

  • Yin, Hu-Quan;Oh, Seon-Hee;Kim, Youn-Chul;Sohn, Dong-Hwan;Lee, Byung-Ho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161.1-161.1
    • /
    • 2003
  • NAD(P)H:quinone oxidoreductase (quinone reductase: QR: EC1.6.99.2), a cytosolic FAD-containing flavoprotein, form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 of the phase II drug-metabolizing enzyme systems. It is found in all mammalian species tested and is expressed in many organs including the liver. QR catalyses two-electron reduction of qui nones to hydroquinones thereby suppresses the formation of superoxide anion radical. (omitted)

  • PDF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ctivity of Phlorotannins Derived from Eisenia bicyclis in Hepa1c1c7 Cells

  • Yoon, Na Young;Lee, Sang-Hoon;Shim, Kil Bo;Lim, Chi-Won;Lee, Moon-Hee;Cho, Hyun-Ah;Xie, Chenglia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1-5
    • /
    • 2013
  •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phlorotannins from Eisenia bicyclis as cancer chemopreventative agents, we tested whether they induced quinone reductase (QR) in Hepa1c1c7 cells. The ethyl acetate (EtOAc) soluble fraction obtained from E. bicyclis exhibited a QR induction activity in Hepa1c1c7 cells. Successive column chromatography of the active EtOAc fraction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four phlorotannins.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using one- and two-dimensional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ic techniques and characterized as phloroglucinol (1), dioxinodehydroeckol (2), dieckol (3), and fucofuroeckol-A (4). Among these compounds, fucofuroeckol-A (4) showed moderate QR induction activity, and dioxinodehydroeckol (2) exhibited potent QR induction potency with $2.05{\pm}0.04$ fold induction at a concentration of $50{\mu}M$ compared to the dimethyl sulfoxide solvent-treated control cells. However, phloroglucinol (1) and dieckol (3) exerted no detectable QR induction activity in Hepa1c1c7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oxinodehydroeckol could serve as a useful cancer chemopreventive chemical.

생육시기별 피자두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및 Quinone Reductase 유도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um Fruits Extracts at Different Growth Stages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Cancer Cells)

  • 김현정;유미희;이승욱;박정현;박동철;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45-1450
    • /
    • 2004
  • 피자두를 6월 말경에 처음으로 수확하여 5일 간격으로 9차례 채취한 다음, 피자두의 최종 수확 15~40일 전까지의 피자두 1~4의 경우는 미숙과로, 피자두 5, 6은 중간숙과, 최종 수확 0~10일전까지의 피자두 7~9의 경우는 완숙과로 구분하였다. 이들 시료는 각각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6종의 인간유래 암 세포주에 대한 성장 억제 효능을 조사하였다. 피자두 추출물 1~2 ㎎/mL 농도 처리시 피자두 미숙과 1, 2에서 위암세포주인 AGS와 자궁경부암세포인 Hela, 간암세포인 HepG2, 유방암 세포주인 MDA, 혈액암인 U937 세포에 대해서 63~95%정도의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그리고 시료 농도 4 ㎎/mL 처리시 세포주별 관계없이 피자두 미숙과 및 중간숙과에서 70% 정도의 저해능을 보였다. 특히 피자두 미숙과인 1~4 추출물은 AGS, HepG2, MDA 세포주에 대해서 90% 이상의 가장 높은 저해를 보였다. 한편 수확 시기별에 따른 피자두 추출물의 Hepa1c1c7 세포에 대한 QR 유도능의 측정시 피자두 메탄올 추출물을 세포 독성이 없는 0.2 ㎎/mL 이하 농도로 처리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1.0 이상의 QR 유도능을 보여 수확시기별에 따른 QR 유도능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또한 시료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숙과에 비해 완숙과에서 더 큰 QR 유도능을 보였다.

감초에서 분리된 데하드로글라이아스페린 C에 의한 마우스 모델계에서 quinone reductase 활성의 조절 (Regula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in Mice by Dehydroglyasperin C Isolated from Licorice)

  • 한정화;김정상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51-55
    • /
    • 2013
  • 예로부터 다양한 방면에서 약용식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감초에서 분리한 dehydroglyasperin C (DGC)는 이전의 연구에서 세포 모델계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 능력과 2상 해독효소계 활성을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동물 모델계에서 DGC의 항산화능과 2상 해독효소계를 평가하였을 때, 유의적 결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DGC 처리시간에 따라 마우스의 장기 및 혈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0, 2, 4, 6, 8, 12, 24 시간 동안 DGC를 처리한 후, 장기별 QR 유도활성과 간과 신장에서의 단백질 발현 패턴, 혈장의 항산화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GC 처리에 의한 QR 유도활성은 위, 대장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고, 간, 신장, 소장, 폐에서는 큰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2상 해독효소의 단백질 발현 패턴은 간에서는 역시 큰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위에서는 QR 유도활성과 유사한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혈장의 DGC 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활성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값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DGC는 처리 시간에 따라 각 장기 및 혈장에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DGC의 효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적채 분획물의 항균,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The Effects on Antimicrobial and Cytotoxicity of Brassica oleracea L. Fractions.)

  • 박윤자;전광혜;김선희;배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67-572
    • /
    • 2004
  • 노화억제, 항균, cholesterol 저하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기관지염, 천식 등 호흡기 질환에도 옛부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는 적채를 metanol (BOM)로 먼저 추출하고 이를 hexane 분획물(BOMH), ethyl ether 분획물(BOMEE), ethyl acetate 분획물(BOMEA), butanol 분획물(BOMB) 및 물 분획물(BOMA) 등 다섯가지의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적채의 항균, 암세포 증식 억제 및 QR유도 효과를 연구하였다. 먼저 적채의 각 분획물을 Streptococcus mutan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및 Aspergil-lus oryzae의 5가지 균주에 첨가시료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첨가하였다. 즉, 각 분획 별 시료를 500, 1000, 1500 및 2000 $\mu{g}$/ml의 농도로 사용균주에 각각 처리하였을때 BOMEA에서 비교적 높은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는 BOMEE이었다. 적채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cytotoxicity)를 MTT assay 로 실험한 결과, 3종의 암세포주 HepG2, HeLa 및 MCF-7은 모두 BOMEE에서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암예방 QR 유도 활성은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BOMH과 BOMEE에서 유의적으로 QR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기초로 독특한 보라색을 띄며 식탁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는 자주색 대표식품인 적채의 항균 및 암세포 성장저지 및 QR 유도 효과를 일으키는 생리활성 물질의 존재와 기전 규명에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Natural Products on the Induction of NAD(P)H: Quinone Reductase in Hepa 1c1c7 Cells for the Development of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 Kim, Young-Mi;Chang, Il-Moo;Mar, Woong-Ch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3권2호
    • /
    • pp.81-88
    • /
    • 1997
  • NAD(P)H:quinone reductase (QR) is one of the protective phase II enzymes against toxicity that accomplishes the capacity of detoxification by modulating the effects of mutagens and carcinogens. The detoxification mechanism is that quinone reductase promotes the 2-electron reduction of quinones to hydroquinones which are less reactive. This study is to search new inducers of quinone reductase from natural products, which can be used as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Plant extracts were evaluated by using quinone reductase generating system With Hepa 1c1c7 murine hepatoma cell lines for enzyme inducing properties and crystal violet staining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cytotoxicity provoked. We have tested approximately 106 kinds of natural products after partition into n-hexane, ethyl acetate and aqueous layers from 100% methanol extracts of natural products.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Vitex rotundifolia $(fruits,\;2FC:\;12.7\;{\mu}g/ml)$, Cnidium officinale $(aerial\;parts,\;2FC:\;10.5\;{\mu}g/ml)$, Chrysanthemum sinese $(flowers,\;2FC:\;17.4{\mu}g/ml)$ and the hexane fractions of Angelica gigas $(roots,\;2FC:\;13.2\;{\mu}g/ml)$, Smilax china $(roots,\;2FC:\;l1.9\;{\mu}g/ml)$, Sophora flavescens $(roots,\;2FC:\;16.3\;{\mu}g/ml)$ revealed the significant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in a murine hepatic Hepa 1c1c7 cell culture system.

  • PDF

금은화 약침액의 암예방 효과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Lonicerae flos Aqua-Acupuncture Solution)

  • 김중완;최혜경;손윤희;임종국;이항우;남경수
    • 생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1-268
    • /
    • 1999
  • Lonicerae flos aqua-acupuncture solution (LFAS) and Lonicerae flos water-extracted solution (LFWS) were prepared and tested for chemopreventive potentials. Three biomarkers [quinone reductase (QR), ornithine decarboxylase (ODC), glutathione(GSH)] were used to test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LFAS. LFAS was potent inducer of QR activity in Hepa1c1c7 murine hepatoma cells, whereas LFWS is less potent. LFAS and LFWS were also induced QR activities in cultured human hepatoma Hep3B cells. The effect of LFAS and LFWS were tested on the growth of Acanthamoeba castellanii. Proliferation of Acanthamoeba castellanii was inhibited by LFAS and LFWS at concentrations of $0.1{\times},\;0.5{\times}\;1{\times},\;and\;3{\times}.$ In addition, GSH levels were increased about 2-fold with LFAS and 1.5-fold with LFWS in cultured murine hepa1c1c7 cells. LFAS and LFWS were also shown to increase GSH levels in human Hep3B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FAS has chemopreventive potential by inducing QR activity, inhibition of ODC activity and increasing GSH lev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