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er female imag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패션사진에 나타난 3세대 페미니즘 여성이미지 (A Study on Female Image of the Third wave Feminism in Fashion Photographs)

  • 박정실;하지수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41
    • /
    • 2015
  • It analyze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wave feminism revealed in the fashion photographs and examines the feminine image affected by the third wave feminism. For the research purposes, bot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conducted together. Through the analysis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photograph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wave feminism, the followings are definitions of the feminine image affected by the third wave feminism. First, as the 'Female image with sexual freedom', it escapes from the passive viewpoint and expresses liberation and rights of women as the subject of the power rather than subordination using sexuality of women actively. Second, as the 'Female image with multiple aspects', it pursues an independent and strong image, challenges and threatens the man power. Third, as the 'Multicultural female image', it reduces a gap among colored races and many other cultures, seeks after rights and freedom independently escaping from the dual oppression, Fourth, as the 'Queer female image', it disorganizes dichotomous gender identity actively and pursues diverse gender identities. So, it shows that the third wave feminism expressed by the various media cultures influences the feminine image in a society at large creating a new image of a woman through exchanging and communicating with its recipients.

<공각기동대>의 현재성과 포스트휴먼 퀴어 연구 (The Posthuman Queer Body in Ghost in the Shell (1995))

  • 김수연
    • 비교문화연구
    • /
    • 제40권
    • /
    • pp.111-131
    • /
    • 2015
  • 본 논문은 <공각기동대>의 주인공인 사이보그 여전사 쿠사나기 소령에 초점을 맞춰, 포스트휴머니즘과 퀴어이론의 시각에서 <공각기동대>를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비평에서 쿠사나기 소령의 몸이 여성해방의 상징으로 극찬 받거나, 아니면 그 성적 함의로 인해 여성성의 상품화란 비난을 받았다면, 포스트휴머니즘과 퀴어 이론은 인간/비인간, 남성(성)/여성(성)이란 이분법을 넘어 소령의 몸을 보다 급진적으로 해석할 여지를 준다. 즉, 이분법의 해체를 통해 이미지에 함몰된 현실 속에서 과연 현실이라는 것이 얼마나 "현실적"이며, 현실 속의 다양한 대립범주들이 얼마나 인위적인 것인지 재고해 보게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의 틀로 본다면, 쿠사나기 소령의 몸은 현실 속 여성상의 "반영"이라기보다 그 자체로 존재의의를 지닌 아니메 속 허구 존재, 인간/비인간, 여성/남성의 범주에 속하는 대신 SNS와 정보화사회 속에 점점 내면을 잃어가는 현대인의 불안을 구현해주는 혼종적 존재이다. 많은 포스트휴머니즘 이론가과 퀴어 이론가들이 경고하듯, "포스트휴먼"이나 "퀴어"란 용어는 너무도 종종 인간중심적 사고를 재확인하기 위해 대중문화텍스트에서 남용된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며, 본 논문은 소령의 혼종적 몸이 인간과 기계의 결합이기에 의미 있는 몸이라고 단순하게 주장하거나, 혹은 피상적인 포스트모던 읽기를 통해 경계를 넘나드는 해방적 몸이라고 미화하지 않을 것이다. <공각기동대>가 거두고 있는 성취는, 소령의 몸 속에 어지럽게 구현되고 있는 개인성, 동물성, 그리고 기술의 결합이 인간이 "언제나, 항상" 포스트휴먼적 존재였음을 깨닫게 해주는 것이다. 본 논문은 <공각기동대>가 유려한 영상을 통해 그려내는 이러한 인식의 전환, 즉 억압적인 인간중심 휴머니즘에서 퀴어한 존재들과의 공존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윤리적 함의를 지녔음을, 그리고 이러한 윤리적 시도가 바로 이 영화의 가장 핵심적인 성취이자 지속적인 매력임을 주장하려 한다.

페미니즘과 외모 꾸미기 패러독스 - 환불원정대를 중심으로 - (The paradox of feminism and beautification of outward appearance - Examining the Refund Sisters -)

  • 장은수;이순재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5호
    • /
    • pp.651-66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enhancing beauty practices and feminism, and secondly, to analyze public images of contemporary women using this paradigm. Through the lens of this relationship, we present a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evolution of public image trends among girl group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Refund Sisters, a South Korean supergroup currently drawing mainstream attention as female icons. The scope of analysis includes girl groups dating from the 1990's to the year 2020 and photos of the Refund Sisters. Our results indicate that firstly, free sexual expression is evident based on active use of sexuality; images contain bold demonstrations of females desire, expressions previously considered taboo. Secondly, we note deviations from more standardized female images, unique adornment of outward appearance, and rejection of normative female images through freer forms of self-presentation. Lastly, there is greater cultural and racial diversity, rejection of modern race and gender binaries, and increased representation of queer identiti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enhancing beauty practices and feminism is sometimes considered paradoxical, with some arguing that beautifying one's outward appearance is a compulsory strategy and that it should be rejected in order to resist aesthetic pres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