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m

검색결과 2,892건 처리시간 0.03초

수수종자의 펩타이드 분석을 위한 SELDI-TOF MS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SELDI-TOF MS for Peptide Profiling of Sorghum Seed)

  • 박세준;박준영;이용호;황수민;김아람;고지연;김태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50-56
    • /
    • 2013
  • SELDI-TOF MS를 활용한 저분자 펩타이드 분석을 위해서는 분석시료에 대한 최적화 분석조건을 확립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수수 종자 내 존재하는 10 kDa 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를 프로파일링하기 위하여 활용된 SELDI-TOF MS의 최적화 분석조건을 확립하는데 있다. 분석조건은 (1) 프로테인 칩: CM10(weak cation exchanger), Q10(strong anion exchanger), (2) 바인딩 버퍼의 희석배수: 1/2, 1/5, 1/10, 1/20, 1/50, 1/100, 1/200, (3) Q10의 바인딩 버퍼 강도: 10 mM, 100 mM, (4) 단백질 추출버퍼: sodium borate, sodium borate + acetone, phenol, TCA 버퍼로 하였다. 1. 바인딩 버퍼의 희석배수는 CM10과 Q10 모두 1/20과 1/50이 최적화로 나타났다. 2. Q10의 바인딩 버퍼 강도는 농도가 약한 10 mM에서 더 많은 피크가 검출되었다. 3. SELDI-TOF MS 분석에 적합한 수수 종자단백질 추출 버퍼로는 2~10 kDa 범위에서는 sodium borate 버퍼와 10~20 kDa 범위에서는 phenol 버퍼로 분석되었다.

연약한 실트지반과 오염된 실트지반의 안정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Control Method of Soft and Polluted Silt Soils)

  • 안종필;박상범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5-16
    • /
    • 2008
  • 오염지반에 편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지반의 소성화로 인한 측방유동에 대한 안정관리방법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존의 이론적인 배경을 고찰하고, 모형실험을 통하여 실측한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ML과 $ML_{p1},\;ML_{p2}$ 모두 하중(q)-침하량$(S_v)$ 곡선에서 얻어진 극한지지력은 부영(富永) 교본(橋本) 의 변위량$(S_v-Y_m)$에 대한 관리도, 송미(松尾) 천촌(川村)의 $\{S_v-(Y_m/S_v)\}$의 관리도, 자전(紫田) 관구(關口)의 $(q/Y_m)-q$의 관리도에서 얻어진 극한지지력과 상당히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어 실제 적용시 무리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ML_{p1}$의 송미(松尾) 천촌(川村)의 $\{S_v-(Y_m/S_v)\}$ 관리도에서 얻어진 극한하중은 하중-침하량 곡선$(q-S_v)$에서 얻어진 극한하중 값보다 작은 값을 보이고 있다. 송미(松尾) 천촌(川村)의 안정관리도의 파괴기준선에 대한 ML의 산정식 ${S_v=3.21exp}\{-0.48(Y_m/S_v)\}$이며, $ML_{p1}$의 산정식 ${S_v=3.173exp}\{-0.45(Y_m/S_v)\}$, $ML_{p2}$의 산정식 ${S_v=6.33exp}\{-0.45(Y_m/S_v)\}$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지리산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식물화학적 변이 양상 - 분류학적, 생태학적 의미 - (Phytochemical variation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Quercus serrata Murray (Fagaceae) in Mt. Jiri, Korea - Their taxonomical and ecological implications -)

  • 박진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74-58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와 졸참나무(Q. serrata Murray) 두 종의 수직분포 양상을 관찰하고, 지리산 지역을 중심으로 두 종간의 교잡이입 및 유전자 전달 가능성을 식물화학적 분석을 통해 추론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수직분포는 위도에 따라 지역 간 차이가 난다. 중부지방에서는 신갈나무가 해발 100~200m의 낮은 고도에서부터 고재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나 남부지방의 경우 일반적으로 해발 300m 이하 저지대에서는 거의 분포하지 않으며, 졸참나무는 중부지방의 경우 저지대에서 주로 관찰되며 해발 500~700m이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으나 남부지방의 경우 해발 1,000m이상에서도 관찰된다. 두 종은 분포대가 달라 신갈나무는 주로 높은 해발고도에서 졸참나무는 주로 낮은 해발고도에서 생육하나, 상당한 범위의 고도 구간에서 두 종은 혼생한다. 지리산 지역을 위주로 설악산, 소백산, 마니산 등에서 채집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잎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 2종 37개체로부터 총 23종류의 서로 다른 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다. 이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flavonol인 kaempferol, quercetin, myricetin 및 isorhamnetin에 당이 결합된 flavonol glycoside이었으며, 4 종류의 acylated flavonoid compound가 동정되었다. 이들 중 kaempferol 3-O-glucoside, quercetin 3-O-glucoside와 quercetin 3-O-galactoside 및 이들의 acylated compounds가 주요 성분으로 두 종의 모든 개체에서 나타났다. 신갈나무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졸참나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diglycoside인 quercetin 3-O-arabinosylglucoside가 분포하며, acylated compound인 acylated kaempferol 3-O-glucoside, acylated quercetin 3-O-galactoside 및 acylated quercetin 3-O-glucoside가 다량 분포한다는 점에서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과 구분된다.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은 3개의 rhamnosyl flavonol compounds가 전체 졸참나무 개체에 걸쳐서 나타나며 또한 신갈나무에 비해 다량으로 나타나고, diglycoside인 kaempferol 3-O-rhamnosylglucoside를 함유하는 특징을 갖는다. 두 종 개체들의 flavonoid 조성은 고도에 따라 종내 개체 간 변이가 있었으며, 동소적으로 분포하는 두 종의 개체들은 대체로 상대 종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을 정량적으로 또는 정성적으로 닮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지리산 지역에서 두 종간에 교잡이입을 통한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강하게 암시한다. 이와 같은 상호 교배 및 교잡이입 가능성으로 볼 때, 형태적으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중간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물참나무는 두 종을 부모종으로 하는 교잡에 의해 생긴 잡종분류군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Protein Adsorption on Ion Exchange Resin: Estimation of Equilibrium Isotherm Parameters from Batch Kinetic Data

  • Chu K.H.;Hashim M.A.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1호
    • /
    • pp.61-66
    • /
    • 2006
  • The simple Langmuir isotherm is frequently employed to describe the equilibrium behavior of protein adsorption on a wide variety of adsorbents. The two adjustable parameters of the Langmuir isotherm - the saturation capacity, or $q_m$, and the dissociation constant, $K_d$ - are usually estimated by fitting the isotherm equation to the equilibrium data acquired from batch equilibration experiments. In this study, we have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estimating $q_m$ and $K_d$ for the adsorption of bovine serum albumin to a cation exchanger using batch kinetic data. A rate model predicated on the kinetic form of the Langmuir isotherm, with three adjustable parameters ($q_m,\;K_d$, and a rate constant), was fitted to a single kinetic profile. The value of $q_m$ determined as the result of this approach was quantitatively consistent with the $q_m$ value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batch equilibrium data. However, the $K_d$ value could not be retrieved from the kinetic profile, as the model fit proved insensitive to this parameter. Sensitivity analysis provided significant insight into the identifiability of the three model parameters.

SOME RELATIONSHIPS BETWEEN (p, q)-EULER POLYNOMIAL OF THE SECOND KIND AND (p, q)-OTHERS POLYNOMIALS

  • KANG, JUNG YOOG;AGARWAL, R.P.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7권3_4호
    • /
    • pp.219-234
    • /
    • 2019
  • We use the definition of Euler polynomials of the second kind with (p, q)-numbers to identify some identities and properties of these polynomials. We also investigate some relationships between (p, q)-Euler polynomials of the second kind, (p, q)-Bernoulli polynomials, and (p, q)-tangent polynomials by using the properties of (p, q)-exponential function.

대수기하부호와 Hermitian 함수체의 부분체 (Algebraic Geometric Codes and Subfields of Hermitian Function Field)

  • 양경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18-424
    • /
    • 1994
  • GF(q2) 위의 Hermitian 함수체와 마찬가지로, q+1을 나누는 정수 s에 대해 y + y=x 로 정의되는 부분체들도 Hasse-Weil 한계식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수의 1차 점들을 가지므로 최상이 된다. 본 논문에 서는 Hermitian 함수체의 이러한 부분체들로부터 생성되는 기하 Goppa 부호(혹은 대수기하부호)룰 연구한다. n을 부호장, m을 이들 부호의 차원과 최소거리를 결정하는 패러미터라 할때, n보다 작은 임의의 m에 대해 차원과 최소거리가 명확하면서도 완전하게 주어진다.

  • PDF

Subclasses of Starlike and Convex Functions Associated with Pascal Distribution Series

  • Frasin, Basem Aref;Swamy, Sondekola Rudra;Wanas, Abbas Kareem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61권1호
    • /
    • pp.99-110
    • /
    • 2021
  • In the present paper, we determine new characterisations of the subclasses ����∗��(α, β; γ) and ������(α, β; γ) of analytic functions associated with Pascal distribution series ${\Phi}^m_q(z)=z-{\sum_{n=2}^{\infty}}(^{n+m-2}_{m-1})q^{n-1}(1-q)^mz^n$. Further, we giv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an integral operator related to Pascal distribution series ${\mathcal{G}}^m_qf(z)={\int_{0}^{z}}{\frac{{\Phi}^m_q(t)}{t}}dt$ to belong to the above classes. Several corollaries and consequences of the main results are also considered.

序列法에 依한 全北 長安山 森林群落 分析 (Ordination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ies of Mt. Changan , Chonbuk)

  • Kim, Chang-Hwan;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3호
    • /
    • pp.231-241
    • /
    • 1991
  • The analyses of correlation, enviromental gradient, continuum and polar ordination methods were used for studing on relationships between forest vegetation and their habitats in Mt. changan, chagsu-gun, korea. influencing correlation of moisture index to the main 41species from the study area they were composed of several groups by leading species of quercus mongoulica, that of carpinus tschonoskii and that of fraxinus mandshurica.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ree communities in different habitats by environmental gradient i.e. each community of f. mandshurica, mangnolia sieboldii and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have occurred in moist place, that of c. teschonoskii and q. serrata, in mesic and that of q. mongolica, q.variabili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in dry. in addition an occupied distribution area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continuum index e.g. cornus controversa,betula costata,q. variabilis, q. serrata and q. mongolica over altitudinal 800m were distributed to a habitat were forming climax by q. mongolica, and/or c. controversa, f. mandshurica, q. serrata and c. tschonoskii under altitudinal 800m were done, by g. tschonoskii. while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area was classified into 6 communities such as q. mongolica 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q. serrata community, g. tschonoskii community,c. controversa community and f. mandshurica community by means of polar ordination analysis and these have come unde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 PDF

특정한 유한체 Fq상에서의 제곱근 알고리즘 (Square Root Algorithm in Fq for Special Class of Finite Fields)

  • 구남훈;조국화;권순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9호
    • /
    • pp.759-764
    • /
    • 2013
  • $q{\equiv}5$ (mod 8)의 경우에 유한체 $F_q$상에서 Atkin의 제곱근 알고리즘과 $q{\equiv}9$ (mod 16)의 경우에 Kong의 알고리즘으로부터 일반적인 제곱근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우리의 알고리즘은 s가 $2^s|q-1$을 만족하는 가장 큰 양의 정수라 할 때, $2^s$차 원시근 ${\xi}$를 미리 계산하였고 s의 값이 작을 때 적용가능하다. 제시한 알고리즘은 제곱근을 계산하기 위해 한 번의 지수계산이 필요하고, Akin, M$\ddot{u}$ller, Kong의 알고리즘과 비교해보아도 유리하다.